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60대 부부의 ‘동상이몽’

입력 2019-07-26 09:49

60대 부부는 대체로 은퇴한 세대다. 60대 부부와 관련한 몇 가지 흥미로운 통계가 나왔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은퇴 후 보내야 할 여가시간을 엄청나게 늘려 ‘여가 혁명 시대’를 가져온다. 배우자와 함께 여가활동하기를 바랄까, 아니면 다른 생각을 하고 있을까?

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남편은 배우자와 함께 하기를 바라는 비율이 59%, 여성은 46%다. 여가 학자들도 여가활동 중에서 한 가지 정도만 부부가 함께 하기를 권하는 이유가 이해된다.

▲동상이몽 형상화(사진= 변용도 동년기자)
▲동상이몽 형상화(사진= 변용도 동년기자)

누가 병 간호하기를 원하세요?

병들어 혼자 움직이기 어려울 때 누가 병 간호 하기를 바랄까? 남편과 아내의 선호도가 다르다. 남편은 1순위로 배우자(51%)를 꼽으나 여성은 배우자보다 일반 간병인(36%)을 선호하고 배우자는 뒤(33%)로 밀린다(자료/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

어떻게든 마지막까지 함께 살 것인가요?

인생 후반에 접어든 부부들은 흔히 이렇게 말한다. “그래도 마지막까지 의지할 사람은 배우자다.” 그러나 관련 통계자료는 좀 다르다. 우리나라 전체 이혼 건수 중에서 황혼이혼이 차지하는 비율이 무려 33.4%(통계청 2018년 혼인 이혼 통계)에 달했다. 또한 “부부는 어떻게든 함께 사는 것이 좋다.”에 대한 대답도 남녀가 현저하게 다르다. 남성은 46%지만 여성은 32%다. 졸혼(卒婚)에 대한 생각도 마찬가지다. 졸혼 찬성이 남성은 22%이지만 여성은 33%로 높다.

동상이몽이라고 하면 심한 얘기일까? 이러한 시기를 잘 이겨내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할까? 남성들은 일본 은퇴자들의 모임인 ‘정주관백협회’라는 데서 제안한 생활방식을 참고해볼 만하다. 그 협회는 “아내를 집안의 천황으로 모시고 남편은 제2인자 위치에 자리잡아 아내를 사랑하자”고 제안한다. 다소 과장된 면이 없지는 않지만 최악의 경우로 빠지는 경우를 예방할 수만 있다면... .

남편은 아내에게 의존하기보다 은퇴 전에 혼자 놀 수 있는 취미를 만들고 친구, 자녀 등 새로운 인간관계를 더 공고히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나이든 서울 가족, 고령자 가구 125만 넘어…7년만에 31만여가구 늘어
    나이든 서울 가족, 고령자 가구 125만 넘어…7년만에 31만여가구 늘어
  • [중장년 필독 정보통] 중년층 뇌 건강 돕는 ‘브레인핏45’ 앱 출시
    [중장년 필독 정보통] 중년층 뇌 건강 돕는 ‘브레인핏45’ 앱 출시
  • [Trend&Bravo] 현실 귀촌인들이 말하는 귀농이 힘든 진짜 이유 5
    [Trend&Bravo] 현실 귀촌인들이 말하는 귀농이 힘든 진짜 이유 5
  • 보험硏 “고령 운전자 면허 갱신 주기 단축해야…주요국 1~3년”
    보험硏 “고령 운전자 면허 갱신 주기 단축해야…주요국 1~3년”
  • 임대주택 고령자 1인 가구에도 AI 돌봄 전화 서비스 제공
    임대주택 고령자 1인 가구에도 AI 돌봄 전화 서비스 제공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