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춘화에서 발견한 시니어의 ‘性’
- 최근 인문학이 대세다. ◯◯인문학이라고 이름 붙이기도 따라서 유행이다. 그런데 성만 한 인문학이 또 있을까? 사람이 태어나 살아가고, 사랑을 나누고, 종족을 남기고, 늙고 죽어가는 이야기는 다 성에 있다. 성을 한자로는 ‘性’이라 표기하는데 어찌 이렇게 적확한 표현을 찾았는지 놀랍기까지 하다. 성은 그 사람의 본성을 뜻한다. ‘배정원의 성 인문학’은 역사, 예술, 사회 등 사람이 만들어가는 문화 속에서 성을 재미있게 풀어볼 것이다. 성 인문학 첫 칼럼을 시작하면서 가져온 텍스트는 ‘사시장춘’(四時長春)이다! 굳이 풀이하자면 ‘사철,
- 배정원 대한성학회장 2021-01-15
-
- ‘인생 체력’을 기르는 습관의 힘
- 지금, 인생의 체력을 길러야 할 때 제니퍼 애슈턴 저 북라이프·1만6800원 매년 새해가 되면 건강과 성공을 꿈꾸며 수많은 계획을 세운다. 멋진 몸매를 상상하며 헬스장 이용권을 끊거나 가공식품을 먹는 대신 직접 요리를 해보겠다고 결심한다. 그러나 며칠만 지나면 굳건한 다짐은 까맣게 잊고 평소와 다름없는 일상을 이어나간다. 여기 1년 동안 12개의 도전에 성공하고 인생의 변화를 맞이한 사람이 있다. 산부인과·비만 전문의 제니퍼 애슈턴 박사다. 그녀는 새해 첫날부터 한 달에 한 가지 습관을 개선하는 자신만의 도전을 시작하고 건강은 물
- 이유현 기자 2021-01-15
-
- ‘시간’을 이야기하는 넷플릭스 영화
- ‘나는 영토는 잃을지 몰라도 결코 시간은 잃지 않을 것이다.’ 프랑스의 위대한 영웅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남긴 명언이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한정적이며, 억만금을 주고도 살 수 없다. 특히 나이가 들면 시간은 그 어떤 것보다도 귀해진다. 누구나 이 사실을 알고 있지만, 눈앞의 일을 정신없이 처리하다 보면 하루는 물처럼 빠르게 흘러가고 시간의 소중함은 금세 잊히고 만다. 이번 주 브라보 안방극장에서는 시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타임 슬립’ 영화 세 편을 소개한다. 소개하는 작품들은 모두 넷플릭스에서 만나볼 수 있다. 1. 어바웃
- 이유현 기자 2021-01-08
-
- 추운 겨울 따뜻하게 채워줄 1월의 문화 소식
- ● Exhibition ◇Hullo Hullo Following on: 로즈 와일리 일정 3월 28일까지 장소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1934년생 80대 할머니 화가 로즈 와일리의 세계 최초 대규모 개인전이 한국에서 열린다. 어린 시절부터 화가를 꿈꾼 로즈 와일리는 결혼을 하며 꿈을 접고 40대에 들어서 작품 활동을 재개했다. 그녀는 당시 예술가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매일 그림 그리기를 포기하지 않았고, 마침내 76세의 나이에 영국 일간지 가디언의 주목을 받으며 신예 작가로 떠올랐다. 현재는 세계 3대 갤러리 중 하나인 데이비드 즈
- 이유현 기자 2021-01-07
-
- [카드뉴스] 새해를 맞이하며 펴보는 책
- 2021 상장 기업 업종 지도 (박찬일 저·에프엔미디어) 2100여 개 주식 종목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마인드맵 형식으로 소개한다. 새로 주목해야 할 5가지 테마와 25개 대표 업종을 정리해 주식 시장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돕는다. 건강하게 나이 든다는 것 (마르타 자라스카 저·어크로스) 장수의 비결은 무엇일까? 과학 저널리스트 마르타 자라스카가 600여 건의 논문 분석과 50여 명의 전문가 인터뷰, 현장 조사 등을 통해 노화와 장수에 관한 궁금증을 체계적으로 안내한다. 꼭두각시 조종사 (요슈타인 가아더 저·현대문학) 노년
- 유영현 기자 2021-01-04
-
- 2021년 새해, 희망을 북돋는 넷플릭스 영화
- 2021년 신축년이 밝았다. 새해가 되었다고 일상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겠지만, 게임 속에서 ‘리셋’ 버튼을 누르면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듯 1월 1일부터는 새 마음으로 시작하고 싶은 것이 사람 마음이다. 지난해 모두가 고생한 만큼 올해는 희망찬 소식이 전해지기를 기대해보면서, 이번 주 브라보 안방극장에서는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줄 영화 세 편을 소개한다. 소개하는 작품들은 모두 넷플릭스에서 만나볼 수 있다. 1. 버킷리스트 (The Bucket List, 2007) 병상에서 만난 두 노인 ‘카터’(모건 프리먼)와 ‘잭’(잭 니콜슨)이
- 이유현 기자 2021-01-01
-
- 황홀한 붉은 꽃, 산작약!
- 2021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어제 진 해와 오늘 뜬 해가 다 같은 해이건만, 사람들은 1월 1일 아침 붉게 떠오르는 태양을 보며 절대권력을 가진 구원자를 만난 듯 간절한 염원을 전합니다. “부디 신축(辛丑)년 새해에는 황소 뒷발차기에 걸려 코로나19가 영구히 종식되기를 기원한다”라고. 필자 또한 하루속히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기를 바란다는 뜻에서 태양을 닮은 붉은 꽃, 산작약을 ‘브라보 마이 라이프’ 독자들에게 새해 선물로 드립니다. 작약과 작약속의 9개 식물 중 하나인 산작약. 화단 등지에서 흔히 보는 작약이나 모란도 같은
- 김인철 야생화 칼럼니스트 2021-01-01
-
- 역사를 더듬어가며 바다를 품는 하루짜리 여행
- 바다와 사랑하는 사람은 돌아서면 그립다. 인천의 바다는 쉽게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낮은 곳이거나 높은 곳에 올라 바다를 향해 바라보아도 자신을 숨기고 보여주지 않는다. 인천을 거쳐간 근대 역사를 더듬어가며 그리운 바다를 가슴에 품고 차이나타운과 개항장 거리를 걸으면 하루짜리 최고의 힐링 여행이 완성된다. 천천히 걸어도 반나절이면 19세기와 20세기 초반의 개항기 역동의 세월 속으로 빠져들어갈 수 있다. 이국적 풍광의 인천개항누리길을 걸어보자. 코로나 시대 우리의 여행은 이렇게 종말을 맞이할 것인가? 여행 기분은 제주를 가
- 최치현 여행작가 2020-12-31
-
- 오직 ‘나’와 독대하고 싶어 지은 집
- 조선 주자학의 적통을 이은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이 살았던 집이다. 몹쓸 세상 버리고 은둔했던 곳이다. 독락당(獨樂堂)이라, ‘홀로 즐기는 집’이다. 고고한 고독을 벗 삼아 은거했나? 도학자의 본분은 ‘열공’에 있으니 세상을 등지고서야 학문에 표 나게 정진했나? 둘 다 누렸을 걸 어림짐작할 만하다. 분명하기론 회재의 낙심이 실린 집이라는 거다. 풍진세상에서 일단 달아나 숨기 위해 지은 집임이 완연하다. 회재는 중신 김안로의 중용을 반대하다 벼슬에서 쫓겨났다. 당대 최고 지식인으로 탕탕 잘나가다 졸지에 추락했다
- 박원식 객원기자 기자 2020-12-28
-
- 급하면 전화로 원고를 불렀다
- 왕년 전성기에 누렸던 최고의 영웅담이나 에피소드. 시간을 되돌려본 그 시절, 우리 때는 이것까지도 해봤어, 나도 그랬어, 그랬지!!라고 공감을 불러일으킬 추억 속 이야기를 꺼내보는 마당입니다. 성탄절 분위기로 거리가 술렁거릴 때면, 오래전 세모의 귀성열차가 떠오른다. 4·19 학생혁명이 일어난 1960년 12월 31일, 내가 타고 온 열차는 6·25 피란열차 같다 했다. 그걸 경험해보지 못한 나로서는 짐작이 되지 않았다. 지붕 위까지 사람과 짐으로 빼곡한 사진들을 보면, 거기에 비견될 정도는 아니었다. 객차 안은 사람이 지나다닐 엄
- 문창재 한국일보 사우회장 2020-12-28
-
- 최고령 기록과 변형 에이지 슈팅
- 2020년 골프 월드는 뒤죽박죽이었다. 매년 4월에 열던 ‘마스터스’를 84년 만에 처음으로 11월에 연 것이 대표적이다. 그 바람에 덕을 본 선수가 두 명 나왔다. 한 명은 최저 타수 기록을 세우며 우승한 더스틴 존슨이다. 더스틴 존슨은 늦가을에 촉촉하게 젖은 오거스타 내셔널(마스터스를 매년 여는 골프장) 그린을 장타와 날카로운 아이언 샷으로 공략해 나흘 합계 20언더파를 기록했다. 종전 최저타 기록은 타이거 우즈와 조던 스피스가 갖고 있던 18언더파다. 더스틴 존슨의 기록은 늦가을에 비가 흠뻑 내려 그 악명 높은 오거스타 그린이
- 김용준(KPGA 코리안투어 경기위원&프로) 2020-12-28
-
- 한 건물에 두 개의 뮤지엄
- 미국의 화가 에드워드 호퍼는 고독을 그린 이로 유명하다. 예건대 작품 ‘브루클린의 방’에선 먹먹한 창 밖 풍경 앞에 홀로 고개를 숙이고 앉아 있는 여자가 등장한다. 어찌 해볼 수 없는 외로운 심상이 감도는 그림이다. 삶에 만연한 고독과 피로를 도려내 캔버스에 담았다. 인생사의 답답하고 불안한 연극을 되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사실 일상이란 고달픈 것, 군중 속에서도 외로운 게 사람이다. 미술은 이 참을 수 없는 고독과 불쾌에 숨통을 열어준다. 한 모금의 청량제. 길 위에서의 잠깐 휴식. 미술작품 관람의 의미가 그쯤에 있을 게다.
- 박원식 객원기자 기자 2020-12-25
-
- '집콕족' 위한 넷플릭스 크리스마스 영화
- 설레는 크리스마스다. 예전과 같이 사람들과 어울리며 떠들썩하게 보낼 순 없지만, 집에서 맛있는 음식을 차려놓고 가족과 담소를 나누며 오붓하게 즐기는 성탄절도 충분히 로맨틱하다. 이번 주 브라보 안방극장에서는 ‘집콕’ 크리스마스의 분위기를 더해줄 영화 세 편을 소개한다. 소개하는 작품들은 모두 넷플릭스에서 만나볼 수 있다. 1. 클라우스(Klaus, 2019) 우정공사 총재를 아버지로 둔 ‘금수저’ 재스퍼는 교육 기간 중 우편물 분류도 엉망으로 하고, ‘취급주의’가 붙은 물건도 함부로 운반하며 제멋대로 행동한다. 화가 난 아버지는 재
- 이유현 기자 2020-12-24
-
- 비운의 천재가 남긴 최선
-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사랑받는 클래식 음악. 음악 속 숨겨진 사연이나 명사의 말을 통해서 클래식에 쉽게 접근해보자. 아래의 인터뷰는 가상으로 진행했다. “죽음은 쓰라린 고통이지만, 제대로 살아 보지도 못한 죽음만큼 힘든 건 없다.” 정신분석학자 에리히 프롬이 요절의 비애를 표현한 말이다. 역사적으로 박수칠 때 떠나는 사람처럼 화려한 족적을 남기고 홀연히 사라는 천재들이 있었다. 이렇게 요절한 천재를 비운의 천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번에 만난 그도 마찬가지다. 31세에 요절한 젊은 천재는 생전에 1000곡 이상을 작곡했고, 음악적
- 금민수 기자 2020-12-23
-
- 괴로웠던 딸꾹질 20시간
- 임철순 언론인ㆍ전 이투데이 주필 지난주 동네 의원에서 폐렴 2차 예방접종을 받았다. 작년에 이어 1년 만인데, 왜 그런지 이번엔 저녁때부터 접종 부위가 붓고 몹시 아팠다. 밤새 한잠도 못 자고 몸살을 끙끙 앓았다. 다음 날 의원에 다시 찾아가 엉덩이에 주사를 이쪽저쪽 두 방이나 맞았다. 엎드리지도 않고 선 채로 바지만 까 내리고 주사를 맞았는데, 주사 놓는 사람만 있으면 될 텐데 웬일인지 간호사 두 명이 자기들끼리 잡담하며 내 빈약한 엉덩이를 다 구경했다. 의사는 미안해서 그런지, 첫날 접종을 잘못해서 그런지 이번엔 돈도 받지 않
- 임철순 언론인 2020-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