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산업 연 8% 성장…독일 국제 재활전시회 개최

입력 2025-07-15 13:36

재활관련 기업 최신 기술과 솔루션 선보여, 국내 기업 수출 확대 기회도

▲‘REHACARE 2024’ 전시회를 찾은 방문객의 모습. 해당 전시회는 B2B 및 실수요층을 위한 행사로, 참가사는 실제 사용자들을 통해 피드백을 들을 수 있다(라인메쎄)
▲‘REHACARE 2024’ 전시회를 찾은 방문객의 모습. 해당 전시회는 B2B 및 실수요층을 위한 행사로, 참가사는 실제 사용자들을 통해 피드백을 들을 수 있다(라인메쎄)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자 증가, 재택 재활 수요 확대에 따라 글로벌 재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국제 재활 및 돌봄 산업 전시회(REHACARE 2025)가 ‘자기결정권을 지닌 삶’을 주제로 9월17일부터 2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린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재활 장비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8.3% 성장해 약 272억 달러(약 37조 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의료 및 돌봄 산업 전반에서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과의 융합이 가속화되며, 재활 솔루션에 대한 수요 역시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다.

이러한 시장 흐름 속에서 ‘REHACARE 2025’는 전 세계 재활 관련 기업들의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REHACARE’는 재활 보조기기, 치료 장비, 스마트 돌봄 기술, 이동성 솔루션과 같은 제품군을 아우르며, 장애인·고령자·만성질환자 당사자는 물론 정책 결정자, 유통사, 협회, 스타트업 등의 이해 관계자가 참가한다.

지난 전시회에는 40개국 948개 기업, 88개국에서 4만 4000명 이상이 현장을 찾았으며, 이 중 실질적인 구매 결정권을 가진 바이어의 비중이 73%에 달했다.

올해 전시회에는 카르마(Karma), 파라반(Paravan), 라이프워드(구 리워크) 등 다양한 재활 선도 기업들이 참가한다. 전시와 함께 부대 프로그램도 강화했다.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소개하는 ‘Product & News Forum’, 모빌리티·여행·스포츠·의료공급산업 전반을 다루는 ‘Meeting Point REHACARE Forum’, 현장 스포츠 시연 행사 등이다.

국내에서는 토도웍스, 엔에스비에스, 영원메디칼, 케어메이트 등 약 15개사가 참가한다. 라인메쎄 관계자는 “‘REHACARE’는 한국 기업에게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및 수출 판로 확보의 전략적 기회가 될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코리아케어서프라이, 복지용구를 넘어 파크골프로 도약
    코리아케어서프라이, 복지용구를 넘어 파크골프로 도약
  • '초고령사회는 기회' 고려대 글로벌 시니어비즈니스 최고위과정 개설
    '초고령사회는 기회' 고려대 글로벌 시니어비즈니스 최고위과정 개설
  • 젤스 인수한 삼성, 시니어 건강관리 새 장 여나?
    젤스 인수한 삼성, 시니어 건강관리 새 장 여나?
  • 시원하게 잠드는 추천 아이템 15종
    시원하게 잠드는 추천 아이템 15종
  • 상반기 日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키워드는 ‘자립’
    상반기 日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키워드는 ‘자립’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