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장지방 많으면 치매 걸릴 확률 커져"
- 인간의 내장지방이 인지기능 장애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일본에서 나와 관심을 끌고있다. 일본의 히로사키대학(弘前大学) 의대 연구팀과 카오(花王) 주식회사 연구소 측은 지난달 히로사키(弘前)시 주민을 대상으로 한 건강검진 진행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내장지방과 인기 기능, 뇌의 건강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사실 내장 지방과
- 2021-12-07 15:10
-
- 원예치료로 코로나 우울증 치료해요
- 전염병은 우리의 몸과 마음을 괴롭힌다. 2021 건강생활 통계정보에 따르면 우울증, 불면증, 공황장애 등 주요 정신과 질환 진료를 받은 사람이 코로나19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정신과 환자의 1인당 진료비도 늘었다. 이런 가운데 그저 공기 정화나 관상용으로 치부됐던 식물이 ‘반려’와 ‘치유’의 개념으로 확대되면서 원예치료가 코로나 블루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 2021-11-29 09:24
-
- “자식보다 낫다” 노인 돌봄 AI는 진화 중
- 기대 수명과 함께 고령자 1인 가구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독거노인의 수는 최근 5년 새 35.8%나 늘어나 166만 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노인 돌봄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자 고령자 돌봄 인력을 보조할 노인 돌봄용 AI 로봇들이 개발·도입되고 있다. 지난 6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돌봄, 의료, 웨어러블, 물류 등 4대 서비스 로
- 2021-11-01 17:54
-
- "치매 막자" 비대면 시대 맞아 돌봄 학습지에 '주목'
- 코로나19의 여파로 많은 것이 멈췄다. 코로나19는 주야간보호센터, 치매안심쉼터 등 치매 환자를 위한 관련 기관에도 타격을 줬다. 대면 관리가 축소되면서 치매 어르신의 돌봄에 사각지대가 생겼다. 다행히 멈추지 않은 것도 있다. 치매 극복을 위한 노력이다. 최근 지자체와 사회적 기업 등 다양한 곳에서 비대면 문화와 공존할 수 있는 돌봄 방식, 학습지가 개
- 2021-10-14 19:03
-
- 코로나 면역력, 스마트 숙면으로 챙긴다
- 평균 수명을 80년으로 잡았을 때 잠으로 보내는 시간은 약 26년. 전 생애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게다가 성인의 3분의 1은 수면장애를 겪는다니, 일생 3분의 1을 불면이나 수면 부족으로 인해 고통받으며 질 낮은 삶을 이어가는 셈이다. 설상가상 2년째 지속되는 코로나19로 인해 잠의 질은 더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집계한 수
- 2021-10-01 18:57
-
- 말동무 두고 올해 연도 기억하면 치매 예방 OK
- 치매를 걱정하는 시니어가 반길만한 소식이 전해졌다. 좋은 말동무가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며, 올해가 몇 년인지 묻는 질문으로 치매와 우울증을 판별할 수 있다는 국내외 연구 결과가 잇따라 나왔다. 미국 뉴욕대학 연구진이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good listener)을 곁에 두면 노년기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데
- 2021-08-20 16:56
-
- 나의 치매 발생 위험은? 여기서 확인하세요
-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간단하게 자신의 치매 발생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다. 중앙치매센터가 치매 여부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치매 종합 포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치매체크’를 소개했다. 중앙치매센터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국에서 60세 이상 치매 상병자는 83만5870명이다. 의료기관에서 치매 진단과 치매 진료를 받은 환자를 치매 상병자
- 2021-08-06 11:25
-
- 메타버스, 시니어 플랫폼으로 가능할까?
- 메타버스 관련 소식이 쏟아지고 있다. 메타버스는 현실같이 구현된 가상 세계를 뜻하는 말이다. 1992년 출간된 닐 스티븐슨의 공상과학 소설 ‘스노 크래시’ 속 가상 세계 명칭인 ‘메타버스’에서 유래했다.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되는가. 메타버스는 이미 추억 속 인물을 재현하는 기술,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 기술 등으로 우리 생
- 2021-08-06 08:51
-
- 차려 먹지 않아도 알아서 찾아오는 장수 밥상
- 주기마다 일정 금액을 지불하며 제품이나 서비스, 콘텐츠 등을 이용하는 ‘구독경제’의 몸집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제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뿐 아니라 의식주부터 취미와 여가 등 삶의 전반에 다양한 방식으로 침투하고 있다. 심심할 때 TV 대신 넷플릭스를 보고, 유튜브 구독자 수로 인기를 가늠하는 구독 전성시대, 시니어가 알아두면 좋을 이색 서비스를
- 2021-07-16 08:00
-
- 시니어, 게임하면 더 건강해진다…"노화ㆍ치매 예방에 80노인 꿈꾸게까지"
- 일본에서 기네스북에 오른 최고령 ‘이것’ 유튜버가 탄생했다. ‘이것’은 은퇴 뒤 처진 일상에 활기를 불어넣고, 치매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우리보다 16년 먼저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일본에서는 ‘이것’이 고독사와 같은 사회문제의 해결책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것’은 바로 온라인 게임이다. 국내에서는 게임이 셧다운제를 비롯해 각종 규제 도입으
- 2021-07-09 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