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승구씨 별세, 강호근(엠제이유통 차장)ㆍ미희(주부)ㆍ미경(주부)씨 부친상, 최규현(한컴 대표이사)ㆍ최일우(동국대 중앙도서관 과장)씨 장인상=24일 오후 삼성서울병원, 발인 26일 오전, 02-3410-6919
관련 뉴스
-
- [Trend&Bravo] 자녀 둔 아빠들이 말한 현실 유형 5
- 인구보건복지협회가 미성년 자녀를 둔 남성 4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아빠들이 육아 전 기대했던 모습과 실제로 마주한 모습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 전에는 ‘친구 같은 아빠’가 가장 이상적인 아버지상으로 꼽혔지만, 현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모습은 ‘바쁜 아빠’였다. 이와 함께 ‘주말에만 시간 내는 아빠’, ‘피곤한 아빠’, ‘지친 아빠’, ‘혼내는 아빠’ 등이 주요 응답으로 확인됐다. 이상과 현실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조사 결과는 카드뉴스로 확인할 수 있다.
-
- 작년 고독사 사망자 3924명…‘60대 남성’ 가장 많아
- 복지부, ‘2024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결과 발표 ‘60대 남성’ 1089명 최다…두 번째 ‘50대 남성’ 1028명 발생장소 주택 가장 많아…원룸·연관·고시원 증가추세 지난해 주변과 단절된 채 홀로 죽음을 맞이한 고독사 사망자 수가 4000명에 육박했다. 보건복지부가 27일 발표한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고독사 사망자 수는 3924명으로 전년(3661명)보다 263명(7.2%) 증가했다. 전체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는 같은 기간 7.2명에서 7.7명으로, 전체 사망자 100명당
-
- [AI 브리핑] 교통약자 1600만 명 넘었다…총인구 31.5%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AI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교통약자 1613만 명…전체의 31.5%로 증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약자는 총인구의 31.5%인 1613만 명으로, 고령화 영향으로 전년보다 26만 명 넘게 증가했다. 저상버스 보급률은 44.4%로 확대됐고, 교통수단·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 개선과 저상버스 표준모델 개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 놓치면 손해! 65세 이상 혜택(문화ㆍ여가편)
- 영화 한 편, 미술관 한 바퀴, 도서관에서의 조용한 오후까지. 문화생활은 일상을 활기차게 하고, 정서적 여유를 회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65세 이상 시니어라면 다채로운 경험을 통해 새로운 취향을 발견하기에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부담 없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65세 이상을 위한 다양한 문화ㆍ여가 혜택을 알아보자. 공연ㆍ전시 할인 ▲국립ㆍ공립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 할인 또는 무료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민속박물관 등 대부분의 국립 문화시설에서 무료입장 또는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
-
- 우리집 가까이서 만나는 '서울체력 9988 체력인증센터'
- 서울시민이 집․직장 가까운 곳 어디서나 건강검진처럼 ‘체력’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맞춤 운동처방까지 받을 수 있는 ‘생활권 체력인증시대’가 열린다. 서울시는 측정부터 처방까지, 원스톱 체력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울체력9988 체력인증센터’를 오는 12월 3일 서울시립대학교, 광진구, 도봉구를 시작으로 순차 개소하며, 자치구별 차례로 늘려 내년 말까지 시내 총 50개소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체력인증센터’는 지난 9월 공개된 ‘건강도시 서울 종합계획, 더 건강한 서울 9988-3·3·3·3’의 핵심 과제다. 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Trend&Bravo] 자녀 둔 아빠들이 말한 현실 유형 5](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59440.jpg)

![[AI 브리핑] 교통약자 1600만 명 넘었다…총인구 31.5%](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4256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