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많은 사람이 음식을 먹다가도 길을 걷다가도 셔터를 누르며 수많은 사진을 찍는다. 그러나 그 많은 사진 중에서 작품성을 인정받는 것은 많지 않다. 왜 그럴까?
사진에 대한 이해가 달라서다. 사진 촬영 작업을 “찍는다”라고 표현한다. 찍는다는 것은 있는 그대로 베낀다는 의미다. 똑같은 모양의 벽돌이나 붕어빵을 찍어내듯이... 寫眞이라는 한자 뜻은 “사물을 그대로 복사한다”. 있는 그대로 나오게 찍는 게 사진이라는 뜻이다. 사진을 시작한 서구에서는 “Photograph”라 한다. “빛(Photo)으로 그리는 작업(Graph)”을 의미한다. 두 가지 용어의 의미가 조금 다르다. 우리는 寫眞이라는 표현을 받아들임으로써 사진이란 ‘그대로 찍는 것’으로 인식돼왔다.
전 국민의 72%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진을 찍는다고 한다. 풍광이 좋은 국내외 장소에서 촬영한 아름다운 이미지가 주류를 이룬다. 아름다운 풍경, 꽃이나 곤충, 조류 등등이다. 그에 대한 최고의 칭찬은 대부분 “참 잘 찍었네요!”다. “멋진 작품이네요!”라고는 잘 말하지 않는다. 촬영자도 감상자도 사진은 찍는 것이라는데 알게 모르게 동의한다. 그러나 거기에 더해 작품성이 있는 것이라면 더 좋지 않을까?
어떻게 촬영해야 그런 사진을 만들 수 있을까? 눈에 보이는 멋진 풍광이나 피사체를 잘 찍은 이미지가 ‘좋은 사진’은 못 된다는 인식에서 작품성 제작은 출발한다. 자연이나 일상생활 주변의 사소한 것들을 사진 소재로 해도 촬영자인 작가의 생각과 느낌이 사진 속에 표현되는 창의적인 사진을 만들어야 한다. 단순히 있는 그대로를 렌즈에 담는 작업에서 벗어나야 한다.
아래의 사진은 강원도 한 농가의 뒤뜰에 있는 허름한 닭장을 촬영한 사진이다. 부산일보사 주최 전국사진대전에 출품하여 우수상을 받은 기자의 작품이다. “울타리 안에서 바깥세상을 바라보는 닭의 붉은 머리 부분을 어두운 배경에서 강렬하게 보여주어 닭의 모습에서 감옥에 갇힌 사회의 한 단면을 풍자하는 듯한 표현이 출중했다.”라는 심사평을 받았다. 이야기가 있는 사진이라는 평이다.
그런 의미에서 사진을 찍는다는 표현보다는 사진을 만든다 라는 표현이 더 적합해 보인다. 물론 대부분 보도사진은 예외가 되겠다. 좋은 작품은 어려운 기술의 작업이 아닌 사소한 피사체에 작가의 이야기를 쓰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단순히 피사체를 그대로 담으려는 자세에서 벗어나 소설가가 이야기를 꾸며가듯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담아 촬영해보자. “사진은 카메라로 쓰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