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 빚는 성악가 신동주입니다.”
경기도 남양주에서 떡집을 운영 중인 신동주(58) 씨는 인생을 즐기면서 살고 있다. 떡집 사장이면서 취미 생활로 아마추어 성악가로 활동하고 있어 자신을 ‘떡 빚는 성악가’라고 말한다. 그가 한식조리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떡집 사장으로 안착하기까지의 과정은 파란만장했다.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신동주 씨는 대기업 홍보실에서 10년 가까이 일했다. 이후 외식 사업에 여러 번 도전했지만 잘 안 됐다. 한국은 내가 있을 곳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 그는 자녀들을 데리고 필리핀으로 떠났다. 홈스테이를 운영하면서 한국 학생을 돌보는 일을 했다. 그 기간이 또 10년을 넘었다.
신동주 씨는 “영어도 좋아하고 요리도 좋아했기 때문에 나에게 딱 맞는 일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가 인생에서 가장 여유 있고 행복한 시절이었던 것 같다”고 회고했다.
신 씨는 귀국 후 보험회사에서 3년간 근무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터지는 바람에 사람을 만날 수 없었고 영업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또 일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다시 백수가 됐을 때 매제가 신동주 씨에게 한국폴리텍대학 외식조리과 신중년 특화과정을 추천했다.
그렇게 지난해 한국폴리텍대학 학생이 된 신동주 씨. 요리를 워낙 좋아하는 그는 교육을 즐겁게 들었다. 신 씨는 어렸을 때부터 요리의 재미를 느꼈다고 한다. 방앗간을 운영하신 부모님의 영향도 컸다. 그는 하교 후 친구들과 뛰어노는 대신 부엌에서 이것저것 만들어봤다고. 떡은 물론 고구마도 굽고, 도넛도 튀겨보고, 요리책을 보며 카스텔라, 머랭 쿠키를 만든 적도 있다고.
운도 따른 덕에 자격증 취득 과정도 크게 어렵지 않았다. 그는 “실기시험을 한 번에 통과했다. 비빔밥과 무생채로 시험을 봤다. 제가 칼질을 참 잘하는데 자신 있는 메뉴가 시험에 나온 것이다. 돌이켜봐도 운이 좋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신동주 씨는 한식조리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폴리텍대학에서 추천해준 식당에서 일했다. 그러나 적응하지 못했고, 현재의 떡집을 찾았다. 집에서 가까워서였다. 지난해 가을부터 직원으로 일하다가 6개월 뒤 사장의 권유로 떡집을 인수했다. 신 씨는 부모님도 방앗간을 운영했던 터라 떡집 사장이 된 것을 운명이라고 느낀다.
그렇다면 떡을 만들 때 한식조리기능사 자격증이 도움이 됐을까. 신동주 씨는 “많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이어 “한식 요리를 모르는 상태에서 떡을 만들면 배운 대로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한식의 냉장 숙성을 배운 덕분에 떡에 응용할 수 있었다. 그런 실험을 통해 음식 맛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이다. 숙성법을 활용해 더욱 쫄깃하고 부드러운 떡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신동주 씨는 마지막으로 동년배들에게 “창업을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하지 말라고 하고 싶다”고 외쳤다. 창업 시장의 과열로 성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는 “대신 어딘가에 들어가서 경험해보기를 추천한다. 청소를 하든지 아르바이트를 하든지 뭐든지 해라”라고 덧붙였다.
“저도 이제 나이가 60세에 가깝잖아요. 요즘 친구들을 만나면 나이를 많이 먹었다고 힘들어해요. 제 친구 같은 분들에게 괜히 늙었다고 착각하지 말라는 말을 전하고 싶어요. 아직 창창할 때니까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마음껏 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요. 제발, 막걸리 한 병 사서 산에 가지 말아요! 다른 할 일 많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