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가 우리나라 꽃이라는 노래도 있고 애국가 가사에도 들어있지만 법적으로 나라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드물다. 우리나라 최고훈장 명칭이 무궁화 대훈장, 국기의 깃봉은 무궁화 봉우리 모양 등 국화(國花)가 무궁화임을 전제하는 규정들은 다수 존재하는데도 나라꽃으로 지정받지 못한 이유를 자료를 통해 알아봤다.
무궁화를 국화로 법제화해야 한다는 측 주장은 무궁화는 1000년 이상을 우리 겨레와 함께한 꽃으로 일제강점기에는 민족혼의 꽃이라고 말살 정책을 폈다는 것이다. 애국가 가사에도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 들어가 있다. 많은 독립운동가가 무궁화의 수호·보급을 위해 헌신하는 등 무궁화는 한민족을 상징하는 역사성이 있는 꽃이다. 국화로 지정하여 국가의 정체성을 대표하고 내부적으로 국민의 단합을 도모하자는 뜻으로 법제화를 찬성한다.
무궁화를 국화로 법제화하는데 반대하는 논거는 무궁화는 황해도 이북에서 잘 자라지 않는 지역적 제한성이 있어 남북통일 후에 말썽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무궁화는 교잡이 쉬워 국내에 도입된 무궁화의 품종이 다종다양한 관계로 어떤 품종을 국화로 해야 할지 법제화가 쉽지 않다. 인도 원산의 외래종이며 병충해에 취약하고 개화 기간이 7~9월로 짧다는 등의 이유가 열거되어 있다.
외국의 입법례를 보더라도 헌법·법령·관습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국기·국가(國歌)의 경우와 달리, 연방법으로 장미를 법제화한 미국 외의 대다수 국가가 국화에 관한 법령상의 근거 없이 관습에 따르고 있다는 점도 법제화를 서두르지 않는 큰 이유 중의 하나인 것 같다.
이미 대다수 국민들이 무궁화가 나라꽃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우수한 품종을 정해서 국화로 인정하면 될 것이다. 무궁화를 대대적으로 피우는 금강 자연휴양림에 있는 무궁화동산에 가보면 놀랄 만큼 무궁화가 싱싱하게 잘 피어있다. 무궁화 가꾸기 팻말을 읽어보니 무궁화는 햇볕과 거름을 좋아해서 일반 나무보다 50% 정도 비료나 거름을 많이 줘야 한다는 재배법이 있다.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이 아니라 가지치기와 가지고르기를 자주 하여 꽃눈이 많이 생기게 하고 무궁화는 새싹이 나올 때 진딧물이 많이 생기므로 디프테렉스나 메타시록스 등 살충제 1000배액(물 1000cc에 살충제 1cc)을 골고루 뿌려줘야 한다는 설명이다.
무궁화즙은 무좀, 설사, 눈병, 생리 불순, 위장병 등의 여러 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설이 있지만 현재는 무궁화의 성분 분석이 없는 상태다. 그만큼 무궁화에 대한 국화로서의 대접이 소홀하다. 무궁화 뿌리나 줄기, 나아가 잎이나 꽃의 성분을 분석하여 효용 가치를 더 발견하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를 우리가 모르면 누가 알아주겠는가? 무궁화가 국화가 된다면 무궁화 가꾸는 방법을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어 어릴 적부터 교육하면 될 일이다. 애국가 가사처럼 무궁화강산을 만들고 외국인을 초청한다면 새로운 관광자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