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하면 전화로 원고를 불렀다

기사입력 2020-12-28 09:55 기사수정 2020-12-28 09:55

[라떼, 그때는 그랬지]

왕년 전성기에 누렸던 최고의 영웅담이나 에피소드. 시간을 되돌려본 그 시절, 우리 때는 이것까지도 해봤어, 나도 그랬어, 그랬지!!라고 공감을 불러일으킬 추억 속 이야기를 꺼내보는 마당입니다.


(일러스트 윤민철)
(일러스트 윤민철)


성탄절 분위기로 거리가 술렁거릴 때면, 오래전 세모의 귀성열차가 떠오른다. 4·19 학생혁명이 일어난 1960년 12월 31일, 내가 타고 온 열차는 6·25 피란열차 같다 했다. 그걸 경험해보지 못한 나로서는 짐작이 되지 않았다. 지붕 위까지 사람과 짐으로 빼곡한 사진들을 보면, 거기에 비견될 정도는 아니었다.

객차 안은 사람이 지나다닐 엄두도 낼 수 없을 만큼, 입석 승객이 꽉 들어찼다. 객석에는 예외 없이 세 사람씩 앉았고, 무릎에 어린아이를 앉힌 사람도 많았다. 약삭빠른 사람들은 짐을 올려두는 선반까지 차지하고 누웠다. 연말 귀성 인파였다.

그런 혼잡 속에 화장실 가는 사람, 사이다 맥주 파는 홍익회 판매원, 역마다 밀고 들어오는 승객들, 검표원, 차장 등이 수시로 인파를 헤치고 다녔다. 비켜 달라, 발 밟지 마라, 사이다 한 병 달라, 조용히 해라…. 말과 말이 부딪치고, 억양에 감정이 묻어나고, 더러는 상소리도 오갔다. 추운 날인데도 사람의 체열과 난방 열기로 객차 안은 후덥지근하여 창을 열어야 할 정도였다.

열차가 터널을 지날 때는 쾅쾅쾅 마치 총소리 같은 경음이 귀청을 때렸다. 일제히 차창을 내리는 소리였다. 창을 닫지 않으면 기관차 연기가 객실로 쏟아져 들어와 기침들을 해댔다. 창가에 팔을 올리고 있다가, 내리치는 창틀에 맞아 비명을 지르는 이도 있었고….

정오 무렵 제천 역을 떠난 열차는 그런 혼잡과 소음을 싣고 청량리역에 닿았다. 저녁 8시, 정선 화암면을 떠난 시간이 새벽 4시였으니 서울까지 16시간 넘게 걸린 셈이었다.

역사를 빠져나오는 내 귀청에 울린 멜로디가 묘한 감흥을 일깨웠다. 가수 손시향의 히트곡 ‘이별의 종착역’이었다. 처음 타보는 전차 차창 밖 종로 거리 풍경은 놀라움과 경탄의 연속이었다. 세상에! 책방이 저렇게나 많다니… 저렇게 밤거리가 밝다니… 사람들은 왜 저리 많지? 그렇게 나를 달뜨게 했던 1960년은 저물었고, 중학교 시절도 끝이었다.

고등학교에 들어가 꿈에도 그리던 서울 학생이 되어서는 신기한 것, 갖고픈 것이 너무 많았다. 제일 신기했던 건 스케이트였다. 날렵한 가죽 신발에 반짝이는 스케이트 날은 겨우내 마음속에만 있었다. 그 비싼 걸 사 달랄 엄두를 내지 못했다. 원효로 전차 종점 마을에 사는 친구 집에 놀러갔다가, 친구 것을 빌려 처음 타본 날의 기분은 지금도 어제 일 같다.

펄펄 날아갈 것 같았다. 무거운 통나무 스케이트에 비하면 얼마나 가볍고, 얼마나 안정적이고, 얼마나 빠른가! 원효로 앞 한강 스케이트장이 좁은 게 한이었다. 인도교를 지나 광나루까지 씽씽 달려가고 싶었다.

이토록 스케이트에 혹한 것은 시골에서 내가 타던 것과 너무 달라서였다. 현대 문물의 혜택을 누려보지 못한 산골 소년들은 통나무를 갈라 만든 대장간 스케이트를 탔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앉아서 썰매를 지치는 게 부끄러운 일이었다. 어떻게든 통나무 스케이트를 장만해 서서 타야만 체면이 섰다.

나는 동네 형에게 ‘겨우내 누룽지 제공’을 약속하고 스케이트를 장만했다. 발 넓이에 맞는 통나무를 반원형으로 가르고, 양옆에 못을 촘촘히 박아 노끈을 매도록 하는 데까지는 내 손으로 했다. 문제는 스케이트 날인데, 그건 내 능력 밖이었다. 대장간에서 철판을 스케이트 날처럼 벼리고 날을 갈아서, 통나무 밑에 튼튼히 박아 넣어야 했다.


(일러스트 윤민철)
(일러스트 윤민철)


아무리 추운 날이라도 그걸 타는 재미에 푹 빠졌다. 겨울방학이 늘 즐거웠다. 노끈으로 발을 칭칭 동여매면 발이 아프고 시렸지만, 달리는 재미로 고통을 잊을 수 있었다. 신발 위로 묶으면 헐거워 양말만 신은 맨발에 묶었다. 안정감은 좋았지만 대신 발이 아팠다. 고통을 참고 땀이 나도록 얼음을 지치고 나면 감각이 마비될 정도였다.

강가에 피워놓은 모닥불에 발을 녹이고 나서 또 달리러 나갔다. 허기가 질 때까지 그렇게 즐기다가 집에 들어가면 야단을 맞았다. 볼이 빨갛게 얼고 코를 훌쩍이며 들어서니 얼마나 애처로웠을까. 그렇게 스케이트와 친해진 덕에, 나는 퇴직 후 10년 동안 인라인 스케이트 가방을 메고 한강공원으로 출퇴근했다.

지금 내 오른손 중지 마디에는 구덕살이 박혀 있다. 신문사에 들어갔을 때 처음에 선배들이 전화로 불러주는 기사를 많이 받아 적은 탓이다. 컴퓨터도 팩스도 없었던 1970년대 초반의 글쓰기는 모두 볼펜 육필이었다. 출입처 기자실이나 현장에 나간 선배들의 송고 수단은 언제나 전화였다.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받아쓰기가 일이었다. 속필로 쓰려고 볼펜을 꽉 쥐고 그 일을 하고 나면, 귀가 멍멍하고 손가락이 저렸다.

전화 송고에 얽힌 이야기의 백미는 연재소설 받아쓰기다. 작가 사정으로 연재가 중단되면 독자들 항의전화가 빗발친다. 간혹 자유분방한 작가들이 그런 사고를 치곤 했다. 내가 몸담았던 신문사에서는 작가가 전화로 불러주는 소설 원고를 받아쓰는 일이 잦았다.

지방에 체류 중인 작가들은 대개 우편이나 고속버스 편으로 며칠 분의 원고를 보내오곤 했는데, 더러 그걸 빼먹는 작가가 있었다. 전화로 독촉하면 작가는 전화로 소설 원고를 불러줬다. 잘못 받아 적으면 작가와 기자 간에 책임 소재로 다투는 일도 일어났다.

기자들의 송고에 얽힌 에피소드들은 대하소설감이다. 누구에게나 책 한 권 분량의 이야깃거리가 있다. 나도 다급한 송고난을 여러 번 겪었다. 1988년 이란-이라크 전쟁이 끝나, 이란의 수도 테헤란으로 취재를 갔다. 말이 통하지 않는 나라에서 취재도 어려웠지만, 제일 고생스러웠던 것은 송고였다. 특급 호텔에 묵었는데도 해외 전화선이 두 회선뿐이라, 송고 중 자주 전화가 끊겼다. 한 사람이 통화를 독점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선배들에게 배운 ‘궁즉통’의 수단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치사한 방법이지만 소임을 다하려면 도리가 없었다. 호텔 아케이드에서 여성 스타킹을 사 들고 전화 교환실 문을 두드렸다. 내 사정을 말하고 방 번호를 일러줬다.

즉각 효험이 났다. 아무리 오래 전화기를 잡고 있어도 끊어지지 않았다. 뉴스 기사와 해설까지 200자 원고지 15매 분량을 송고하려면 최소한 30분 이상, 한 시간도 걸렸다. 텔렉스는 있었지만 우리말 로마나이즈(로마자 표기)가 까다로워 다들 꺼렸다.

취재의 어려움도 덜하지 않았다. 호메이니 독재 시절이어서 해외 언론에 대한 이란 정부 서비스는 아무것도 없었다. 애써 찾아가봐야 발품만 아까웠다. 제휴 언론사인 일본 신문 특파원을 찾아가 도움을 청해보았지만 소득이 없었다. 그도 라디오로 BBC 방송을 듣고, 미국과 유럽 신문을 참고한다고 했다.

1990년대 초, 도쿄 특파원 시절 선배 특파원 이야기를 듣고 박장대소했다. 늘 오전 일찍 하네다 공항발 대한항공 비행기를 이용해왔는데, 하루는 전철을 놓쳐 택시를 탔다. 공항으로 가다가 고가도로 위에서 트래픽 잼에 걸렸다.

마음을 졸이며 기다리다 보니 비행기 출항 시간이 촉박해 택시에서 내려 뛰었다. 넥타이를 펄럭이며 고가도로 위를 달리는 신사의 모습을 상상하면 지금도 웃음이 터진다. 젖 먹던 힘까지 짜내 달렸더니, 소나기 맞은 사람 같더라나….

도쿄 시절 일본 총리 수행 취재를 갔다가 프레스룸에 우리 신문 전용 송고 부스도 있어, 느긋하게 기사를 보낸 일이 있었다. 나중에 사무실로 날아온 전화료 청구서 액수를 보고 크게 놀랐다. 부스까지 설치해줘 서비스인 줄 알았더니….

그때 내 사무실에는 팩스와 사진 전송기까지 있었지만, 막 부임한 모스크바 특파원에겐 그게 없었다. 소련 연방이 해체되어 기사가 폭주하는데 송고 수단이 없다고 그는 늘 나에게 원고 팩스를 보내왔다. 아직 서울과 팩스 송수신이 안 되던 시절이었다. 그런 ‘송고 중개업’도 해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 [포토 에세이] 들국화
    [포토 에세이] 들국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