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올 1분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깜짝 실적’을 달성해 주목 받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올 2분기도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투자 매력이 커지는 상황이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요 증가 SK하이닉스의 올 1분기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4% 늘어난 7조2000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이 239% 증가한 8000억 원을 달성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순이익은 6500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SK하이닉스의 ‘깜짝 실적’ 달성은 지난해 4분기부터 하이퍼스케일러의
롯데칠성의 실적이 올 하반기에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불합리한 비용 축소와 판촉 효율화 등의 강력한 구조조정과 다방면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롯데칠성 주가는 주류부문의 점유율 하락을 감안하더라도 음료부문의 높은 브랜드력과 매출원가 개선, 조직 및 비용 효율화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수준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매출 타격 예상되지만, 놀라운 비용 효율화 NH투자증권은 롯데칠성의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2% 감조한 5164억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4분기에 이어 40% 수준의 매출총이익을 유지하면서 가동률 상승에 따른 레버리지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비어(Vir)바이오테크놀로지와 4400억 원 규모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치료용 항체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올해는 3공장 수주목표 60%를 조기에 달성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기대가 커지는 분위기다. 강하영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추가적인 신규 수주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알츠하이머 치료제 수주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4공장 증설 계획도 구체화될 전망”이라
최근 영화 ‘기생충’과 드라마 ‘킹덤’ 효과로 K-콘텐츠의 글로벌 인지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실내 활동이 늘며 국내외 콘텐츠 수요가 증가한 상황. 언택트(Untact) 시대가 판매자 시장을 이끌고 있는 가운데 양질의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보유한 ‘스튜디오드래곤’의 수혜가 기대된다. 이화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가구당 주말 TV 시청 시간이 지난 2월 627분, 3월 647분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1분, 69분 늘었다”며 “글로벌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의 신규 구독자 증
삼양식품의 올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와 함께 2분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관측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지난달 19일 7만1000원이었던 삼양식품 주가는 이달 7일 2만9500원(41.6%) 오른 10만500원으로 장을 마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해외 매출비중 확대 전망 키움증권에 따르면 삼양식품의 올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 성장한 210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전망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라면 수요 증가로 내수
포스코케미칼이 2000억 원 규모의 설비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차전지 인조흑연음극재 공장 건설계획 공시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살아나고 있어서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올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관측이 흘러나오고 있다. ◇유가 추가하락 없으면 수익성 회복 포스코케미칼은 2024년까지 1만6000톤 규모의 2차전지 인조흑연음극재 생산을 위해 2177억 원의 설비투자를 하겠다고 지난달 30일 공시했다. 이는 40kw 전기차 기준 약 40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약 1800억 원의 매출액
카카오는 비대면 경제(Untact Economy)의 수혜 종목 중 하나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하루 종일 사람들과 만나지 못하지만 카카오를 통해 대화하고, 선물을 보내고, 쇼핑하고, 게임하고, 웹툰·웹소설을 즐기고, 동영상을 보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실제 코로나19 사태가 벌어진 이후 재택근무가 늘었고, 사람들의 실내활동시간이 길어지며 인터넷 사용량과 콘텐츠 소모량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 2월 카카오톡의 사용시간은 전월 대비 18%가 상승했다. ◇카카오 핵심 투자포인트는? 유진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카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대외 변수에도 꾸준히 수요가 유지되는 종목이 있어 관심이 쏠린다. 바로 웹툰과 웹소설 콘텐츠로 독보적인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사업자(CP)인 ‘디앤씨미디어’다. ◇안정적 실적과 2차 판권 기대 디앤씨미디어가 제공하는 웹툰의 카카오페이지 플랫폼 내 구독자 수 총합은 지난주 기준 약 26000만 명으로 전년 대기 4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디앤씨미디어의 성장은 일본 등 해외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낸다. 지난 2월 ‘나 혼자만 레벨업’이 픽코마 TV 광고에 노출돼 유입 구독자 수가 급증하면
LG이노텍의 올 1분기 실적 상승이 전망되면서 투자 매력이 살아나고 있다. 대신증권은 LG이노텍의 올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 442억 원을 크게 상회한 847억 원을 기록하며 서프라이즈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한 1조6490억 원으로 추정했다. ◇저평가된 주가, 수요 둔화에도 매력적 LG이노텍의 실적 서프라이즈가 예상되는 배경은 이렇다. 먼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광학솔루션의 매출이 큰 폭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부각됐으나 전략고객사의 신모델 생산이 3월에
한국전력이 올 1분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투자자들에게 주목 받고 있다. 그동안 지속된 원자재 하락과 원전가동률 회복이 예상되면서 주가 상승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충분한 반등 기대감 SK증권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전력판매량 감소가 예상됐지만 올 1분기 중 나타난 수치는 크지 않았다. 또한 전력구매 역시 줄어들 것으로 추정돼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지난해 지속된 석탄 가격 하락이 올 상반기 중에 반영되고, 지난해 4분기
펄어비스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올해는 큰 폭의 성장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게 증권사들의 진단이다. 다만 올 하반기에 기대 요인이 포진해 있는 만큼 내년에는 투자 매력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단기간 주가 상승 여력 ‘제한적’ DB금융투자는 펄어비스의 올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한 1339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영업이익은 147% 늘어난 448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 405억 원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하이투자증권은 올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
녹십자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수익성이 회복될 전망이다. 백신부문 매출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DB금융투자에 따르면 녹십자의 올 1분기 백신 수출은 입찰공급 물량 증가 따라 지난해 27억 원에서 크게 증가한 15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녹십자의 현재 주가가 지난해 매출액의 60%에도 못 미치던 2010년 수준인 점도 투자 심리를 자극한다. 구자용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전통적인 백신 전문기업인 녹십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시작했고 파이프라인 이벤트도 보유했다”고 설명했다. ◇녹십
제주항공이 지난 2일 이스타항공 지분 51.17% 취득을 결정하며 공룡 저비용항공사(LCC)로 변신했다. 국제선 시장점유율(승객수 기준)으로 3위가 7위 업체를 인수한 것이다. 2위인 아시아나항공과의 격차는 2.7%포인트로 좁혀졌고, 4위인 진에어와의 격차는 7.0%로 벌어졌다. ◇당장 재무부담 눈 여겨 봐야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을 인수하자 항공업계를 주시하던 투자자들의 관심도 동반 상승했다. 지난 2일 종가기준 1만9950원이었던 제주항공 주가는 다음 거래일인 3일 2만1350원으로 1400원(7.02%)이 올랐다. 최근 몇 년
반도채소재 부품 전문기업 하나머티리얼즈의 실적 회복 신호가 감지된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부진했지만 전 분기 대비 상승 전환한 흐름이 눈에 띈다. 올해는 최대 매출액 달성이 가능하다는 증권가의 전망도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년보다 줄었으나 전 분기보다 늘어 메리츠종금증권은 하나머티리얼즈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456억 원, 영업이익이 36% 줄어든 96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30%, 25% 성장할 것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화장품업체들의 실적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단기적인 타격 이후 빠른 실적 회복이 기대되는 종목도 있어 눈길을 끈다. 오히려 손세정제 매출이 3배 이상 증가한 ‘코스맥스’가 대표적이다. ◇올해 수익성 개선 ‘긍정적’ 화장품 제조업체 코스맥스의 국내 사업은 현재까지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올 1분기 국내외 실적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코스맥스의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