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영(61)은 에콜 노르말 음악원 피아노과 교수로 후배들을 양성하며 파리에서 활동했던 피아니스트다. 2019년 30년간의 파리 생활을 정리하고, 한국으로 귀국해 자양동에 터전을 잡았다. 공연장 ‘자양스테이션’을 운영하며, 클래식 음악 신예들과 남녀노소를 불문한 관객들이 자유롭게 드나드는 음악회를 열고 있다. 피아니스트 박혜영을 만나 클래식 음악의 가치와 매력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
원래 그녀의 주 무대는 파리였다. 파리 에콜 노르말 음악원 피아노과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며, 연주자협회인 파리뮤직포럼을 통해 조각, 무용 등 다방면의 예술가들과 교류했다. 그렇다면 어쩌다 자양동으로 터전을 옮기게 된 것일까?
“연로하신 어머니의 마지막 소원이 가까이에서 내 연주를 보는 것이라고 하셨다. 그래서 파리 생활을 급하게 정리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집과 음악 공간을 함께마련할 수 있는 장소를 고민하다 우연히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또한 파리뮤직포럼처럼 다방면의 예술가들과 교류하고, 공연을 통해 아름다운 음악을 들려주고 싶었다. 각자의 이정표에 따라 많은 이들이 지나가는 곳인 스테이션(Station)처럼 이곳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이들에게 작은 콘서트의 큰 감동을 안겨드리고 싶었다. 낯설고 한적한 골목 어귀에서 클래식 음악이 흐르는 장면은 오래전부터 품었던 꿈이었다. 그 꿈과 어머니의 바람 덕분에 이곳이 탄생할 수 있었다.”
코로나19란 ‘한파’가 공연계에 매섭게 불어닥쳤다. 예술의전당을 비롯한 대규모 공연장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소규모 공연장도 마찬가지일 터.
“2019년에 문을 연 자양스테이션은 원래 살롱 음악회를 지향하는 공연장이었다. 공연을 엄숙하게 즐기는 것이 아니라, 미리 와서 음료도 마시고 다과를 즐기면서 공연에 관한 얘기를 나누는 음악회였다. 공연이 끝난 후 연주자들과 와인 한잔 곁들이면서 얘기도 하고 파티도 즐기는, 그야말로 살롱을 지향하는 음악회를 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때문에 마스크 벗고 대화를 나누거나 취식이 불가능해져서 너무나도 아쉽다.”
마담 드뷔시의 열린 귀
인생의 절반을 파리에서 지낸 그녀는 평범한 음악학도였다. 서울에서 대학교를 나와 벨기에 브뤼셀 왕립 음악원을 졸업했다. 한국으로 돌아와서는 학생들을 가르쳤다.
“당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면서 틈틈이 연습을 병행했다. 덕분에 경제적으로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무대에서 연주할 때 너무 부끄럽더라. 일정한 실력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연습량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일하다 보니 연습량이 모자랐다. 결국 연주에 만족하지 못했다. 부족함을 뼈저리게 느낀 순간부터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그래서 한국에서의 일을 정리하고, 실력을 쌓기 위해 파리로 향했다.”
그녀가 실력을 쌓기 위해 택한 곳은 파리의 에콜 노르말 음악원이었다. 이 학교는 연주자들이 무대에 설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한다. 실제로 학위를 수여받은 이들이 전문 연주자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온다. 그녀는 이곳에서 음악을 대하는 마음가짐을 다시금 배웠다.
“음악가에게 필요한 재능은 열린 귀다. 에콜 노르말에서 그걸 배웠다. 스승님들은 자신의 울림을 들을 줄 아는 귀를 강조하셨다. 울림을 들을 줄 알아야 울림을 전할 수 있다. 이는 자신만의 색깔을 찾는 과정이라고 하셨다. 또 다른 스승은 작곡가 드뷔시였다. 여러 감정이 다채롭게 녹아 있는 그의 곡을 배우면서 울림을 듣고 표현하는 능력이 더 확장됐고, 음악을 더 사랑하게 됐다. 드뷔시 곡에 대한 나의 노력과 열정을 알아본 이들은 ‘마담 드뷔시’란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다.”
장면을 선물하는 일
에콜 노르말에서 음악에 대한 마음가짐을 배웠고, 2009년에 세운 파리뮤직포럼을 통해서는 공연 기획자로의 도전을 시작했다.
“마흔을 기점으로 많은 게 바뀌었다. 그 전까지는 완벽한 연주를 통해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었다. 스트레스가 컸지만 성취욕도 컸다. 하지만 연주가 즐겁지 못했고 갈수록 중압감이 커졌다. 연습할 때의 외로움과 무대 위에 홀로 선 고독감, 그리고 무대에 쏟아지는 수백 개의 시선에서 비롯된 고통이 축적됐다. 그때부터 판에 박힌 연주를 ‘잘’하는 것보다, 한 명이라도 울릴 수 있는 특별한 공연을 기획하고 싶었다. 공연 기획자로서의 첫 시작이 바로 파리뮤직포럼이었다. 이 포럼은 국적, 나이, 성별을 초월한 예술가들의 모임이었다. 당시 그림, 연극, 연주를 한 무대에 올리는 새로운 장르의 공연을 선보였다. 그 경험이 자양스테이션의 밑거름이 됐다.”
실제로 자양스테이션은 클래식 공연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인다. 영유아와 엄마가 함께 즐기는 ‘베베 콘서트’, 신인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살롱 음악회 ‘아티스트 라운지’ 등을 운영한다. 그녀는 무대에 오르기도 하지만, 이 모든 공연을 총괄하는 기획자다.
“공연 기획자 겸 연주자로서 이곳에 온 모든 이에게 잊을 수 없는 장면을 선물하고 싶다. 가령 드뷔시의 ‘달빛’을 연주할 때는 바다에 일렁이는 달빛의 장면을 관객들에게 선율로 보여주고 싶다. 또한 무대에 선 신예들에게 관객들을 가까이에서 마주할 수 있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살아 있는 연주의 ‘맛’을 느끼게 해주고 싶다. 얼마 전 오픈 리허설 때 근처 주민 네 분이 오셨는데, 공연을 보고 울다 가셨다. 곡에 담은 나의 감정이 고스란히 전달된 것 같아서 나 역시 울컥하더라. 그 순간은 내게도 잊을 수 없는 장면이다.”
맛있는 한 끼를 드리는 마음
그녀는 1인 3역을 소화 중이다. 열정적인 무대를 보여주는 피아니스트, 관객의 발길을 이끄는 공연을 만드는 기획자, 살림을 책임지는 대표. 특히 대표로서의 고민이 존재했다.
“무대 없는 신예의 서러움을 알기에, 연주자에게 대관료나 홍보비 등을 일절 받지 않는다. 실력과 열정 있는 후배들이 무대에 많이 설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 멤버십 등 다각도의 고민을 하고 있다. 또한 공연의 콘텐츠에 대한 고민도 있다. 관객의 발길을 끄는 대중성도 좋지만, 수준 높은 곡을 들려주고 싶은 맘도 크다. 그 둘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다. 부단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끝으로 클래식의 가치를 말하며 앞으로의 꿈을 밝혔다.
“클래식은 세기를 넘어서도 존재하는 희로애락의 콘텐츠다. 사랑의 기쁨, 슬픔의 고통 등과 같은 감정을 오롯이 소리로써 전달한다. 반짝하고 지나가는 유행이 아니라, 켜켜이 쌓인 세월 속에서도 고스란히 남아서 그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그 가치를 관객에게 아름답게 전달하는 것이 연주자의 의무라면, 그 가치를 온전히 이해하는 게 관객의 역할일지도 모른다. 서로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이다. 클래식은 낯설어서 어려울 뿐이다. 노크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면 즐길 수 있다. 찾아오는 관객들에게 맛있는 한 끼를 대접하는 마음으로 클래식을 들려주고 싶다.”
그녀는 연주자로서 가장 기쁜 순간은 “진심이 통하는 순간”이라고 표현했다. 곡을 연주하며 떠올리는 장면과 감정이 고스란히 관객들에게 전해져, 같은 공간에서 같은 울림을 느낄 때 가장 감동적이라고 했다. 그것이 감동적인 이유는 내면 깊숙이 숨겨뒀던 진심의 장면을 서로 마주했기 때문일 것이다.
공연장 인근 단골 식당의 사장님은 이 공연장의 VIP 관객이다. 그분은 “우리는 눈빛만 봐도 아는 사이”라고 말했다. 진심으로 서로의 가치를 이해했기에 가능한 말이다. 무릇 가치를 이해하는 일은 진심을 바탕으로 한다. 진심이 어려운 이유는 그만큼 가치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렵지만 노크해보고 싶은 일. 그게 클래식의 매력일지도 모르겠다. 오늘도 자양동 골목에서 선율로 진심을 들려주고 있을 그녀를 응원하며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