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두르가’ 대표 비노드 쿤워

기사입력 2018-11-26 14:20 기사수정 2018-11-26 14:20

[브라보가 만난 사람] “한국·네팔 교류 가교 역할 하고 싶어요”

▲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두르가’ 대표 비노드 쿤워(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두르가’ 대표 비노드 쿤워(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딱 1년만 있다 돌아가자’ 하고 한국에 들어왔다. 타국에서의 시절이 호락호락할 리 없었다. 체념도 희망도 아닌 시간들이 안간힘을 쓰며 흘러갔고 20대 네팔 청년은 어느새 40대 중반이 되었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토끼 같은 아이들도 태어났다. 섬유공장 30여 만 원 월급으로 시작해 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두르가’를 7호점이나 연 네팔인 비노드 쿤워(Binod Kunwor·45), 이제는 귀화해 ‘서민수’라는 이름으로 살고 있다. 주한 네팔인협회장을 거쳐 국제부위원으로 지내는 그의 하루는 너무도 바빠, 인터뷰하러 간 날 하마터면 바람맞을 뻔했다.


오후 2시 ‘두르가’ 종로 1호점에서 그를 기다린 지 30분이 지나도 연락이 없었다. 만나기 전 미리 문자메시지도 보냈는데 무슨 일인가 해서 전화를 했더니 병원이라고 했다. 30여 분 뒤 그가 헐레벌떡 뛰어왔다.

“네팔에서 일하러 온 사람이 뇌출혈로 쓰러졌다고 해서 급하게 병원엘 다녀오느라 인터뷰가 있는 걸 그만 까맣게 잊었네요. 돈 벌러 왔다가 다치면 의사소통도 안 되고 병원비도 없어 딱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제가 주한 네팔인협회 일을 보고 있는데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네팔인들이 4만 명가량 되다 보니 일도 많이 생기고, 그래서 늘 바쁩니다.”

인도·네팔 요리전문점을 7개나 운영하는 대표라 점포 일로만 바쁠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한국에서 지내는 네팔인들에게 일이 생기면 통역도 해주고 모금활동을 통해 물질적 도움을 주는 등 보호자 역할을 자처하느라 더 눈코 뜰 새 없었다.


미지의 나라에서 묶여버린 발

그가 한국에 온 것은 1992년, 스무 살 때였다.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아는 것이라곤 고등학교 때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이 전부였다. 당시에는 북한이 자원이 풍부한 나라로 더 많이 소개됐는데, 남한과 북한이 한민족이라는 사실도 몰랐다. 경제적 차이가 많이 나는 것도 한국에 와서야 알았다.

“법대에 다니고 있었는데 좀 따분한 나날들이었어요. 그 무렵 동네에서 알고 지내는 형이 한국에 갔다 왔다는 얘기를 하더군요. 저도 네팔을 떠나 새로운 경험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일본에 갈까 한국에 갈까 고민하다가 한국행 비행기를 탔어요.”

네팔에서 그의 집은 꽤 유복한 편. 어느 날 한국에 가겠다고 차비 좀 달라고 하자 아버지는 “가려면 네 힘으로 가라”며 꿈쩍도 안 했다. 계속 고집을 피우자 부모님은 결국 100만 원을 내놓았다. 현재 가치로 따지면 꽤 큰돈이었다. 제 앞가림 알아서 잘하는 자식이라 믿고 지원해준 돈이었다. 하지만 한국에 와서 그는 난감한 시간들을 보내야 했다.

“처음엔 염색공장에서 일했어요. 한 달 일하고 손에 쥐는 돈이 30만 원 남짓밖에 안 됐는데 그 돈마저 떼이기 일쑤였죠. 요즘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대우가 좋아졌지만 그때만 해도 노동 환경이 정말 열악했어요. 차별도 심했고 피해를 입어도 도와주는 사람이 없었죠. 딱 1년만 일하고 돌아가자 하고 왔는데, 한 푼도 모으질 못한 거예요. 월급을 떼이면 직장을 옮기고 거기서 또 월급을 떼이는 일이 반복됐으니까요.”


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대표가 되다

그 후 1년만 더 있어보자 한 것이 귀화까지 하게 됐다. IMF, 금융위기를 차례로 겪으며 경제적 활동이 순조롭지 못했지만 그의 도전 욕구는 오히려 불타올랐다. 그 사이 결혼도 하고 아이들도 태어났다. 가장으로서 식구들을 먹여 살려야 했기에 닥치는 대로 일을 하면서 국면 전환의 기회를 엿봤다. 사정이 조금씩 나아진 건 한국과 네팔을 오가며 무역업을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동대문에서 옷, 가방, 모자 등을 떼어다 네팔에 팔았어요. 돈을 모아 식료품점도 열었죠. 그때 동남아 바이어들과 자주 만났는데 그분들이 한국에 오면 갈 만한 식당이 전혀 없었어요. 특히 인도 사람들은 고기를 안 먹는 사람이 많아 식사 대접이라도 하려면 곤란했죠. 그러다 문득 한국 사람들도 카레 음식을 좋아하니 인도 음식점을 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제가 네팔 사람이니까 네팔 음식도 곁들여 선보이면서요. 인도 음식은 향신료를 좀 더 쓸 뿐 네팔 음식과 거의 비슷해서 복잡할 건 없었어요.”

그는 판단이 서면 과감하게 밀어붙이는 사람이었다. 사업 계획을 세우자마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그렇게 해서 2006년 서울 종각역 근처에 1호점을 연 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두르가(Durga, 힌두 여신 가운데 가장 숭배받는 여신)’는 현재 7개 점포나 된다. 물론 그동안 부침(浮沈)이 없었던 건 아니다.

“‘두르가’를 오픈할 때 자신감 하나로 덤볐어요. 처음에는 손님이 없어서 힘들었죠. 월세 400만 원에 주방장과 직원들 월급 주느라 허리가 휘었어요. 그러자 동업자가 겁이 났는지 슬금슬금 손을 빼더군요. 이대로 혼자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고심하고 있을 때 언론에 저희 음식점이 소개됐어요. 며칠 뒤 전화통에 불이 나더군요. 기사를 본 손님들이 몰려오고 매상이 쑥쑥 올라갔죠. 그렇게 1년간 입소문을 타면서 비로소 안착할 수 있었어요.”

두르가 주방장은 모두 네팔인이다. 인도·네팔 요리를 맛보고 싶어 하는 손님들에게 제대로 된 요리를 제공하려면 마땅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그의 점포는 물론 한국의 네팔 요리점에 그가 소개한 주방장이 100여 명이나 된다. 알게 모르게 네팔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해온 셈이다. 한국에 와서 이만큼 성공했으면 유연자적하듯 살 만도 한데 그는 여전히 바쁘다. 아내는 그래서 불만이 한가득이다. 좀 천천히 살라는 의미에서 남편에게 서(俆) 씨 성까지 지어줬건만 소용이 없었다.

“아내가 어느 날 밖으로만 돌아다니는 저를 보고 ‘너 이럴 줄 알았으면 결혼 안 했어’ 하더라고요. 아이들과 아내에게는 미안하죠. 좀 쉬면서 일해야 한다는 생각은 하지만 그게 잘 안 되네요. 제가 해야 할 일이 너무 많거든요.”

이 정도면 일 중독자가 분명하다. 일을 벌이는 데도 거침이 없다. 요즘은 한국과 네팔 양국에 도움이 되는 사업을 구상 중이라면서, 이미 네팔에서 수력발전 사업을 추진해 곧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했다. 얘기를 들어보니 모노레일 사업, 심지어 해외송금 관련 금융 사업까지 그의 머릿속은 일 생각으로 가득차 있었다. 네팔 정부 고위층도 한국에 오면 꼭 그를 찾는다고 한다. 서민수 씨만큼 한국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두르가’ 대표 비노드 쿤워(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인도·네팔 요리전문점 ‘두르가’ 대표 비노드 쿤워(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다문화 가정 아이들에 대한 차별, 속상하다

한국에 온 지 5년째 되던 해에 그는 아내 이지형 씨를 만났다. 이웃으로 지냈는데, 함께 밥 먹고 대화하다가 정이 들어버렸다. 그가 먼저 프러포즈를 했다. 처가의 반대가 심했지만 무사히 결혼에 골인했다. 네팔 부모님도 섭섭해하긴 했어도 큰 반대는 하지 않았다. 한국에서 성공을 이룬 건 아내 덕이 크다. 한국 문화에 어두워 곤란한 일이 생길 때마다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해냈다. 그가 일을 벌이면 아내가 쫓아다니며 궂은 업무를 도맡아 하는 식이었다. 2005년도에는 아이들 교육을 위해 귀화도 결정했다. 아들딸에게 부족한 부모가 되지 않으려 두 사람은 부단히도 노력했다. 그런데 경제적 여유도 생기고 30여 년간 살며 적응도 되어 한국에서의 생활이 별 문제 없을 줄 알았는데, 그는 요즘 꽤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

“귀화를 해도 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은 여전히 심한 것 같습니다. 우리야 상관없지만 아이들은 어린 마음에 상처가 큰 모양입니다. 아들이 고등학교에 다니는데 힘들어하더군요. 아이 입장에서는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 사람인데 생김새가 다르다고 외국인 취급하니까 억울하고 이해가 안 되는 거죠. 지금 학교에서 겪는 일들을 앞으로 직장에서도 겪을 테고, 또 결혼할 때도 분명 문제가 생길 것입니다. 부모로서 자식의 험난한 인생 여정이 예상되는데 어떤 말을 해줘야 할지 답답하네요.”

그는 경제적 어려움까지 겪는 다문화 가정 아이들은 더 심한 상처를 받고 있다며 속상한 마음을 내비쳤다.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되는 게 있구나’ 하면서 상심할 때도 있다고 했다. 그도 가끔은 “그럼 그렇지, 네가 네팔인이지 무슨 한국인이냐?” 하는 소리를 듣는데 아이들이 그런 말을 들으면 정체성 혼란은 물론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 말했다.

“대안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아들을 2~3년간 유학 보내볼까 합니다. 좀 더 큰 세상에서 살면서 마음이 열리길 바라면서요. 내가 바뀌지 않으면 어떤 문제도 해결되지 않는다는 걸 아이가 빨리 알게 되면 좋겠습니다.”

그에게도 차별로 인한 번민의 시절이 있었을 터. 아들의 상처가 어떠하리라는 것을 너무도 잘 아는 그의, 아비의 눈은 순간 한없이 깊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정희원 교수 “노후에 연금보다 ‘이것’이 중요하다“
    [카드뉴스] 정희원 교수 “노후에 연금보다 ‘이것’이 중요하다“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 우수기업의 조언 “솔선수범하는 노력 필요”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 우수기업의 조언 “솔선수범하는 노력 필요”
  •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⑤ 57세 올드 셔플맨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⑤ 57세 올드 셔플맨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막막했던 은퇴 이후 삶, 전직 성공한 비결은?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막막했던 은퇴 이후 삶, 전직 성공한 비결은?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300번 넘어져도 301번 일어서는 오뚝이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300번 넘어져도 301번 일어서는 오뚝이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