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고 그름, 좋고 나쁨 등을 가름하며 나만의 영역을 완성하는 것이 인생이다. 삶의 다양성만큼이나 개개인마다 가지각색의 취향도 있게 마련. 유독 찾아드는 아지트를 보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각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묻어난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매거진을 거쳐간 셀럽들에게 공간 초월 당신만의 아지트에 대해 물어봤다.
작품 찾아 떠나는 길목 ‘정독도서관’
김광보 서울시극단 단장
2014년부터 줄곧 서울시극단 단장을 맡아온 김광보 연출가의 아지트는 서울 종로구에 있는 정독도서관이다.
“제가 새 작품에 들어갈 때마다 가서 공부하는 곳입니다. 그곳에서 구상도 하고 많은 것을 결정했습니다. 특히 잘 안 풀리거나 어려운 작업을 할 때, 사면초가의 마음일 때 정독도서관으로 갑니다. 이제는 오래된 버릇이 됐습니다. ‘사회의 기둥들’(2014), ‘줄리어스 시저’(2014), ‘은밀한 기쁨’(2014), ‘M버터플라이’(2012) 등을 그곳에서 풀었습니다.”
정독도서관 자리에는 1900년부터 1976년까지 경기중·고등학교가 있었는데 학교가 강남으로 이전하면서 도서관으로 바뀌었다. 지금도 당시의 교정 모습이 잘 간직돼 있다. 그래서 이곳에 가면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옛 교정을 도서관으로 만든 곳이라는 특수한 환경적 요인이 분명히 있을 테지요, 사람들 냄새도 많이 나요. 정독도서관에는 후각을 통해 영감을 자극시키는 무엇인가가 있습니다. 그곳에 가면 왠지 마음이 경건해진다고나 할까요.”
1980년대 초 부산에서 연극을 시작해 1990년대 초에 서울로 올라와 작품활동을 하고 있으니 정독도서관은 김광보 단장의 꽤나 오래된 아지트다. 요즘도 자주 찾느냐는 질문에 “서울시극단에서 하는 일이 많아 예전만큼 자주 찾질 못한다”며 깊은 한숨에 아쉬운 웃음을 보인다.
“아무래도 자리를 지켜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니 도서관에는 자주 가지 못해요. 뜸해졌습니다. 지금은 작품 구상할 틈도 없지만 또 언젠가 정독도서관에 앉아 책 펴놓고 고민할 날이 올 겁니다.”
시원하게 목 좀 풀어보겠습니다 ‘양재시민의숲’
신강균 前 한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황진이가 인생 2막의 롤 모델(?)이라고 말하는 신강균 前 한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그의 아지트는 어디일까?
“양재시민의숲입니다. 저와 판소리를 하는 친구들과 함께 가요. 초기에는 장구까지 가지고 갔는데 지금은 안 가지고 다녀요. 시끄럽다고 민원이 들어오더라고요.(웃음) 인적 드문 정자에 모여서 두어 시간 노래를 부르면서 놉니다.”
판소리는 호응을 해주는 사람이 있어야 그 맛이 난다. 소리를 들을 줄 아는 사람이라야 흥이 더 붙는다. 도반들과 마음이 맞으면 밤이고 낮이고 숲으로 가서 흥을 나눈다. 그런데 양재시민의숲이 신강균 교수에게 꼭 판소리만을 위한 아지트는 아니란다.
“현대 서예를 즐기는 사람들과도 가끔 가서 ‘숲속 휘호’를 합니다. 시창작반 회원들과는 백일장도 열고 미술반 도반들과는 야외 스케치도 하고요.”
신 교수는 시니어에게 아지트란 커뮤니티와 같다고 말했다.
“저처럼 시·서·화·창(詩·書·畵·唱), 악기, 무용까지 다양하게 하는 사람에게는 아지트가 한 군데일 수가 없어요. 일주일에 한 번은 그림을 그려요. 아주 집중하면서요. 다른 팀들과 어울릴 때는 관심사를 또 바꿉니다. 이를테면 양재시민의숲을 중심으로 이동식 아지트를 운용하고 있다고 말씀드리는 게 맞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