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현대글로비스의 미주지역 기업설명회(NDR) 결과에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원가 경쟁력 기반으로 완성차해상운송(PCC)부문 비계열 매출 확대와 시장 점유율,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는 내용이다. 또한 계열사 해외법인 차량 생산 확대로 반조립제품(CKD)부문 매출도 확대가 전망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최근 주가 하락을 저가 매수 기회로 볼 만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뚜렷한’ 벨류에이션 메리트 NH투자증권에 따르면 NDR 결과 투자자들은 현대글로비스가 지난해 높은 이익 개선 폭을 나타낸 부분에 긍정적인 반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급사인 포스코케미칼이 LG화학과 양극재 공급계약을 맺은 이후 투자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LG화학과의 양극재 공급계약 체결을 ‘품질을 증명 받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서다. 앞으로 포스코케미칼은 다른 고객사 확보가 수월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자금조달 환경이 우호적이라 추가 증설 가능성도 엿볼 수 있는 상황이다. ◇높아지는 증설 가능성 포스코케미칼은 지난달 21일 글로벌 톱 배터리팩 제조사인 LG화학과 양극재 중장기 단가 및 공급계약 맺었다. 계약금액은 1조8500억 원으로 기간은 2022년 말까지
코오롱인더가 지난해 4분기 부진한 실적을 냈다. 전 사업부의 일회성비용이 반영되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된 영향 때문이다. 하지만 증권사들의 분석이 부정적이지만은 않아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저조했던 실적을 올해 회복해나갈 것으로 예상돼서다. 코오롱인더는 오히려 주가가 바닥을 찍은 상황에서 상승여력을 품은 ‘관심주’로 주목받고 있다. ◇4분기 실적과 주가가 부진한 까닭 코오롱인더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6%가량 증가한 1조1327억 원을 기록했다. 연간으로는 약 4조4000억 원의 매출액을 달성
부동산 안정화를 위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지만 토털 인테리어 리모델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샘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식을 줄 모른다. 정부의 도시정비 규제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는 올해 181만 세대에서 2030년 521만 세대로 늘어날 전망이라서다. 정부가 도시정비 규제에 대한 입장을 바꿔도 사업기간은 10년 이상 걸려 노후 아파트의 리모델링 수요는 줄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리하우스 중심으로 ‘외형성장’ NH투자증권에 따르면 현재 시장은 한샘이 리하우스 중심으로 외형 성장을 할 수 있는 상황이
CJ제일제당이 지난해 4분기 물류를 제외한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4% 증가한 3조3236억 원, 65.2% 늘어난 1721억 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55% 증가한 491억 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DB금융투자는 △이른 설에 따른 세트 매출 증가 △쉬완즈 제외 가공식품 수익성 개선 △바이오부문의 고수익 제품 확대·원가 개선 △사료부문 축산물 가격 상승 등을 실적 개선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이와 함께 쉬완즈 PPA비용(M
컴투스가 지난해 기존 게임들의 저력을 보여줬다. 올해도 신작 출시가 대거 예정돼 투자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올해 신작 출시에 따른 성과가 주가를 끌어올릴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서머너즈워’ IP 확장이 본격화되는 점을 주시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주가의 하방경직성 확보 컴투스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1216억 원, 영업이익은 1.5% 증가한 332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충족했다. ‘서머너즈워’와 야구 라인업 매출액 모두 전분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서머
KT&G의 실적과 주가가 힘을 잃은 모양새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고 주가는 바닥을 찍었다. 다만 증권사들은 KT&G에 대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유지했다. KT&G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중동향 수출 해결과제 KT&G 주가가 지난해 10월 이후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7일 9만3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최근 1년 사이 가장 낮은 주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날 9만9500원보다 9200원이 빠진 금액이다. 또한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SKC가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친 성적을 내놨다. 시장에서는 예견된 실적. 오히려 올해 본격적인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평가가 나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다만 증권 전문가들은 SKC가 단기적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갈 가능성을 보며 ‘중장기적’으로 접근할 것으로 권유했다. ◇회사구조 혁신적으로 변하는 시기 SKC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6601억 원, 영업이익은 301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의 경우 전 분기보다 3.7% 늘었지만 시장 기대치에 못 미쳤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3.1% 감소했고 전 분기보다는 25.
미래에셋대우가 지난해 4분기에도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내며 2019년 매 분기 어닝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2020년 전망도 긍정적이다. 투자자산 매각이익 증가가 올해 실적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투자 확대와 투자 다변화 미래에셋대우의 지난해 4분기 지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03.8% 증가한 1362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다. 투자은행(IB)부문, 트레이딩부문, 해외법인 수익이 전체 실적을 견인해 어닝서프라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IB부문은 인수주선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문 수수
하나금융지주가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는 성적표를 내놨다. 하지만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경상 순이익은 무난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무엇보다 저평가 요인을 상당부분 해소하면서 투자매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관측이 흘러나온다. 불확실성을 조기에 반영해 올해 이익 개선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상당부분 해소된 저평가 요인 하나금융지주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3672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15%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베트남 자산 1위 은행인 BIDV 지분 인수 관련 일회성 이익이 2286억 원 발
이노션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훌쩍 뛰어넘었다. 주가도 반응했다. 지난 4일 이노션 주가는 장중에 7만7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올해도 긍정적이다. 국내외 모든 지역에서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이에 증권사들은 저마다 이노션 매수 대응 전략을 추천한다. ◇시장 기대치 뛰어넘은 실적 이노션의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총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1% 성장한 1528억 원, 영업이익은 17.7% 증가한 397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이노션의 성장
종근당이 주요 전문의약품(ETC) 품목 성장과 라니티딘 사태의 반사 수혜로 지난해 4분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투자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그렇다면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 증권사들은 연구개발(R&D)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한다. ◇늘어난 R&D 비용에 ‘주목’하라 종근당의 지난해 4분기 개별 매출액은 297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8% 늘어난 210억 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16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0% 성장했다
LG이노텍이 북미 고객사 신형 스마트폰 판매 호조세와 기판 사업부의 양호한 실적 달성으로 시장 기대치를 넘어선 성적을 거뒀다. 증권가에서는 LG이노텍이 올해도 이런 트렌드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본다. 이에 최근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분석과 맞물려 투자 매력이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주가 추가 상승 여력 존재 LG이노텍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2조96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0%, 전 분기 대비 21.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9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0%, 직전 분기보다 12.2% 늘어난 호실적을
현대건설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의 기대에 못 미쳤다. 현대건설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4조7000억 원, 영업이익은 192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 18.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기대 이상의 매출 성장에도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는 평가다. 시장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이유는 송도 랜드마크 관련 손실 370억 원과 해외 프로젝트 중 쿠웨이트 도로, 싱가포르 전력구 터널, 우루과이 발전 등에서 800억 원 손실, 환 관련 손실 600억 원 등이 반영돼서다. 하지만 올해는 뚜렷한 증익이 예상돼
현대백화점에 대한 투자 전망이 살아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예년보다 춥지 않은 겨울 날씨로 고가의 의류 판매가 저조한 성적을 보이면서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 하지만 면세점의 성장세와 신규 출점 효과로 주가 상승 모멘텀이 이어질 것이라는 증권가의 분석이 나오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현 주가는 절대적 저평가 영역 키움증권은 현대백화점의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2% 늘어난 1002억 원으로 예상했다. 백화점부문은 기존점 성장률을 1~2% 수준으로 추산했으나 예년보다 춥지 않은 날씨로 수익성은 전년 동기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