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시 상승세 올라 탄 '은행주'
- 정부가 집값 과열을 막기 위해 ‘12·16 부동산 종합 대책’을 꺼내자 은행주들은 즉각 반응했다. 대출, 세제, 청약 등을 강력하게 옥죄는 초강력 부동산 대책에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 은행주의 주가가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선 것. 그럼에도 증권가는 이번 부동산 대책이 은행주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으로 봤다. 은행주는 이익 안정성이 높고 밸류에이션이 가치 대비 낮은 데가 전향적 배당정책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돼 투자 대상으로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는 것이 증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 2019-12-19 18:07
-
- 이유 있는 '신고가 행진'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연일 장중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우고 있다. 그동안 움츠러들었던 투자심리가 최근 다시 살아난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 따르면 D램의 가격 하락세가 축소되면서 내년엔 상승세 전환이 예상된다. 낸드는 이미 업황 반등에 따른 가격 상승 사이클에 진입했다. 또 내년 폴더블스마트폰 판매량은 600만~800만대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투자자들이 주가 고점을 잡기 위해 눈치를 살피는 이유다. ◇메모리업황 선도하는 삼성전자 DB금융투자는 삼성전자의 올 4분기 매출액을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60조8000억 원
- 2019-12-18 17:17
-
- 악재 털어내고 불확실성 해소
- 2019년 제약·바이오업계는 어려운 한 해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1월 2일 2041.59였던 코스피 200 헬스케어지수는 지난 8월 6일 1412.55로 30.8% 하락했다. 기대감이 높았던 굵직한 기업들의 임상 실패나 기술계약 반환 등 잇단 악재 때문이다. 하지만 하반기 이후 변화된 흐름이 감지된다. 바닥을 찍은 헬스케어지수는 4개월여 기간이 흐른 17일 현재 1789.67로 올라왔다. 완전히 회복하진 않았지만 이를 두고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제약·바이오업계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과정이라고 분석한다. 폭풍이
- 2019-12-17 17:13
-
- 안에서 새면 밖에서 메운다
-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로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지만 증권가에선 건설업종 투자에 대해 여전히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올해 건설사들이 비교적 선방한 실적을 거둔 것을 고려하면 주가 하락 폭이 과도하다는 것. 오히려 낮아진 기대치를 활용하면 충분히 투자가치가 있다는 얘기다. 건설주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 영향과 부진한 해외 수주 등으로 지난 7월 초부터 가라앉았다. 하지만 한국 설계조달시공(EPC)기업의 해외 수주 파이프라인이 올해 말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집중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풍부한 입찰 파이프라인은 수주 증
- 2019-12-16 16:29
-
- 실적에 ‘투자포인트’ 있다
- 최근 11월 실적을 공개한 신세계와 이마트에 대해 증권사들이 잇따라 ‘매수’ 의견을 내놓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1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100.9를 기록해 낙관적으로 돌아섰고 내년 한·중 관계 개선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이들 종목의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세계: 명품 브랜드 라인업 강점 먼저 신세계의 11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었지만 전월 대비로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을 가질 만한 투자포인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세계의 11월 별도기준 매출 1412억원으
- 2019-12-13 1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