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설명회, 8월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풍부한 경험과 봉사정신이 투철한 민간ㆍ공공기관 출신의 전문가를 모집한다. 오는 9월 6일 15시까지 접수 마감한다.
지원을 희망하는 사람은 월드프렌즈 NIPA 자문단 공식 홈페이지(senior.nipa.kr)에서 온라인 신청을 통해 지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지원서 마감에 앞서 8월 19일 오후 3시에는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00호)에서 모집 설명회를 개최한다. NIPA자문단 사업소개 및 Q&A와 자문단원 활동경험 특강도 함께 진행한다.
만 50세 이상의 퇴직(예정)자로 정보통신, 산업기술, 에너지자원, 무역투자, 지역발전 등 5개 파견 분야에서 10년 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경력이 있다면 지원이 가능하다. 서류 및 면접심사를 거쳐 선발하며, 개도국 정부나 공공기관에 파견돼 1년간 자문단원 활동을 하게 된다. 평가에 따라 최대 3년까지 활동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관련 뉴스
-
- "40대만 보세요" 서울시50플러스재단 직업캠프 참여자 모집
- 서울시가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40대 시민의 생존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미래 유망 산업과 기술 분야 중심의 재취업 프로그램 ‘40대직업캠프’ 8월~9월 과정 참가자 275명을 모집한다. 40대직업캠프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이 운영하는 직업전환 프로그램이다. 한국폴리텍대학 등 기술교육 전문기관과 채용 수요가 확정된 협력 기업들이 직접 참여해 실습 중심의 집중 훈련을 제공하며, 일부 과정은 기업 면접까지 포함돼 수료 후 즉시 채용으로 이어진다. ‘40대직업캠프’는 ‘탐색과정’, ‘실전과정’, ‘취업과정’으로 나뉘며, 온·오프라인 교
-
- 40세 이후 커리어, 이제는 설계가 필요하다
-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이 40세 이상 중장년 재직자를 위한 ‘커리어 플래닝 서비스’를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일의 지속 가능성과 재취업에 대한 고민은 더 이상 은퇴 직전의 문제가 아니다. 지금, 자신의 경력을 되돌아보고 향후 5년, 10년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정부 차원의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17일에 발표한 이번 커리어 플래닝 서비스는 단순한 직무 교육이나 퇴직자 상담에 머무르지 않는다. 참여자는 자신의 경력을 진단하고, 보유 역량을 점검한 뒤, 앞으로 어떤 직무
-
- 2026년 신규 노인일자리 우수 아이템 12건 선정
-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2026년 신규 노인일자리 개발을 위한 아이템 공모전’에서 우수 신규 아이템 12건이 발표됐다. 이번 공모전은 노인이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신규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을 발굴하고자 마련했다. 총 395건의 제안이 접수된 가운데, 1차 실무자·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대상 1건, 최우수상 2건, 우수상 3건, 장려상 6건이 최종 선정됐다. 대상은 국가보훈부의 ‘현충시설 시니어 레인저스’가 차지했다. 이 사업은 노인일자리를 통해 전국 2331개 현충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훈의식을
-
- 또 다시 외국인 돌봄인력 확대하려는 일본, 이번엔 성공할까?
- 고령화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일본이 또다시 외국인 돌봄인력 확충에 나섰다. 지난 4월부터 외국인에게도 가정방문형 개호(돌봄의 일본식 표현, 이하 돌봄으로 통일), 이른바 ‘방문돌봄’ 업무를 허용했다. 외국인 인력의 활동 범위를 기존의 시설 내 돌봄에서 재택 돌봄으로 확장한 것으로, 개호 분야의 만성적인 인력난을 타개하려는 시도다. 그간의 제도적 미비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반영된 것이지만 여전히 개선점은 남아있어, 같은 걱정을 하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1990년대 ‘엔조이코’와 비공식 돌봄노동 일본의 외국인 개호
-
- 서울시 중장년 대상 무료 AI 활용 교육 실시
- 서울시가 용산·강동·노원·군포(경기) 4개 기술교육원을 통합해 오는 11일부터 8월 15일까지 2025년 하반기 교육생 총 1836명을 모집한다. 기존 기술교육원은 38년간 개별적으로 운영돼 왔으나, 기능 중복과 경직된 학과 구조로 산업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지난 2월 경복대학교와 협약을 체결하고, 3월부터 통합 운영을 준비해 ‘통합운영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서울시는 이번 통합을 통해 4개 캠퍼스를 하나의 시스템 아래 ‘1본부–4캠퍼스’ 체제로 재편했으며, 기획운영팀, 정보마케팅팀, 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