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2막, 꿈이 열어준 철 공예 장인의 삶

기사입력 2021-11-25 08:58 기사수정 2021-11-25 08:58

취미가 직업 된 지 20년… "누구나 가슴에 꿈 하나는 품고 살길"

▲경기도 양주 정강원에서 작업하는 모습(한정욱 제공)
▲경기도 양주 정강원에서 작업하는 모습(한정욱 제공)

인사동 골목의 널찍한 지하 1층 공간에 칼, 창, 도끼, 철퇴, 심지어 주사위까지, 철로 만든 다양한 것들이 전시돼 있다. 한국도, 중국도, 일본도 등 동양 도검부터 중세 유럽 배경의 영화에나 나올 법한 창과 칼도 있다. ‘한국의 마지막 칼 장인’, ‘도검 전문가’ 등으로 불리는 한정욱(69) 씨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칼 전시장 ‘나이프 갤러리’의 모습이다.

좋아하는 일을 업으로 삼아야 한다는 격언도, 좋아하는 일이 업이 되면 흥미를 잃게 되니 업으로 삼지 말라는 격언도 있다. 중학교 시절 보이스카우트 활동을 위해 필요했던 작은 칼을 시작으로 50여 년간 칼과 함께한 한 씨다. 2001년 인사동에 나이프 갤러리를 오픈해 취미를 업으로 삼은 지도 20년이 흘렀다. 좋아하는 일을 업으로 삼은 그에게 지난날의 소회와 현재의 감정에 대해 들어봤다.

▲인사동 나이프갤러리(김규백)
▲인사동 나이프갤러리(김규백)

한번 태어나 한번 사는 인생

“직장생활을 21년 했는데, 해외출장도 다니고 성과도 내고 재밌었어요. 만족스럽게 일을 했어요. 언론사에서 일할 때는 인터넷이 보급되던 시절 인터넷국 국장도 지냈고요. 돈과 만족은 잠깐의 행복을 주지만 그게 오래 가진 않더군요. 언론사에 1년 정도 있어 보니 한번 태어나 한번 사는 인생, 더 늦기 전에 하고 싶던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나이프 갤러리를 오픈하기 전, 한 씨는 만족스러운 직장생활을 했다. 짧은 교사 생활을 했고, 광고대행사에서도 일했다. 광고대행사를 그만둔 후에는 언론사에서 일할 기회도 있었다. 번듯한 직장에서의 안정적인 생활이 주는 행복도 있었다. 하지만 늘 마음 한켠에는 더 뜨거운 것이 자리 잡고 있었다. 더 늦으면 안 되겠다고 느낀 한 씨는 인사동에서 나이프 갤러리를 열어 수집한 칼들을 전시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경기도 양주에 전통 방식으로 쇠를 내리는 제철소 ‘정강원’을 세웠다.

칼이 좋아서 하게 된 일. 지금은 도검뿐 아니라 주방 칼, 주사위까지 철로 다양한 공예품을 만든다. 한 씨는 자신의 일을 ‘작은 제철소를 운영한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인 제철소와 다른 점이 있다면, 다른 제철소처럼 철광석으로 철을 만드는 게 아니라 사철로 제련한다는 것.

“사철 제련은 세종실록지리지 등 옛 문헌에서부터 숱하게 나오는 전통 제련 방식이에요. 철광석을 녹이면 선철이 나와요. 그런데 선철은 탄소함유량이 높아서 잘 부서져요. 무기로는 못 쓰죠. 반면 사철을 제련하면 탄소함유량이 낮은 강철이 나와요. 선철은 담금질해도 단단해지지 않지만, 강철을 담금질하면 무기가 될 수 있죠.”

사철로 만든 강철은 철광석으로 만든 선철보다 단단하다. 철광석으로 철을 뽑을 때는 1500도 내외의 온도로 가열한다. 반면 사철은 그보다 높은 1800도에서 가열한다. 해변에서 모래를 채취하고, 모래에서 철 성분을 걸러내 더 높은 온도에서 제련해야 하는 만큼 작업은 더 길고 고되다.

철을 뽑아낸 후에는 불에 달궈 두드리는 ‘단조’와 철을 접는 ‘접쇠’라는 과정을 거친다. 철의 불순물을 없애 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규모 있는 제철소에서는 50여 명 이상이 이 과정에 동원되지만 정강원에서는 한 씨와 직원 몇 명이 소수 인력으로 해낸다. 지난한 주조 과정이지만 수익이 적어 사업성은 떨어진다.

“그만두고 싶은 때도 많았습니다. 직원 5명 중 두 명은 제철 일을 하고, 세 명은 외국 물건을 수입해서 판매합니다. 그렇게 번 돈으로 제철에다 쏟아부으며 버티고 있어요. 전통적인 제련 방식을 고수하고 지킨다 해서 누가 상을 주는 것도 아니고 공로를 인정받는 것도 아니에요.”

▲달궈진 철을 두드리는 '단조'(한정욱 제공)
▲달궈진 철을 두드리는 '단조'(한정욱 제공)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

“2015년에 인간문화재 심사를 봤어요. 9년을 문화재청이랑 씨름해서 ‘야장’ 항목에 심사를 봤죠. 하루에 꼬박 여덟 시간을 망치질해가며 이틀 동안 심사를 봤습니다. 그런데 계보가 없다는 이유로 심사에서 떨어졌죠. 그때 많이 속상했습니다. 예순넷의 나이에 마지막 시험을 보고 나니 그런 타이틀에는 관심이 없어졌어요. 그래도 누군가는 해야 하니까. 아무도 안 하니까 합니다.”

인정에 대한 욕심을 내려놓자 무언가를 만드는 행위 자체에 집중하게 됐다. 망치질 한번이 생각대로 잘 됐을 때, 칼날 형태가 잘 잡혔을 때 기쁨을 느낀다. 결과물이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았을 때조차 ‘내 실력으로 이 정도면 됐지’라며 다음 작품을 기약한다.

“같은 나이대 친구들은 집에서 쉬면서 손주를 보거나 하는데, 매일 일을 하러 간다는 것 자체가 즐거워요. 이제는 그저 건강하고 밥 잘 먹는 것. 그리고 지금 하는 일로 용돈 벌이가 된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뭔가 만들어 낸다는 것 자체가 즐거워서 이 일을 한동안 계속하려고 합니다.”

사람은 철과 닮았다. 뜨겁게 달궈지고 두드려지면서 강인해진다. 철광석보다 뜨거운 온도에서 제련되는 사철처럼, 한 씨의 삶도 남들보다 뜨겁다. 시행착오와 좌절을 겪고 얻은 한 씨의 즐거움은 사철 제련으로 만들어진 철처럼 질기고 강인한 것이지 않을까.

“이런 일을 하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어요. 인생에서 돈이 주는 행복은 평생 가지 않습니다. 누구나 가슴 속에 세속적 가치와 관계없는 꿈 하나 정도는 품고 살아가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중년 여성의 존재 의미와 정체성 되찾고 싶어"
    "중년 여성의 존재 의미와 정체성 되찾고 싶어"
  • 북한산 안전 책임,  “37년 경험 믿어주세요”
    북한산 안전 책임, “37년 경험 믿어주세요”
  • "미술로 시대 그늘 읽어" 양정무 한예종 교수
    "미술로 시대 그늘 읽어" 양정무 한예종 교수
  •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