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뉴스
-
- ‘치매머니 154조’ 고령자 재산 보호 방안은…“후견·신탁 재설계 필요”
- 빠르게 늘어나는 치매 고령자의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8일 서울가정법원에서 열린 ‘제4회 한국후견대회’에서는 치매 고령자의 자산이 빠르게 늘어나는 반면 후견·신탁·돌봄이 제각기 움직이며 보호 공백이 커지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 나왔다. 이들은 “고령자 자산을 보호하려면 후견과 신탁이 각각이 아닌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공공신탁 제도 도입과 전문후견인 강화, 지자체 중심 전달 체계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고령 인구 급증과 함께 치매 발병률도
-
- “日 지방소멸 피하지 못해, 기회로 만들 방법 찾아야”
- 일본에서 주목받는 젊은 연구자 중 한 명인 테라사카 에리(寺坂絵里) 작가는 인구감소 문제를 “추상적 통계가 아니라 생활과 지역의 맥락 속에서 체감되는 현실”이라고 말한다. 그는 현장의 변화가 인구감소의 실체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가 말하는 현장이란 어떤 모습일까? 그는 보육 시설의 예를 들었다. “저출산임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보육원에 들어가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보육교사 부족이라는 구조 문제 때문입니다.” 또한 도호쿠 지역에서 주민들이 “마을을 다시 활기 있게 만들고 싶다”고 말하던 모습, 물류나 재배송 문제에서
-
- 통합돌봄 시대 맞춘 ‘방문돌봄형 죽음준비교육’ 공개
- 종로노인종합복지관이 죽음준비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종로노인종합복지관(관장 정관스님)은 오는 11월 24일 서울대학교병원 CJ홀에서 ‘2025년 죽음준비교육 심포지엄 Anding Plan’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과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지난 18년간 축적한 기관의 죽음준비교육 실천 경험과 2세대 죽음준비교육 연구 결과를 집중적으로 공유하는 자리다. 종로노인종합복지관은 최근 통합돌봄 환경 변화에 맞춰 기존 집합교육 방식을 넘어서는 ‘방문돌봄형 블렌디드러닝(혼합교육)’을 개발·도입했
-
- 경기·경북 지역, 장애인 교육·복지 모두 ‘낙제점’
- 전국 시·도 장애인 교육·복지 수준에 대한 2025년도 비교 조사 결과, 모든 광역자치단체의 교육 분야 점수는 전년 대비 상승했으나 지역별 격차는 여전히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 공개한 ‘2025년 전국 시도별 장애인 복지·교육 비교 조사’에 따르면 올해 교육 분야 평균 점수는 75.91점으로, 지난해(65.54점)보다 15.82% 올랐다. 최고점은 대전(83.74점), 최저점은 경기(70.49점)였다. 교육 분야는 특수교육 예산, 특수교사 충원율, 통합교육 비율 등 8개 지표로 산출되며, 서울·대전·울산·세
-
- AI가 만든 시니어 친화 기술 생태계…정부 AI 돌봄 로드맵 발표 예정
- 정부가 AI 기반 돌봄 예산을 대폭 늘리고 민간 기업이 시니어 전용 AI 일자리 플랫폼을 출시하면서 초고령사회 대응 체계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노인 돌봄에서 중장년 고용까지 AI 기술이 활용되면서 '시니어 친화' 기술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 모습이다. 초고령사회 돌봄, AI가 기본 인프라로 보건복지부는 지난 9월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제2차 회의에서 2026년 예산에 △ AI 복지상담·위기감지 시범사업 59억원 △ AI 응용제품 상용화 AX-Sprint 300억 원을 신규 반영했다. 돌봄 노인의 이상징후를 탐지하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