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연구팀, "53세 때 체력은 조기 사망 위험을 알수 있는 객관적 척도"
중년 나이의 남녀가 건강하게 노년기를 맞을 것인가, 아니면 단명할 것인가 여부를 가늠해볼 간단한 테스트 방법이 제시됐다.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와 눈 감고 외발로 서기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쉽게 테스트할 수 있다고 인디펜던트 등 영국 언론이 30일 영국 의학연구심의회(MRC) 보고서를 인용해 30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MRC 연구팀은 1946년생 남녀 5천명을 대상으로 특별히 훈련된 간호사의 가정방문을 통해 건강 이력을 추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3세를 기준으로 남자가 의자에서 앉았다가 일어서기를 1분에 23회(여성은 22회) 이상 하지 못하면 66세가 되기 이전에 사망할 확률이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동작을 1분에 37회(여성은 35회) 할수 있으면 66세 됐을 때 여전히 건강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두 눈을 감고 외발로 10초 이상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면 역시 53세 중년이 13년 후 건강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에 비해 두 눈을 감고 외발로 2초 이상 서있지 못하면 10초 이상 균형을 유지한 사람에 비해 66세 이전에 사망할 가능성이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사
-
- 인천성모병원,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 1등급 획득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만 18세 이상 우울증 외래 신규 환자를 진료한 전국 411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은 100점(전체 평균 47점)을 받아 우울증 진료 우수 의료기관임을 인정받았다. 평가는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 △첫 방문 후 8주 이내 3회 이상 방문율 △우울증상 초기 평가 시행률 △우울증상 재평가 시행률 등 4개 평가지표와 △항우울
-
- 휘어 보일 때 방치하면 실명 위험… 3대 노인성 안질환, 황반변성
- 황반변성은 백내장, 녹내장과 함께 3대 노인성 안질환으로 꼽힌다. 녹내장, 당뇨망막병증과 함께 3대 실명 질환으로도 거론된다. 즉 나이가 들면 발병하기 쉬운 질환인데, 결국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는 말이다. 황반은 우리 눈에서 카메라 필름 역할을 하는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노폐물이 쌓여 시력 장애가 생기는 것을 황반변성이라고 한다. 황반변성에 대한 궁금증을 김주연 세란병원 안과센터장과 함께 풀어봤다. 대한안과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황반변성으로 병원을 찾은 인원은 2019년 20만 471명에서 2023년
-
- 무릎관절염 한의 약침 치료, 유의미한 증상 개선 나타나
- 일차성 무릎관절염 환자들이 침·약침 치료 등 한의 통합치료를 받은 이후 증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무릎관절염은 만성적인 통증과 기능 장애를 유발해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대표적 질환이다. 특히 ‘일차성(원발성) 무릎관절염’은 관절·연골을 손상시키는 외상, 질병, 기형 등의 특별한 선행 원인 없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무릎 질환이며, 연골이 닳거나 손상돼 관절의 기능이 저하되고 염증과 통증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걷거나 움직일 때 무릎에서 소리가 나기도 하며, 움직임이 제한 되는 등 일상에 상당한
-
- 가을 산행 시 삐끗한 발목, ‘발목관절염’ 불러
- 1년 중 하늘이 가장 청명하고 야외 활동하기 적합한 10월에 들어섰다. 이맘때쯤이면 단풍 구경하러 산으로 향하는 행렬이 줄을 잇곤 한다. 실제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전국에서 국립공원을 다녀간 10월 등산객은 781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중 가장 많은 규모로, 월평균 471만 명의 1.7배에 달하는 수치다. 다만 산에 오르는 등산객들이 증가하면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행정안전부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등산 사고를 조사해 발표했다. 해당 기간 중 10월에 발생
-
- 고령자에게 치명적… 뼛속 구멍 생기는 ‘골다공증’ 예방법은?
-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감소하고 강도가 약해져 골절에 취약해지는 질환이다. 골다공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 한 쉽게 알아채기 어렵다. 대부분 본인이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 척추 골절로 키가 줄어들거나 허리가 휘어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골다공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127만6222명으로 2019년 107만9548명 대비 18.2% 늘었다. 2023년 기준 성별로는 여성 비율이 94.3%에 이른다. 여성은 완경(폐경)을 전후로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