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물량 적은 데다 오피스텔 매매가격 하락 영향
서울지역 오피스텔의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오피스텔 전세가율 상승은 오피스텔이 아파트와 달리 전세 물량이 적은 데다 최근 오피스텔 매매 가격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7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지역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70.1%로 2010년 7월 오피스텔 자체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가율은 매매가에서 전셋값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2011년 4월 62.7%, 2012년 4월 64.9%, 지난해 4월 66.2%로 매년 올랐다. 평균 전셋값은 1억5030만원으로 KB국민은행의 자체 조사 이후 처음으로 1억5000만원을 넘어섰다.
경기지역 오피스텔 전세가는 1억2147만원으로 조사 이후 가장 높았고, 전세가율은 75.0%나 됐다. 인천지역은 전세가 6432만원에 전세가율은 66.8%였다
관련 기사
-
- 연금저축 vs IRP 내게 맞는 연금계좌는?
- 퇴직이 코앞인데, 혹은 이미 은퇴했는데, 내가 가입한 연금 상품이 제대로 된 건지 궁금하다. 연금저축과 IRP, 도대체 뭐가 다르고 잘 선택했는지 알쏭달쏭하기만 하다. “혹시 하나만 가입해서 손해 보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 수 있다. 걱정은 넣어둬도 된다. 연금저축과 IRP의 핵심 차이점을 이해하면 내게 맞는 연금계좌를 찾을 수 있다. 가장 큰 차이는 가입 대상 연금저축과 IRP는 모두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금융 상품이다. IRP는 ‘개인형 퇴직연금’이라고도 불리는데, 회사를 퇴직할 때 퇴직금을 받는 계좌로 사용
-
- 내 연금, 한눈에 확인하는 법
- 연금은 노후 생활의 중요한 기반이지만 가입했다고 해서 준비가 끝나는 건 아니다. 은퇴 후 예상 생활비와 비교해 현재 내가 가입한 연금으로 충분히 생활이 가능한지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 연금이 통장으로 들어오자마자 건강보험료, 통신비, 관리비, 세금 등으로 스치듯 빠져나가 버린다면 곤란해질 수 있다. 내가 낸 금액이 얼마이고, 연금은 언제부터 얼마씩 나올지 미리 확인해 보자. 통합연금포털에서 예상 수령액 확인 연금 가입 내역과 예상 수령액을 확인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금융감독원(www.fss.or.kr)이 운영하는 통합연금포털의
-
- 치매에 걸려 비번을 잊었다! 내 예금 어떡하지?
- 고령화가 가속화되며 치매나 파킨슨병(퇴행성 뇌 질환) 같은 노년기 질환은 더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은퇴 전후 부모님이 인지 질환을 겪기 시작하면 가족들은 예금 인출 같은 현실적인 문제와 마주하게 된다. 한 동료는 아버지가 돈이 없어질까 걱정돼 금고에 넣었다가 노인성 치매 증상으로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곤란했던 일을 털어놓았다. 언제든 우리에게 닥칠 수 있는 현실이다. 본인이 직접 오면 인출은 가능 우리나라 은행 시스템의 핵심 원칙은 ‘본인 확인’이다. 은행 영업점에서는 신분증을 지참한 본인이 인출을 요청하면 진행해 준다. 본인이
-
- 예금자보호법, 24년 만의 변화… 내 돈은 얼마나 안전할까?
- 25년간 은행에 몸담으며 가장 자주 들었던 질문은 “퇴직금은 어디에 넣는 게 안전할까요?”였다. 여윳돈을 어떻게 굴릴지, ETF는 뭘 골라야 할지, 미국 국채는 괜찮은지 등, 돈 이야기만 나오면 누구나 눈빛이 달라진다. 이러한 관심은 은퇴 이후 현금 흐름에 대한 불안에서 비롯된다. 연금 광고가 일상에 넘쳐나는 요즘, 은퇴 시기의 금융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다가온다. 예금자보호법, 이제는 전략이다 예금자보호법은 금융회사가 파산 등으로 예금을 지급하지 못할 경우, 고객의 자산을 보호하는 제도다. 예금보험공사는 금융회사로부터 보
-
- 주택 있어도 현금 부족… 주택연금, 노후소득 대안 되려면
- 국회입법조사처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연금은 고령자들의 주택을 소득화할 수 있는 대표적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활용은 극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혜진 입법조사관은 ‘주택연금의 노후소득보장 역할 강화를 위한 제언’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주택연금은 공적연금의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제도적 미비로 인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며 제도 개선을 제안했다. 2024년 말 기준 주택연금 가입자는 13만 명 수준이며, 이 중 대부분은 70세 이상 고령층이다. 주택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