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이는 효심만 깊은 게 아니라 음식 솜씨도 좋았나 보다. 특히 심청이가 만든 김부각은 맛있기로 소문이 자자해 양반집이나 이웃 절에 불려 다닐 정도였다고 한다. 인당수에 제물로 바쳐졌다가 환생한 심청이는 왕비가 된 후 아버지를 만나려 맹인들을 잔치에 불러모았다. 오매불망 그리던 아버지를 위해 김부각을 정성껏 만들어 잔칫상에 올려놓았다. 심 봉사가 김부각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본 심청이는 아버지를 껴안고 눈물을 흘렸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심 봉사가 즐겨 먹던 부각은 옛날에는 아무나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었다. 궁중이나 사대부 집에서 내려오는 고급음식인데, 지금은 누구나 즐기는 주전부리가 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식품 명인 제25호 오희숙 명인의 공이 컸다. 그는 우리나라 유일의 전통 부각 분야 식품명인이다.
명인을 만난 건 강남역의 식품명인 홍보체험관에서였다. 이곳에선 토요일마다 명인들에게 한국전통식품 비법과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정부가 공식 지정한 식품명인들과 함께 술이나 한과, 김치, 장류 등을 만드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어 한 번 발을 디디면 자꾸 찾아가게 되는 곳이다.
어른, 아이 모두 즐기는 부각이어서인지 다른 날에 비해 가족 체험객이 많았다. 오희숙 명인은 거창의 파평 윤씨 종갓집에 시집을 오면서 시어머니로부터 부각 제조법을 배운 이야기를 시작했다. 크고 작은 집안 행사 때면 몸을 반쯤 넣어야 손이 닿는 커다란 항아리에 부각 거리를 꺼내 튀겼다. 손님들의 취향을 기억했다가 각자 기호에 맞는 부각을 튀기면 저마다 좋아했다고 한다. 명인의 이야기를 듣던 한 어린이는 “빨리 만들고 싶어요”라며 큰소리를 외쳤다. 명인을 재촉하는 꼬마 체험객 덕분에 웃음꽃이 터졌다.
부각은 재료에 찹쌀풀을 발라 건조하여 튀겨낸다. 전통부각의 제조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간다. 재료를 손질하고, 찹쌀풀을 만들어 바르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말린 후 다시 튀기는 등 12번의 손길을 거쳐야 탄생하는 정성 어린 음식이다.
체험은 준비된 재료에 찹쌀풀을 바르는 것부터 시작됐다. 테이블마다 찹쌀풀과 김, 다시마, 미역이 준비돼 있었다. 손끝에 풀을 묻힌 후 김과 다시마에 골고루 펴 바르기만 하면 되니 아이들도 쉽게 따라 했다. 미역은 찹쌀풀과 함께 손으로 조물조물하면 된다는 명인의 말에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손에 쥐고 놀이하듯 즐겁게 풀을 입혔다. 이렇게 찹쌀풀을 바른 재료들은 햇볕에 잘 말려야 한다.
부각 만들기 마지막 단계는 말린 재료를 빠르게 기름에 튀겨내는 것이다. 김, 미역, 다시마는 물론 감자, 우엉, 연근 등 각종 부각이 순식간에 만들어졌다. 거무스름한 미역이 기름에 튀겨지면서 하얗게 변하는 모습을 보고 아이들이 탄성을 질렀다. “하얀 게 아까 바른 찹쌀풀이냐”고 재차 묻기도 했다.
막 튀겨진 부각을 그 자리에서 맛보았다. 기름에 튀긴 음식이지만 담백했다. 씹으니 ‘바삭바삭’ 경쾌한 소리가 났다. 고소하면서도 식재료마다 본래의 맛이 그대로 느껴져 재미있었다. 아이들은 부각이 수북이 쌓여있는 접시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이건 뭐야? 저건 뭐야?” 부각들이 어떤 식재료로 만들어진 것인지 물었다. 편식하던 아이가 우엉이나 연근도 맛있다고 손을 바삐 움직이는 모습에 부모들은 신기한 듯 바라보았다.
삼국유사에 보면 시집오는 신부가 함 속에 부각을 넣어 왔다는 기록이 나온다. 천년도 넘는 세월을 지내며 명문가에 전해져 온 부각이 이제는 컨테이너 속에 담겨 일본, 미국 등 12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국내산 제철 원료만을 사용하고 화학적인 색소나 조미료를 첨가하지 않았으니 안심하고 먹을 수 전통부각. 우리나라 사람뿐 아니라 ‘Han Style snack’ 혹은 ‘Oriental natural chip’ 등으로 외국인의 입맛까지 사로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