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교육비, 무턱대고 증여하다간 세금 폭탄

기사입력 2022-02-03 08:44 기사수정 2022-02-03 08:44

[생활 속 법률 상식] 유학을 위한 자금도 자녀의 직업과 재산에 따라 달라져

증여는 가족 간 경제적 도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그러나 잘 알아보지 않고 무작정 증여한다면 추후 증여세 면제 한도를 넘어 ‘세금 폭탄’을 맞게 될 수도 있다. 생활과 관련해 증여가 이루어지는 경우, 과세 대상과 비과세 대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증여는 한쪽 당사자(증여자)가 대가 없이 자신의 재산을 상대방(수증자)에게 수여하는 계약이다. 한편 수증자는 증여받은 금액에 대하여 증여세를 낼 의무가 있다. 부모 자식 간 증여는 어떨까? 세법은 자녀가 성인일 경우 5000만 원, 미성년자일 경우 2000만 원의 공제(10년간 합산)가 적용된다. 따라서 10년마다 자녀에게 위 증여재산공제액의 한도 내에서 증여할 경우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증여에 해당한다고 판단될 경우가 쌓여 10년간 누적 금액 5000만 원이 넘어가면 넘은 금액부터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을 적용한다.

그렇다면 부모가 자녀의 학자금이나 생활비를 대주거나, 결혼 비용을 지원하는 등 생활과 관련된 경우도 과세 대상일까? 우선, 민법상 부양의무가 있는 자녀에게 교육비 또는 생활비로 이체하는 금액은 비과세 대상이다. 직계혈족 사이에는 함께 살고 있지 않더라도 부양의무가 인정된다. 해외에서 공부하며 정기적인 수입이 없는 아들 가족에게 부모가 보내준 돈이 생활비로 인정돼 증여세가 비과세된 경우도 있다.

대신 세무조사에서 비과세로 인정받으려면 이 금액이 실제로 생활이나 교육 목적에 맞게 사용돼야 한다. 생활비나 교육비로 사용했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도록 각종 영수증 등 증비서류를 챙겨놓는 것도 방법이다. 만약 생활에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받은 돈을 모아 예금·주식·부동산 등 재산 취득에 사용하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다. 생활비로 받은 돈 중 사용하고 남은 금액으로 투자해도 마찬가지다.

또한 자녀의 직업, 재산 등을 보아 본인이 직접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증여세 과세 대상에 해당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경제력이 없는 스무 살 자녀는 학자금을 지원해도 세 부담이 없지만, 이미 직장에 다니고 있는, 경제력이 있는 서른 살 자녀는 학자금을 받을 경우 증여세 납부 대상이 된다. 조부모가 손자에게 대학 입학 축하금을 지급하거나 생활비를 보내주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상황을 따져봐야 한다. 증여에서 제외되는지 여부는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달렸는데, 아버지가 소득 수준이 낮아 부양 능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보낸 생활비에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다. 반대로 아버지가 소득 수준이 높은 상황임에도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돈을 보냈다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성인 자녀에게 1억 8000만 원을 증여했고, 직전 10년간 증여한 적이 없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1억 8000만 원에서 증여재산공제 항목으로 5000만 원을 차감하므로 과세표준은 1억 3000만 원이 된다. 이때 1억 원까지는 10%의 세금을 부과하고, 그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3000만 원에는 20%의 세율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해 과세표준이 1억 3000만 원이라면 1억 원 초과~5억 원 이하 구간에 해당하므로 20%를 곱한 후 누진 공제액인 1000만 원을 빼면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출처 국세청
▲성인 자녀에게 1억 8000만 원을 증여했고, 직전 10년간 증여한 적이 없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1억 8000만 원에서 증여재산공제 항목으로 5000만 원을 차감하므로 과세표준은 1억 3000만 원이 된다. 이때 1억 원까지는 10%의 세금을 부과하고, 그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3000만 원에는 20%의 세율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해 과세표준이 1억 3000만 원이라면 1억 원 초과~5억 원 이하 구간에 해당하므로 20%를 곱한 후 누진 공제액인 1000만 원을 빼면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출처 국세청


결혼하는 성인 자녀의 혼수나 결혼 비용을 지원할 때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으나, 고가의 차량이나 귀금속 등을 제공하면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다. 신혼집 마련을 이유로 전세자금을 지원하거나 주택을 사주는 것도 마찬가지로 과세 대상이다. 결혼식에서 받은 축의금의 경우 누구의 명의로 들어온 돈인지가 중요하다. 부모 앞으로 들어온 축의금을 자녀가 사용한다면 증여가 되므로 증여세를 내야 한다. 결혼 당사자인 자녀의 손님이 낸 금액으로 명확히 판단되지 않는 축의금은 혼주인 부모에게 귀속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결혼식이든 장례식이든 본인 앞으로 들어온 돈은 본인이 직접 쓰는 것이 가장 깔끔하다.

상속증여 전문가 박병곤 회계사는 SBS Biz ‘경제현장 오늘ʼ에서 “가족 간 금융 거래를 할 경우 그 성격을 분명하게 정의 내려서, 증여받은 것이면 증여세 신고 납부 및 상속세 신고 시 반영해야 한다”며 “생활비나 경조사비 등의 자금 거래에서 사회 통념을 벗어나는 과도한 수준의 경우는 증여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평상시 이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자녀와 계약으로 효도 보장받을까?
    자녀와 계약으로 효도 보장받을까?
  • 비과세 특례로 본 상속주택 관리법
    비과세 특례로 본 상속주택 관리법
  • 보험 재설계와 상속세로 보는 종신보험
    보험 재설계와 상속세로 보는 종신보험
  • 무거운 상속 부담, 세제 개편으로 잡힐까?
    무거운 상속 부담, 세제 개편으로 잡힐까?
  • 바뀌는 상속⋅증여 트렌드… 부동산 인기 식어
    바뀌는 상속⋅증여 트렌드… 부동산 인기 식어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