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년 8명 중 1명은 가족을 돌봐야 하는 부담이 높은 데다가 노후 준비도 제대로 되지 않은 ‘이중 과업’에 시달렸다. 특히 ‘샌드위치 세대’로 불리는 40대 중후반의 X세대의 부담감이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중년의 이중과업 부담과 사회불안 인식 : 가족 돌봄과 노후 준비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45∼64세 중년 중 가족 돌봄 부담이 있고 노후 준비가 되지 않은 비율이 12.5%로 집계됐다.
보사연은 전국의 만 45세 이상 64세 이하 연령 3575명을 대상으로 벌인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중년이 가족 돌봄과 노후 준비라는 이중 과업에 직면한 현황 등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중년 4명 중 1명은 가족 돌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가족 돌봄으로 일상생활이나 경제활동 등에서 어려움을 겪은 비율은 26.7%, 노후 준비를 못 했다는 응답은 43.0%로 나타났다. 돌봄 부담이 있으면서 노후 준비도 하지 않은 경우는 12.5%였고, 돌봄 부담이 없고 노후 준비도 했다는 응답은 42.7%를 기록했다.
돌봄 부담이 있고 노후 준비도 안 됐다는 응답은 연령별로 보면 X세대(1975~1977년생)인 40대 중후반이 18.1%로 가장 높았다. 이어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4년생) 12.5%, 1차 베이비부버 세대(1958~1963년생) 9.6% 순이었다.
이중 과업 부담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도 달랐다. 실업 상태, 소득 하위계층에서 이중 과업 부담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가족 돌봄으로 인한 어려움이 없으며 노후 준비도 하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 비율은 대학교 졸업 이상, 상용직, 소득 상위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고령화·만혼으로 인해 부모·자녀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노동시장 불안정성과 공적연금 한계로 인해 노후 준비의 어려움도 커지고 있다”며 “사회보장 정책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첫 번째로 중년기를 고려한 종합적 정책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공공 돌봄 서비스, 공적연금, 노후 준비 자원 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확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두 번째로 중년을 위한 사회보장제도는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것을 넘어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령 중심적으로 추진해 온 기존의 사회보장제도의 틀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인간의 생애 경로를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