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노인들의 고독과 사회적 단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노인 1인 가구는 약 166만 1000가구로 전체 1인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늘어나고 있다. 전체 1인 가구 대비 노인 1인 가구 비중은 2018년 34.1%, 2019년 34.3%, 지난해에 35.1%였다.
노인의 여가시간은 하루 5시간 이상으로 길다.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우려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긴 여가시간에 취미, 사회활동 등을 하며 다른 사람과 함께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한다. 그런데 노인 절반 이상이 취미생활을 혼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0대 54.9%, 70세 이상 59.6%가 여가활동을 혼자 한다고 답했다. 60대 이상 노인 과반수가 혼자서 여가를 보내는 것이다.
더구나 노인들은 하루 여가의 반이 넘는 시간을 TV 시청하는 데 쓴다. 노인들이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에 대한 질문에는 60대의 82.5%, 70세 이상의 89.3%가 TV시청이라고 응답했다.
TV 시청 자체가 나쁜 취미는 아니다. 하지만 다른 선택지가 없어서 TV를 보는 것이라면 좋은 여가라 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금의 노인 세대는 평생 여가라는 것을 모르고 살아온 세대라 늘어난 여가생활을 어떻게 보낼지 몰라 시간을 단순히 활용한다”며 “노인분들이 혼자서 TV를 시청하면 사회적 관계의 단절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문체부, 지자체 등 다양한 기관에서 노인들의 여가를 채울 수 있는 문화복지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서울노인복지센터를 통해 서울노인영화제 등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몇몇 프로그램이 노인의 여가생활을 충분히 채워주지는 못하고 있다.
정재훈 교수는 “노인복지관 등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인원이 대체로 꽉꽉 찬다”며 “노인들의 수요에 비해 절대적인 문화복지 프로그램 수가 부족하고 이용해본 사람만 계속해서 찾아와 이용하는 경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문체부 조사에서 상당수 응답자는 여가 관련 정부의 정책 중 중요한 것으로 다양한 여가 시설 확보, 질 좋은 여가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여가와 관련한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 등을 꼽았다. 하지만 단순히 여가 프로그램을 늘리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여가 시설과 프로그램 수만 늘릴 것이 아니라 여가시간에 노인의 사회활동을 유인할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정재훈 교수는 “어떻게 여가를 보내야할지 모르고 취향이나 취미를 모르고 살아온 지금 노인 세대의 특성을 고려해 이들의 욕구를 발견하거나 취미를 찾아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