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만난 오름매니저 변현철(邊賢喆·65) 씨는 제주도에서 태어났지만, “말은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는 격언을 따랐던 도민들 중 한 명이었다. 번듯한 대기업을 다니다 IMF의 직격탄을 맞고 “내 사업을 해보겠다”며 회사를 나왔다.
그렇게 시작한 것이 여행업. “보헤미안 기질이 있어 실컷 세계의 여러 나라를 방문하고 싶었다”고 변 씨는 말한다. 왕년의 여행 전문가가 오름매니저가 되었으니 그야말로 안성맞춤인 셈이다. 199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여행 시장은 지금의 대형 여행사 중심이 아니라 중소 여행사들이 각자 여행 상품을 개발해 시장에 내놓는 분위기였다. 소원대로 그는 전 세계 80여 개국을 누볐다. 그의 회사는 스무 명이 넘는 직원들로 북적였고, 대한관광여행진흥협회에서 임원도 맡았다. 여행 업계에서 다들 알 만한 인물이 된 셈이다.
이 정도면 됐다 싶었을 때 후배에게 회사를 넘기고 두 번째 인생을 준비하면서 그의 고민은 다시 시작됐다. 무엇을 할 것인가?
“맨 처음 손을 댄 것은 문화예술교육사였어요. 시민들의 문화예술 고취를 위해 만들어진 직종이었는데 실망스러운 부분이 많았죠. 강사 수에 비해 강의를 할 기회가 적었어요. 그러다 거주하던 성동구의 마을공통체 지원센터에서 일하게 되면서 지역사회 사업의 중요성이나 사회적 경제에 대해 눈을 뜨게 됐죠.”
그가 고향인 제주에 내려오게 된 건 2014년. 노모의 청을 거절할 수 없었다. 기왕 시작한 제주생활, 고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 문화관광형시장육성사업단 공모에 합격해 서울에서의 경험을 전달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오름과 만나게 됐다.
“여행 사업을 할 때부터 각국의 멋진 관광지를 접하면서 자연과 함께하는 일을 했으면 좋겠다 생각했죠. 어느 날 오름을 보면서 이거다 싶었죠. 당장 제주대학교로 달려가 오름해설사 과정을 수료했어요.”
오름해설사란 기존 오름매니저의 역할에 숲해설사, 문화해설사 기능까지 더해진 과정. 6개월씩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을 거쳐야 수료할 수 있다. 그는 이 수업을 통해 얻은 지식이 오름매니저를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한다. 그리고 다른 지원자들과 함께 올 초 오름매니저가 됐다.
뜨거웠던 올여름 그가 활동했던 곳은 함덕해수욕장으로 유명한 제주시 조천읍의 서우봉 오름이다. “바다와 산을 둘 다 즐길 수 있어 관광객이 많이 올 것 같아 골랐다”고 그는 말한다.
“관광객들에게 제주 이야기를 전할 때 가장 보람이 크다”는 그는, “좀 더 많은 오름에 오름매니저들이 배치되어 여기 오는 분들에게 제주의 아름다움을 전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