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의 노년층 절반 이상이 최소한의 생활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사추세츠대학교 보스턴 캠퍼스 노년학연구소가 발표한 ‘2024 뉴욕주 노년층 경제안정성 지수(Elder Economic Security Index)’에 따르면, 뉴욕주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1인 여성가구의 59%, 1인 남성가구의 49%, 부부가구의 26%가 ‘엘더지수(Elder Index)’ 이하의 소득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는 연방빈곤선(FPL)을 웃도는 수준임에도 뉴욕주의 높은 물가로 인해 기본적 생활비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제적 불안’ 상태를 의미한다.
엘더지수는 주거비, 식품, 교통, 의료, 기타 필수지출을 포함한 최소 생활비를 산출한 지표로, 뉴욕주는 미국 내 고령자 생활비가 네 번째로 높은 주로 꼽혔다. 엘더지수는 단순한 빈곤선보다 현실적 지출 구조를 반영하는 지표로, 고령자의 경제적 삶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뉴욕주에서 1인 임차가구의 연평균 최소 생활비는 3만8220달러(한화 약 5290만 원), 부부 임차가구는 5만1468달러(약 7130만 원)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령자 단독가구의 경제불안은 가구 규모에 따른 비용 절감 여지가 없는 구조적 문제”라며 “특히 여성과 소수인종 고령층의 빈곤률이 더 높다”고 분석했다.
뉴욕주는 65세 이상 인구가 약 370만 명으로, 2036년에는 44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85세 이상 초고령층이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주거·의료·돌봄 비용 부담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여성·유색인종·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경제 불안의 중심에 있으며, 공공 프로그램 강화 없이는 세대 간 빈곤이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조사는 뉴욕 주정부와 지역사회단체 ‘뉴욕주 고령자 행동 연합(NY StateWide Senior Action Council)’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마리아 알바레스 연합 대표는 “뉴욕의 고령자 5명 중 1명 이상이 생계 불안 상태에 놓여 있다”며 “안정된 노후를 위한 사회적 안전망 확충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