연이어 계속되는 강추위로 인해 몸을 움츠리게 되면서 본인도 모르게 상체를 긴장하게 되는데 이때 허리에 무리가 가기 쉽다. 즉 허리 주변의 근육이 긴장하고 혈관도 수축해 몸은 평소보다 경직된 상태가 되고 혈액순환이 잘 안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흔히 허리 디스크라고 불리는 허리 추간판 탈출증를 앓고 있는 분들은 추운 날씨에 통증이 심해지거나 작은 충격에도 추간판 탈출증이 악화될 수 있다.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와 그 뼈대인 척추뼈 사이에 자리 잡은 추간판이 불특정한 이유로 손상되면서 추간판 안의 말캉말캉한 수액이 탈출하게 되고, 탈출한 수액이 주변의 척추신경에 압박을 가하면서 이상이 생기는 질병을 디스크라고 부르는 것이다. 무조건적인 수술치료는 바람직하지 않고 처방하지도 않지만 수술하면 무조건 위험하다는 생각은 디스크 치료를 어렵게 하는 아주 큰 요인 중에 하나다. 이는 비단 디스크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어떤 질병이든 수술이나 비수술이나 모두 위험 부담은 안고 있다 다만 치료를 하기 전부터 어떤 선입견이나 오해를 갖지 말고 정확한 검사와 진단을 할 수 있는 전문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우신향병원 김연상 병원장은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누가 어떻게 치료를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자신의 병증이 어떤지, 생활습관이나 직업적 특성은 어떤지에 대해 담당 전문의와 함께 고려해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김연상 병원장은 “환자에 따라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대체로 물리치료, 약물치료, 운동치료 등의 치료가 선행된다. 실제로 수술적 치료가 행해지는 경우는 전체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5% 내외지만, 수술이 최후의 방법이긴 하나 비관적인 선택이 아니란 점을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귀가 아플 정도로 들어온 이야기일테지만 추간판 탈출증 역시 가장 좋은 치료는 예방이다. 우리가 흔히 '허리와 목'에서만 발생한다고 생각하지만 척추의 어느 부위에서나 탈출증은 나타날 수 있다. 그 원인은 크게 노화나 외상으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평소 일정부분 예방이 가능하다. 갑작스러운 낙상이나 교통사고 같은 ‘사고’는 예방할 수 없지만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삐끗하면서 시작되는 경우라면 평소 스트레칭을 통해서 근육을 적절히 이완시켜주고 근력을 향상시키면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