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기억 지키자” 치매 관리 희망의 현장을 가다

기사입력 2022-04-27 08:25 기사수정 2022-04-27 08:25

[커버스토리] Part.5 금천구치매안심센터의 치매 막기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

▲금천구치매안심센터 내 기억키움학교.
▲금천구치매안심센터 내 기억키움학교.

금천구치매안심센터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치매를 겪고 있어도 사회 구성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치매안심센터 풍경과 관련 활동을 통해 치매에 맞서는 노인들을 중심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보자.

▲로프의 탄성을 이용해 근육을 이완·수축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로프의 탄성을 이용해 근육을 이완·수축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1 금천구치매안심센터에서는 노인들을 ‘정상군’, ‘고위험군’, ‘치매군’으로 단계를 구분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한다. 작업치료사, 운동처방사와 함께 기억력 훈련, 작업치료, 운동치료, 미술치료 등 인지 기능 향상과 우울감 감소를 위한 활동을 유도한다. 운동치료 시간, 노인들이 가수 장윤정의 ‘꽃’ 노래를 들으며 박자에 맞게 전신 재활 운동기구(보디 스파이더)를 움직인다. 인지 기능 및 신경자극 동작으로 뇌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오른쪽 줄을 당기면서 왼쪽 다리를 함께 들어보세요”라는 작업치료사의 목소리에 수업에 참여한 노인들은 우왕좌왕이다. 여러 동작이 복합적으로 섞이면 정확하게 해내기가 더 어렵다. 동작이 맞는지 옆에 앉은 서로를 살피거나, “선생님, 이거 맞지요?”라며 적극적으로 질문한다. 작업치료사는 “아버지! 오른쪽! 왼쪽이 아니라 오른쪽! 근육이 놀랄 수 있으니 천천히 호흡하면서 해보세요”라며 조언한다. 운동의 마지막에는 스트레칭이 빠질 수 없다. 온몸을 토닥토닥 두드리며 수축과 이완을 반복했던 근육을 달래준다. 몸이 피로해졌을 수 있으니 귀가 후 쌍화탕이나 따뜻한 차를 드시라는 말을 끝으로 수업이 마무리됐다.

▲어르신이 주어진 글 안에서 시옷이 몇 개인지 표시하고 있다.
▲어르신이 주어진 글 안에서 시옷이 몇 개인지 표시하고 있다.

#2 “어르신들, 이제 공부하러 가요!” 작업치료사의 안내에 따라 노인들이 일제히 책상이 마련된 교실로 들어간다. 오늘 수업은 주어진 한 페이지짜리 글에서 시옷이 몇 개인지 15분 동안 찾는 게 목표다. 쌍시옷은 시옷 두 개로 간주한다. 쌍시옷과 시옷, 시옷과 지읒을 구별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다. 예컨대 ‘오늘 날씨가 맑아서 온 가족이 나들이를 나왔어요. 다들 기분이 좋아 보이네요. 따스한 바람이 불고, 벚꽃이 흩날리는 날 다 함께 다시 봄 내음을 맡을 날을 기다립니다’라는 글에는 총 7개의 시옷이 포함돼 있다. 어르신들은 연필을 꼭 쥐고 차분히 동그라미를 그리며 사뭇 진지한 태도로 수업에 임한다. 작업치료사는 “어머니, 더 찾아보세요. 우리가 지금 뭘 찾고 있는 거였죠? 시옷이죠? 규칙은 뭐였을까요?”라며 끊임없이 문제를 상기시킨다. “선생님, 혹시 네 개인가요? 제가 제대로 하고 있는 게 맞나요?”라는 질문에 부드럽고 상냥한 말투로 응원한다. “조금만 더 힘내볼까요?”

▲어르신이 주문 받은 음료를 만들고 있다.
▲어르신이 주문 받은 음료를 만들고 있다.

#3 ‘주문한 것과 다른 것이 나올 수도 있고, 조금 늦게 나올 수도 있지만 자연스럽게 이해해주세요’라는 문구를 내세우는 조금은 낯선 카페가 있다.€금천구치매안심센터 안에 있는 기억다방이다. 이곳은 경증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어르신들이 바리스타로 참여하고 있다. 주문 내용을 재차 확인하거나 실수를 해도 손님들은 짜증을 내거나 직원을 탓하지 않는다. 주 고객은 치매 검진 및 상담자, 기억키움학교 학생 등 센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다. 이곳에서 일하는 이 모 씨는 메뉴 주문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의 눈과 귀가 되어주기도 하고, 음료를 챙겨 나가는 길까지 직접 배웅한다. “언니 오늘은 조금 늦게 오셨네! 지난번에 목이 칼칼하다더니, 몸은 좀 어떠셔?”라며 치매안심센터를 찾은 사람들을 어루만져주는 따뜻한 ‘상담소’ 역할도 자처한다. 그는 주문이 한꺼번에 들어오면 뭘 주문했는지 잊거나, 이미 만들어둔 음료의 종류를 헷갈리기도 한다. 커피 머신이 갑자기 말썽을 부리면 당황해서 전에 배워뒀던 조작법이 떠오르지 않을 때도 있다. 대신 모양이나 생김새, 위치를 중심으로 기억하려 하고, 힘들 때는 종이에 바로바로 적는다. “우엉차랑 오미자차를 탔다가도 분명 왼쪽이 오미자인 걸 알았는데 돌아서는 순간 잊어버려요. 그래서 나름 공부를 해요. 오미자는 알맹이가 있고, 모과는 나무를 부숴놓은 것처럼 입자가 굵어요. 국화는 말린 꽃잎을 빻아놓은 모양새죠. 어떻게 하면 안 잊어버릴 수 있을지 고민해요.”

과거에는 당신이 치매에 걸릴지도 모른다는, 혹은 걸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늙어서 망령이 들었다’고 부르는 치매에 걸리는 것보다 차라리 죽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기도 했을 정도다. 치매를 지난 세상의 악업으로 인한 ‘업병’으로 여기는 오랜 편견과 치매 노인 부양의 어려움을 고려하면 오히려 더 무서운 것은 ‘치매 공포증’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치매가 왔든 오지 않았든, 맞설 용기만 있다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치매와 싸우는 사람들이 당신과 함께할 테니 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임재홍 메디프론 연구소장, “치매 진단, 혈액 검사만으로 하는 시대 올 것"
    임재홍 메디프론 연구소장, “치매 진단, 혈액 검사만으로 하는 시대 올 것"
  • 치매 치료제 개발 눈앞 “신약이 보인다”
    치매 치료제 개발 눈앞 “신약이 보인다”
  • 2050년 혼자 사는 치매 의심 노인 119만 명 ‘4명 중 1명꼴’
    2050년 혼자 사는 치매 의심 노인 119만 명 ‘4명 중 1명꼴’
  • 캐어유, 시니어ㆍ장애인 위한 ‘엔브레인 교육용 키오스크’ 6종 출시
    캐어유, 시니어ㆍ장애인 위한 ‘엔브레인 교육용 키오스크’ 6종 출시
  • 티에이치케이컴퍼니 ‘이로움돌봄’, 앱 어워드 코리아 2024 ‘올해의 앱’ 수상
    티에이치케이컴퍼니 ‘이로움돌봄’, 앱 어워드 코리아 2024 ‘올해의 앱’ 수상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