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25%로 인하했다. 부진한 경제성장률과 취약업종 구조조정에 따른 경기 둔화를 우려해 선제로 금리 인하 카드를 빼 들었다고 언론에서 발표했다. 금리를 인하하면 뭉칫돈이 부동산과 주식시장에 몰리면서 경기가 되살아나고, 돈들이 공장을 돌리고 데 사용되며, 가계는 소비를 늘려 돈이 제대로 돌아 ‘돈맥 경화’가 해소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도
#3년 전 은퇴한 김한식(58·인천)씨는 최근 들어 한숨이 깊어졌다. 퇴직 후 예금이자와 연금으로 생활해 왔는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사실상 이자소득이 0%대로 접어들면서 생계가 막막해졌기 때문이다. 당장 다음달 만기를 앞둔 돈을 어디에 맡겨야 할지 막막하다. 대출이자도 낮아졌다 하니 이참에 집을 담보로 창업에라도 나서야 할지 고민이 크다.
글로벌 경제 상황이 올 들어 어떻게 전개될지 한 치 앞도 보기 힘든 지금, 투자자들의 고민도 한층 깊어지고 있다.
미국 금융전문매체 마켓워치는 최근 장기 미국 국채와 장기 물가연동채권(TIPS), 산업용 원자재, 신흥시장 채권 등 네 가지 자산에 대한 투자를 피하라고 제언했다.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최근 2.7%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는 사
‘고금리·환차익·비과세’ 3가지 매력을 고루 갖추며 슈퍼리치들의 자금을 빨아들였던 브라질 국채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해 5월 양적완화(QE) 출구전략을 예고하면서 금리가 상승해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달러 대비 헤알화 가치가 약세로 돌아서며 막대한 투자손실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조차 브라질 국채 투자에 대
아시아가 올해 기준금리를 잇따라 올리는 등 긴축모드로 접어들 전망이라고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지난해에는 아시아에서 인도와 인도네시아만이 기준금리 인상 등 긴축정책을 펼쳤으나 올해는 나머지 국가들도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호주뉴질랜드뱅킹그룹(ANZ)의 글렌 맥과이어 아시아ㆍ태평양 담당 수석 이코
금값이 2013년에 하락한 가운데 2014년에도 두자릿수 낙폭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CNBC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미닉 슈나이더 UBS웰스매니지먼트 비전통자산투자책임자는 “금 투자자들은 올해 다시 끔찍한 한 해를 보낼 것”이라면서 “올해 금값이 온스당 1050달러로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전망대로라면 금값은 현 수준에서 13% 하락하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가 본격화되면서 자산관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불균형이 완화되면서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확산되고 자금 흐름도 ‘신흥국→선진국’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그레이트로테이션(자금대이동, Great Rotation)이다. 전문가들은 자산시장 변화에 발맞춰 위험자산, 미국 금리상승, 글로벌 경기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포트폴리오를
금값이 2013년에 하락한 가운데 2014년에도 두자릿수 낙폭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CNBC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미닉 슈나이더 UBS웰스매니지먼트 비전통자산투자책임자는 “금 투자자들은 올해 다시 끔찍한 한 해를 보낼 것”이라면서 “올해 금값이 온스당 1050달러로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전망대로라면 금값은 현 수준에서 13% 하락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