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최경진의 세 번째 사진전, ‘히말라야, 오름’이 9월 8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성수동 파머스카페 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이번 사진전에서는 최 작가가 네팔과 제주를 오가며 촬영한 사진 약 30여 점이 전시된다. 국내에서는 제주에 터를 잡고 ‘오름 사진작가’로 활동 중인 최경진 작가는 히말라야 산맥을 12회 방문했을 정도로 네팔에 대한 애정이 깊다.
동창을 채운 메타세쿼이아는 오늘도 씩씩하다
수줍은 듯 땅을 향한 수양버들 가지와 다르다
아래를 보고 사는 이는 현재를 위해 산다면
위를 보고 살아야 할까 미래를 위해선
언제부터인가 메타세쿼이아는
올곧게 그리고 하늘 높이
화살표를 만들며 자라나고 있다
그저 보고 있는 것으로 힘을 얻는다
물의 흐름을 따라 일렁이는 형형색색의 수초들, 그리고 그 사이로 유영하는 물고기. 일상의 많은 자극을 잠시 멀리하고 수족관을 멍하니 바라보는 일은 몸과 마음의 안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 취향대로 돌과 유목, 다양한 수초로 어항을 꾸미고, 물고기를 키우는 사람이 늘었다. 여행도 운동도 즐거움이 잠시뿐이라면, 실내에서 꾸준히 즐길 취미로 ‘아쿠
비목의 주인을 알아본 것일까?
참새는 벚나무에 앉아 묵념을 한다.
날갯짓에 떨어진
벚꽃잎 자리에 새 잎이 난다.
봄 햇살의 따사로움은
지난 봄날의 아픈 기억을
역사가 만들어낸 긴 상흔을
소리 없이 치유한다.
봄은 어김 없이 찾아왔다.
추운 겨울을 보내고 오는
그런 봄이어서 더욱 반갑다.
동물 사진가 박찬원이 젖소로 돌아왔다. 박찬원의 포토 에세이 ‘사진, 울림 떨림-젖소에게 길을 묻다’가 5월 2일 발행된다.
박찬원 작가의 다른 이름은 ‘동물 사진가’이다. 그는 동물에서 ‘생명의 의미, 삶의 가치’를 찾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하루살이, 나비, 돼지, 말, 젖소 등을 주제로 해서 11회의 사진 개인전을 열기도 했다.
‘사진,
수양 벚꽃이 바람에 흔들리며
꽃향기를 흩뿌리면 봄 햇살이 그 자태를 따뜻하게 감싼다.
빛을 등진 벚꽃은 빛을 안고 있을 때보다 아름답다. 반사된 빛은 단조롭지만 투과한
빛은 깊이와 질감이 있다. 역광의 미학이다.
우리는 자연의 화려한 변화에
다시금 봄이 왔음을 알게 된다.
그 아름다움에 취하며 우리가 살아 있음에 감사함까지 느
햇살이 사물에 항상 공평하지는 않다.
빛이 기울어지는 朝夕에는 더욱 그렇다.
석양빛이 나목을 스치고 지나간다.
빛을 받은 버즘나무와 버드나무는 황금빛을 발하고
빛을 받지 못한 나무들은 어둠 속에 갇힌다.
높은 나무가 더 많은 햇살을 받는 건 세상 이치다.
빛의 차별은 대조와 입체감을 만들어낸다.
사람들이 치열하게 사는 것도
높은 곳으로
한파에 호수가 얼어붙었다. 그리고 그 위에 눈이 내렸다.
얼지 않은 곳엔 강이 생겼다. 아침 햇살이 반사되면서 존재감이 살아났다.
얼지 않았다는 것은 물밑에 움직임이 있어서다. 물길이 있다는 것이다.
물의 흐름은 에너지가 되었다.
그 힘은 한파에도, 갑작스런 폭설에도 본래를 지키게 했다.
모진 세파 속을 도도히 흘러 오늘에 이른 우리네 인생
오지 여행가이자 다큐멘터리 사진작가인 김성태(70) 씨, 그는 티베트에 이어 히말라야에 다녀왔고 책 ‘히말라야에 美치다’를 펴냈다. 출판 기념으로 개최한 사진 전시회에서 그를 만날 수 있었다. 김 작가는 ‘70세 은퇴 청년’이라는 수식어가 딱 맞는 사람이었다.
김성태 작가의 은퇴 전 직업은 기자였다. 그는 30여 년간 매일경제, 서울경제, 한
완연한 가을 날씨와 함께 본격적인 단풍철이 시작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단풍은 도심 외곽 지역인 북한산 일대에서 28일께, 도심 지역은 이보다 조금 늦은 11월 초순에 들 전망이다.
도심 주변 단풍 관광지에는 가을 정취를 만끽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현재, 거동이 불편해 단풍을 자유롭게 즐기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