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시절, 필자의 부모는 할머니 집에 필자와 남동생만 남겨둔 채 동생들을 데리고 직장 근처로 이사 가 살았다. 필자는 7형제의 맏딸이다. 우리까지 데려가면 박봉에 굶어 죽을 것 같아서 떼어놓고 간 것이다. 부모와 어린 동생들이 떠난 후 마음 붙일 곳이 없었다.
다행히 친구 명희가 있어 학교 공부가 끝나면 그 집에 가서 놀았다. 서로 시간이 어긋날 때는 혼자 마루 끝에 앉아 책을 읽곤 했다.
명희 아버지는 우리 학교 선생님이었는데 집에 동화책이 가득했다. 명희네 집은 필자에게 유일한 안식처였으며 온갖 상상의 나래를 펴는 장소였다. 그러나 명희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좀 무서웠다. 그래서 될 수 있으면 책장 넘기는 소리조차 조심했다.
명희는 책에는 관심이 없었고 활짝 웃는 얼굴로 고무줄놀이를 아주 잘했다. 필자는 마루 끝에서 친구가 노는 모습을 힐끗거리면서 책에 빠졌다. 그러다 해가 서산에 기울면 명희 어머니가 “영희야 이제 집에 갈 시간이다” 하셨다. 그 소리를 듣고 뭉그적거리며 일어나 꼬르륵거리는 배를 움켜잡고 미루나무가 즐비한 신작로를 따라 걸었다. ‘알프스의 소녀’를 읽으며 어른이 되면 작가가 되겠다는 꿈을 꾸기도 했다.
50여 년이 지난 어느 날 초등학교 동창들을 만났다. 필자가 자서전을 냈다는 말에 명희가 “너는 우리 집 이야기를 빼놓으면 자서전 완성이 안 될걸” 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어린 시절이 떠올라 코끝이 찡해졌다. 또 그 시절의 추억을 공유하며 마음을 읽어주는 친구가 있어 뿌듯했다. 명희 어머니는 돌아가시기 전 필자를 만나고 싶어 했다. 차일피일 미루다가 결국 뵙지 못했다. 아쉬움이 많다. 그 시절 외롭게 앉아 책에 얼굴을 파묻고 있는 필자를 보며 어머니는 무슨 생각을 하셨을까. 그걸 물어보고 싶었는데 말이다.
중년이 되었을 때 필자의 골동품 가게로 자주 놀러오는 남자 친구가 있었다. 그 친구는 상대의 말을 경청해주는 재주가 있었다. 오늘 마음이 좀 언짢다고 말하면 왜 그런지 꼭 물었다. 그냥 그렇다고 얼버무리면 그런 게 어디 있냐며 이유가 있을 것 아니냐며 마음을 챙겨줬다. 코미디를 보고도 웃지 않는 필자를 보고 개그맨 김형곤 테이프를 사다 주며 들어보라고 했다. 재미없다고 하니까 몇 번이고 반복해서 들어보라고 했다. 그 후 조금씩 웃기 시작했다.
노년이 된 요즘은 필자를 지지해주고 격려해주는 친구가 있다. 그래서 수호천사라 부른다. 취미도 같아서 금상첨화다. 페이스북으로 서로의 마음을 솔직하게 주고받는다. 그림을 좋아해서 전시장도 같이 다니고 서로의 느낌을 공유한다. 설명하지 않아도 죽이 척척 맞는다. 글쓰기를 좋아하는 그 친구는 ‘두 개의 의자’라는 수필집도 냈다. 반응이 좋아서 덩달아 기쁘다. 오랜만에 소식을 전해도 늘 만났던 친구처럼 다정다감하다. 사귄 지 20년이 훌쩍 넘었는데 단 한 번도 얼굴 붉힌 적 없다. 나이가 들면서 훈계하듯 말하는 사람이 싫어졌다. 정이 가지 않는다.
오늘날의 필자가 있기까지 많은 친구가 곁을 지켜주었다. 필자 마음을 잘 읽어주는 친구가 옆에 있을 때 가장 성장하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필자도 요즘 만나는 친구들 이야기를 경청하려고 노력한다. 나이가 들면 지지해주고 격려해주는 친구가 최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