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은 나이 타령을 너무 많이 해요.
‘이 나이에’라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부디 호기심을 잃지 마세요.
다 안다고 생각하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게 어려워요.
경험을 바탕으로 150세 시대를 계획해 보세요.
나이 먹는다는 건 진화한다는 뜻입니다.
- 김병숙, 한국직업상담협회 이사장
(시니어 매거진 2023년 4월호 인터뷰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브라보 마이 라이프(@bravomylifemag)님의 공유 게시물
배우 송일국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 가장 중요한 건 가족이죠. 그건 대부분의 사람이 마찬가지 일 겁니다.
또 하나는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늘 천국은 마음 안에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위만
힘들고 외롭고 헛헛한 시간을 보내는 중년이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벌써 이렇게 살아왔나 싶고… 후회되는 순간도 많죠.
그런데 지금 그 자리가 최선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지나간 날은 돌아오지 않아요. 중년 여러분, 늘 응원합니다!
- 조은숙, 배우
(시니어 매거진 2023년 9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정 디자인 이은숙
도쿄에는 시니어의 천국이라고 불리는 실버 거리가 있다. ‘100년 생활자 연구소’가 전통 있는 상점가에서 지난해부터 운영하는 이색적인 카페 ‘100년 생활 카페’를 찾아가 봤다.
스가모역에 내리면 모든 것이 편안하게 느껴진다. 도로 턱도 없고 가격표도 크게 쓰여 있어 쉽게 읽을 수 있다. 스가모역 바로 앞에서 시작해 780m에 이르는 상점가에는
1. ‘나다움’ 파고들기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을 싫어하는지와 같이 나에 대해 알아가야 한다. 창업자의 ‘나다움’이 브랜드의 방향성과 일치하거나 최소한 비슷한 결이어야 지속 가능한 브랜드로 살아남을 수 있다. 스몰브랜드 핵심 가치인 ‘진정성’도 전달 가능하다.
2. 이야기 전하기
창업자의 일상도 좋고, 브랜드 정
나이 먹는다는 건 정말 신나는 일이에요!
살아온 세월이 다 없어진 것 같지만 어떤 형태로든 쌓여 있거든요.
그게 내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요.
저는 지난 70여 년의 시간이 정말 좋았어요.
80대에는 또 어떤 멋진 노래를 부를지 기대돼요.
- 최백호, 가수
(시니어 매거진 2022년 1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정 디자
지난 16일 써드에이지의 주최로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 세미나가 개최됐다. 최근 써드에이지는 '살던 곳에서 나이 들기(AIP: Aging In Place)'와 관련된 선진 사례를 소개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칼럼을 연재하고 세미나와 포럼을 개최해왔다. 이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8월 16일 에이슬립 스타트업 공간에서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 세
‘고소득 취업 보장, 2주 만에 취득 가능, 국가가 인정한 전문 자격, 응시료 전액 무료.’ 몇몇 민간자격증 홍보물에 쓰이는 문장이다. 사실 이 정도라면 거의 허위·과대광고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다른 건 몰라도 ‘취업 보장’이라는 멘트는 일단 걸러야 한다는 게 업계 의견. 달콤한 미끼로 보이지만 실은 독과 같은 문구를 정리했다.
이제는 적어도 퇴직 5년 전부터 준비하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미리 공부도 해놓고, 자격증도 따놓고, 업계 분위기를 익히면서 준비하지 않으면
퇴직 후 현실 속에서 좌절하기 쉽습니다.
- 김동환, 서울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학과장
(시니어 매거진 2021년 12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이준호 디자인 유영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