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서 노인복지와 요양 서비스 분야에 큰 족적 남겨
▲사사키 노리코 前강남대학교 교수.(이준호 기자)
사사키 노리코 前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가 지난 14일 일본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6세.
사사키 교수는 1980년대 한국으로 이주한 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쳤다. 이후 2008년부터 2015년까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에서 전임교수로 재직하며, 학과 설립 초기 교육과정 운영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퇴임 이후에도 사사키 교수는 한국시니어케어연구회(KSCS)와 일본의 인지증예방넷(NPO)에 소속되어 한일 양국을 오가며 고령자의 삶과 복지 증진을 위한 연구와 실천에 매진해 왔다. 특히 ‘모두를 위한 뇌활 쓰리-A’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내에서 치매 예방 및 인지 건강 향상에 기여해 왔다. 이 같은 활동은 노인복지 및 요양 서비스 질적 향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고인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행복한 인생을 위해 ‘흘러가는 노후’가 아니라 ‘대비하는 노후’를 사시라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다.”고 당부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시니어케어연구회 주관으로 추도식이 열릴 예정이다.
관련 뉴스
-
- “일본의 앞선 경험, 한국 초고령사회 이정표 되길”
- 초고령사회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를 거쳐 1995년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그 과도기였던 1980년대, 사사키 노리코(74) 前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는 고국을 떠나 서울로 이주했다. 국내에서는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던 때였다. 일본의 앞선 경험 덕분일까? 사사키 교수는 일찍이 한국 노인의 삶에 주목했다. 어느덧 2025년 한국의 초고령사회가 전망되는 가운데, 오랜 시간 녹슬지 않게 닦아온 그의 혜안이 빛을 발하고 있다. 사사키 노리코 교수는 현재 한국에서는 한국시니어케어연구회(KSCS), 일본에서는 인지
-
- “잘 살기 위해, 잘 떠날 준비를 합니다”
- 원혜영 웰다잉문화운동 대표는 전 지방자치단체장이자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런 그가 2016년 돌연 정계 은퇴를 선언한 후 ‘죽음’을 삶의 화두로 두고 살고 있다. 그에게 죽음은 막연한 공포가 아닌 품위 있는 마무리로서의 죽음, 남겨진 사람을 위한 배려다. 그가 지난 8년간 ‘웰다잉’이라는 단어를 세상에 알리며 해온 일은 단순한 죽음 준비 교육이 아니다. 지금을 돌아보고, 나답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사람들의 삶 전체를 묻는 일이었다. 원혜영 대표는 요즘도 전국을 돌며 강연을 한다. 최근에는 50대 중반에서 70대의 중장년 청중이 특히
-
- 의지할 곳 없는 노후 공포 “가족 없어도 믿고 맡길 수 있어야”
- 1인가구가 급증하고 있는 일본에서 ‘삶의 마지막을 누구에게 맡길 것인가’는 점점 더 절실한 화두가 되고 있다. 보호자가 없는 고령자, 개호필요등급(要介護認定)을 받지 못해 공공요양시설 입소조차 어려운 독거노인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인지기능 저하와 함께 이들의 재산과 신상 관리가 사실상 공백으로 남는 경우도 많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일본에서는 주목할 만한 민간 주도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바로 ‘전국고령자등종신서포트사업자협회(全国高齢者等終身サポート事業者協会, 이하 협회)’라는 긴 이름의 단체다. 이들은 출범 준비를
-
- 노년의 성숙은 관계 속에서 완성
- 강학중 한국가정경영연구소 소장은 대교 대표이사라는 안정된 자리를 내려놓고, 인생 2막을 ‘가정’이라는 본질로 돌아갔다. 그는 말한다. 노년기 행복의 핵심은 돈도 건강도 아닌 ‘관계’라고. 부부는 작은 조직이고, 가족은 경영의 대상이며, 소통은 노력으로 길러지는 능력이라고. 인생의 반환점을 돌고 있는 시니어들에게 그는 “행복한 가족은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리더십도 필요하고, 대화도 연습이 필요하다”고 전한다. 가족을 선택한 남자, CEO에서 연구소장으로 강학중 소장은 대교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나 2000년 1월 1일, 한국가
-
- “안전한 내 집에선 괜찮아!”… 노후 주거 전문가의 조언
- 북인북은 브라보 독자들께 영감이 될 만한 도서를 매달 한 권씩 선별해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해당 작가가 추천하는 책들도 함께 즐겨보세요. 걷기 힘든 보도, 앉을 곳 없는 거리, 단절된 커뮤니티 등에서 노인을 위한 배려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희망은 있다. 작은 변화가 시작된다면, 도시도 나이에 관계없이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변할 수 있다. 벤치를 설치하고, 보행로를 정비하며, 세대 간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면 나이가 들어도 살아가기 좋은 도시를 만들 수 있다. - ‘나이 들어 어디서 살 것인가’, 13p 노인 5명 중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