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물량 적은 데다 오피스텔 매매가격 하락 영향
서울지역 오피스텔의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오피스텔 전세가율 상승은 오피스텔이 아파트와 달리 전세 물량이 적은 데다 최근 오피스텔 매매 가격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7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지역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70.1%로 2010년 7월 오피스텔 자체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가율은 매매가에서 전셋값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2011년 4월 62.7%, 2012년 4월 64.9%, 지난해 4월 66.2%로 매년 올랐다. 평균 전셋값은 1억5030만원으로 KB국민은행의 자체 조사 이후 처음으로 1억5000만원을 넘어섰다.
경기지역 오피스텔 전세가는 1억2147만원으로 조사 이후 가장 높았고, 전세가율은 75.0%나 됐다. 인천지역은 전세가 6432만원에 전세가율은 66.8%였다
관련 뉴스
-
- 교묘해진 보이스피싱…시니어 스마트폰 교육 ‘주목’
-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는 가운데,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교육 봉사활동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은행은 12일 영도구 와치종합사회복지관에서 두근두근 재능기부봉사대 디지털IT팀이 참여해 어르신 10여 명을 대상으로 ‘시니어 스마트폰 교육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금융사기 예방에 기여한다는 취지로 마련했다. 부산은행은 어르신들에게 디지털 기기 사용법, 적절한 요금제 선택 방법, 보이스피싱 예방 요령 등을 안내했다. 특히 봉사대원들
-
- 은퇴 후 ‘금융강사’로 제2의 인생…시니어 맞춤 아카데미
- 은퇴 후 제2의 인생으로 ‘금융강사’의 길을 택하는 시니어를 위한 맞춤 아카데미가 눈길을 끌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달 25일 ‘MG시니어 금융강사 양성 아카데미 1기’ 최종 교육을 마무리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작년 10월에 시니어 금융강사로 선발돼 현재 경기 지역 노인복지관 및 시니어클럽 등에서 활동 중인 강사 37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아카데미 1기는 강사의 강의역량 향상 및 질적 제고를 위해 총 3회차 교육으로 구성했다. 작년 10월 기본 과정을 시작으로, 올해 3월 심화 과정, 이번 최종 보수 과정까지
-
- 삼성증권 주식모으기 서비스 퇴직연금계좌에 접목
- 삼성증권이 노후를 준비하는 투자자들의 선택지를 넓혔다. 삼성증권은 개인투자자가 많이 활용하고 있는 ‘주식모으기’ 서비스를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퇴직연금 ETF 모으기’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증권의 ‘퇴직연금 ETF 모으기’는 원하는 종목을 선택해 정기적으로 자동 매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다. 확정기여형퇴직연금(DC)과 개인형퇴직연금(IRP)계좌에서 매일 ·매주·매달 특정일에 원하는 금액과 수량만큼 주식을 꾸준히 매수할 수 있다. 삼성증권은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연금투자자들이 국내ETF와
-
- KB금융, 그룹 경영진 워크숍서 ‘시니어 고객’ 공동 전략 마련
- KB금융그룹이 시니어 고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KB금융은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경남 사천에 위치한 KB손해보험 인재니움 연수원에서 ‘2025년 하반기 그룹 경영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새로운 금융환경하(下) 그룹의 레벨업(Level-up) 전략’을 주제로 열렸으며, 고객, 효율, AI, 포용 등 4대 아젠다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특히 KB금융은 시니어 고객 등 핵심 고객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고객군에 대한 그룹 공동의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고객 세션에서는 개별 계열사 관점이 아닌 그룹
-
- [땅부자 시니어] ③토지 소유 50대, 서울 송파구 가장 많아
- 국토부, 2024년 토지소유현황 통계 발표 서울에 거주하는 시니어 중 토지 소유자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송파구로 나타났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 자치구 중 토지를 소유한 50대가 가장 많은 곳은 송파구로 인원은 5만6974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강남구(5만6497명), 서초구(4민2815명) 순으로 나타났다. 토지 소유자들이 강남에 몰리는 현상은 60대·70대·80세 이상 연령대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토지 소유주 수가 높은 자치구를 순서대로 보면 △60대, 송파구 5만4623명 △70대, 송파구 3만2204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