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하나
켜 놓고
바라본다
너의 모습이
보일 때까지
- 용혜원의 ‘고독’
찬바람이 불어 마음이 허(虛)하거든 주저 없이 산에 들 일입니다. 그곳에 가면 당신만큼 고독한 꽃 한 송이 기도하듯 명상에 잠겨 있을 것입니다. 가을밤 호젓한 산사에 밝혀놓은 촛불인 양 저 홀로 핀 꽃 한 송이 당신을 반길 것입니다. 폭염이 한결 누그러진 9월 초, 여름내 깡말랐던 숲은 생기가 넘칩니다. 지난여름의 무더위와 장마쯤은 아랑곳 않는다는 듯 여기 불쑥 저기 불쑥 돋아나 가부좌 틀듯 앉은 애기앉은부채가 찾는 이를 반깁니다.
그런데 이쯤에서 눈이 밝고 기억력이 좋은 ‘브라보 마이 라이프’ 애독자들은 “어디선가 본 듯한 야생화인데” 하며 고개를 갸우뚱할 겁니다. 맞습니다. 2년 반 전인 2017년 3월 아주 흡사한 모습의 야생화를 소개한 바 있습니다. 접두어 ‘애기’란 두 글자만 뺀 앉은부채였습니다. 물론 생김새는 아주 비슷하지만, 크기나 개화 시기 등 생태는 크게 다릅니다. 우선 꽃대의 길이가 앉은부채는 10~20cm로 어른 주먹만 하지만, 애기앉은부채는 1cm로 10분의 1 정도로 작습니다. 특히 꽃 피는 때가 크게 달라 애기앉은부채는 7~9월 여름이지만, 앉은부채는 2~3월 초봄입니다. 또 봄에 나온 잎이 7월이면 녹아 사라지고 그 뒤 엄지손톱만 한 꽃을 피우는 애기앉은부채와는 정반대로, 앉은부채는 꽃이 핀 뒤 잎이 무성하게 납니다. 하지만 부처의 후광(後光)을 닮아 불염포(佛焰苞)라고 불리는 꽃 덮개가 타원형을 그리며, 그 정중앙에 도깨비방망이 같은 육수(肉穗)꽃차례가 가부좌를 튼 듯한 모습은 매한가지입니다.
둥근 광배(光背)까지 갖춘 게 불상의 머리 형태와 흡사하니, 누구나 ‘애기앉은부채’란 이름을 ‘애기앉은부처’로 잘못 알아듣기 십상입니다. 도깨비방망이가 바로 수십 개의 꽃이 빙 둘러 핀 꽃 덩어리인데, 거북의 등처럼 갈라진 조각조각이 4장의 꽃잎과 4개의 수술, 1개의 암술을 갖춘 각각의 꽃입니다. 생김새만큼 꽃색도 독특합니다. 꽃 덮개인 불염포가 대개는 짙은 자갈색이지만, 경우에 따라 녹색부터 미색 또는 짙은 홍색, 선홍색, 심지어 연분홍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 그야말로 색색의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영어 이름은 이스트 아시안 스컹크 캐비지(East Asian Skunk Cabbage)인데, 이는 잎이 배추처럼 무성하고 넓은 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또 ‘스컹크’란 단어가 들어간 데서 알 수 있듯 꽃에서 고기 썩는, 그리 유쾌하지 않은 냄새가 나는데, 그 냄새로 곤충이나 육식성 동물들을 불러 모아 꽃가루받이에 활용한다고 합니다.
Where is it?
산림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강원도 이북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고만 돼 있는데, 설악산과 대관령, 점봉산, 오대산, 태백산 등 강원 지역뿐 아니라 최근 울산, 경남, 전북 등 중부 이남의 숲에서도 자생지가 확인되고 있다. 이 중 강원도 평창의 선자령과 전북 순창의 쌍치(雙峙), 울산의 울산하늘공원 등이 야생화 동호인이 많이 찾는 자생지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