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니어 자산관리 시장의 큰 축 ‘월분배형 ETF’
- 월분배형 ETF가 시니어 자산관리 시장의 큰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월분배형 ETF는 주식, 채권, 옵션, 리츠 등의 기초자산에 투자해 해당 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 이자, 옵션 프리미엄 등을 수취하고 이를 매월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상품이다. 2023년 말 3조 4000억 원 수준이던 월분배형 ETF 순자산 총액은 2024년 말 19조 4000억 원에 달
- 2025-02-18 08:41
-
- 시중은행, 은퇴 세대 위한 특화 공간 확보에 ‘총력’
- 금융 정보나 디지털 기기와 친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점포가 생긴 지도 몇 년이 흘렀다. 이제는 거기에 더해 은퇴 세대를 위한 심화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노후 최소 생활비에 대해 개인 월 124만 3000원, 부부 월 198만 7000원으로 추정한다. 노후 적정 생활비는 개인 177만 3000원, 부부 277만 원
- 2025-02-13 09:06
-
- 배우 서영희가 말하는 일과 가정 사이… “나를 위한 균형의 기술”
- 모진 고통 속에서도 딸을 지키고자 부단히 애쓴 엄마(‘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였으며, 엄마의 마음을 몰라주는 무뚝뚝한 딸(‘수상한 그녀’)이기도 했다. 작품 속 다양한 캐릭터를 연기했지만, 실제 서영희의 성격과 맞닿아 있진 않았다. 스트레스를 잘 받지 않는 무던한 성격을 지닌 그는 스스로를 행복한 이기주의자라고 말한다. 작품 활동을 꾸준히
- 2025-02-07 08:44
-
- “50대, 은퇴 준비 마지막 골든타임” 은퇴 전후 50·60 재테크 전략
- 최근 세대별로 자산관리 전략이 달라지고 있다. 특히 전체 인구의 약 1/4에 해당하는 5060세대는 은퇴를 경험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재정적 준비는 생존과 안정된 노후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어떻게 효율적인 재테크 전략을 세워야 할지, 김진웅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연구위원과 함께 알아봤다. 노후 자산 ₩0
- 2025-02-03 23:14
-
- “경제적 불확실성, 중장년의 불황형 소비 패턴 만들어”
- 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경제성장은 더딘 요즘.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소비에 집착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에 대해 연구하는 이준영 상명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를 만나 먹고사는 생존 소비로 인해 바뀌는 소비 패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생존 소비 저성장·고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필수 생활비만 지출하려는 경향이 커
- 2025-01-20 08:57
-
- [2025 시니어 소비 트렌드③] 개성 표현하는 소비 ‘중고거래’
- 몇 년째 계속된 고물가·고금리 시대에 경기침체까지 이어지며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2025년에도 비용, 소비 경험, 미래 가치 등 여러 가지를 심사숙고한 소비 경향이 이어질 전망이다. 불황기에 달라진 대표적인 4050의 소비 형태 세 가지를 꼽아봤다. 03 중고 거래 코로나19 이후 모바일과 전자상거래에 익숙해진 405
- 2025-01-15 08:14
-
- [2025 시니어 소비 트렌드②] TV홈쇼핑은 옛말, 이젠 ‘라이브커머스’
- 몇 년째 계속된 고물가·고금리 시대에 경기침체까지 이어지며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2025년에도 비용, 소비 경험, 미래 가치 등 여러 가지를 심사숙고한 소비 경향이 이어질 전망이다. 불황기에 달라진 대표적인 4050의 소비 형태 세 가지를 꼽아봤다. 02 라이브커머스 60대 이상 시니어가 TV홈쇼핑을 주로 이용했다면,
- 2025-01-14 08:49
-
- [2025 시니어 소비 트렌드①] 넷플릭스부터 관람까지 ‘구독경제’ 시대
- 몇 년째 계속된 고물가·고금리 시대에 경기침체까지 이어지며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2025년에도 비용, 소비 경험, 미래 가치 등 여러 가지를 심사숙고한 소비 경향이 이어질 전망이다. 불황기에 달라진 대표적인 4050의 소비 형태 세 가지를 꼽아봤다. 01 구독경제 과거 신문, 우유 구독으로 시작했던 구독경제는 렌털
- 2025-01-13 08:53
-
-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 역대급 폐업 신고가 잇따르고 임의경매 매물이 급격히 늘었다는 2024년의 한숨은 2025년에도 지난하게 이어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으로 들어서는 모습’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지속되는 불황기, 시니어는 어떻게 소비해야 할까? 책 ‘트렌드 코리아 2025’는 백찬규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의 전망을 통해 “2025년은 크게 성장
- 2025-01-08 08:45
-
-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 지난해 중장년층(40~64세)의 평균소득은 4259만 원으로 청년층(15~39세)의 1.4배, 노년층(65세 이상)의 2.3배로 나타났다. 또한 총인구에서 중장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40%를 웃돌았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3년 생애 단계별 행정통계’에 따르면 중장년층은 2017만 8000명으로 총 인구의 40.5%를 차지했다. 청년층은 146
- 2025-01-07 0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