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고] 박희준씨 별세 - 박승진씨 부친상
- ▲박희준(前 희보영상 대표)씨 별세, 박승진(사업)ㆍ상훈(KTV 국민방송 카메라기자)ㆍ승혜씨 부친상, 이재국(금융감독원 거시감독국 팀장)씨 장인상=1일 오전 이대목동병원, 발인 4일 오전, 02-2650-2742
- 2014-04-03 08:33
-
- 4월 서울서 재개발·재건축 분양대전 펼쳐진다
- 4월 봄바람을 타고 주요 건설사들이 알짜 서울 재개발·재건축 물량을 대거 내놓는다. 수요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서울 재개발·재건축 물량이 4월에만 총 6704가구 중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일반분양 2150가구가 쏟아질 예정이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4월 서울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분양에 나설 업체들은 금호건설,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SK건
- 2014-04-01 16:44
-
- [부고] 주정숙씨 별세 - 박대영씨 부인상
- ▲주정숙씨 별세, 박대영(우리투자증권 이사)씨 부인상=31일 오전 이대목동병원, 발인 2일 오전, 02-2650-5121
- 2014-04-01 08:55
-
- [건강강좌]이대목동병원 어깨질환센터, 25일 건강강좌 개최
- 이대목동병원 어깨질환센터는 오는 25일 2층 대회의실에서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신상진 어깨질환센터장이 연자로 나서 어깨질환 전반에 대한 강의와 함께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진다. 참석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초음파 무료검진을 진행하며 참석자 전원에게 어깨 운동 기구, 어깨관절 질환 가이드북과 어깨 운동 책자 및 동영상 CD 등을 제공한다. 문의 02-2650
- 2014-03-18 10:27
-
- 아파트 전셋값 81주째 올랐다
- "전세물건이 없어요. 나오면 바로 나가요. 목동5단지 115㎡ 아파트 전셋값이 작년 8월만 해도 4억5000만원 정도였는데 연초 1억원 올라 현재 5억5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어요" 전셋값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임대인의 월세전환과 임차인의 전세선호로 인한 수급불균형 현상이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13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금은 지난
- 2014-03-13 15:20
-
- 집값 상승 1등 공신, 교육여건 좋은 아파트는 어디?
-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학군이 우수한 지역에 분양하는 아파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우수한 교육여건은 훗날 아파트 가격에도 영향을 크게 미친다. 특히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세계에서 최고 수준이다. 부동산 개발 역시 교육여건에 따라 발전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학군에 대한 관심이 높다. 때문에 같은 지역 안에서도 학군이 좋고 학부모들에게 선호도
- 2014-03-06 17:58
-
- [부고] 신동순씨 별세 - 임헌정씨 모친상
- ▲신동순씨 별세, 임헌정(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씨 모친상=2일13시20분 이대목동병원, 발인 4일8시, 02-2650-5121
- 2014-03-03 08:03
-
- 올 봄 10대건설사 분양 아파트 ‘봇물’
- 올 봄 10대 건설사가 전국 각지에서 브랜드 아파트를 대거 쏟아낼 예정이어서 눈길을 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청약경쟁률 상위 20개 단지 중 무려 60%인 12개 단지가 10대 건설사 분양물량이었다. 이중 판교 알파리움 등 3개 공공단지를 제외하면 민간단지 중에서는 70%가 넘어서는 수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대형건설사 브랜드아파트의 인기
- 2014-02-28 18:12
-
- [부고] 원용경씨 별세 - 이영희씨 부인상
- ▲원용경씨 별세, 이영희(前 삼척탄좌 부사장)씨 부인상, 이경희(前 UBS 이사)ㆍ경미(주부)ㆍ광철(미국 거주)씨 모친상, 이범천(사업)ㆍ김현철(SBS 보도국 부장)씨 장모상=26일16시30분 이대목동병원, 발인 28일12시, 02-2650-5121
- 2014-02-27 08:29
-
- 다가오는 3월, 분양물량 9년만에 최대
- 3월에 아파트 분양물량이 2만5천가구가 쏟아진다. 이는 지난 2005년 이후 9년 만에 최대물량이다. 26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2014년 3월에 전국에서 분양예정인 아파트는 37곳, 2만5443가구로 조사 됐다. 전년동기(24곳, 1만7263가구) 대비 47% 늘었다. 2005년 2만6천가구가 분양된 이후 최대 물량이다. 권역별로 △수도권 14곳,
- 2014-02-26 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