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환자 좋은 의사되기] 살려준 손, 따뜻한 눈물

기사입력 2015-07-07 14:32 기사수정 2015-07-07 14:32

대장암을 극복 중인 환자와 주치의가 라뽀(rapport)를 말하다

▲복강경수술과 항암치료를 거쳐 대장암 3기를 극복해내고 있는 류세창씨(왼쪽)와 따듯한 손으로 그를 살린 백정흠 교수. 이들은 손을 꼭 잡고 완치판정을 기다리고 있다.
의사와 환자, 생명을 걸고 맡기는 관계, 둘 사이에 맺어지는 깊은 신뢰감을 ‘라뽀(rapport)’라고 말한다. 당신의 의사는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 대장암 3기, 수술로 극복하고 현재 완치 판정을 기다리고 있는 류세창(柳世昌·68)씨와 그를 살린 가천대 길병원 대장항문클리닉 백정흠 (白汀欽·51) 교수가 그들만의 이야기를 추억 한 스푼, 눈물 몇 방울 떨어뜨려 향 깊은 녹차처럼 우려냈다.

글 박근빈 기자 ray@etoday.co.kr 사진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

“교수님, 일단 제 몸부터 봐 주세요. 체중이 좀 빠졌는데, 티가 나나요?”

168㎝의 키에 100㎏이 넘는 류세창씨는 요즘 매일 아침마다 5㎞ 이상 걷는데, 제일 먼저 백정흠 교수에게 확인받고 싶어 한다.

“운동을 열심히 한다는 거 정말 좋은데요. 조금만 더 노력해 보세요. 아직 빼야 할 살이 많답니다. 일단 등산을 가려면 더 빼야 됩니다. 스쿼트부터 한번 해봅시다!”

백정흠 교수는 류세창씨와 등산을 한번 가고 싶은데, 아직 체중이 많이 나가서 무릎을 다칠까 봐 걱정이 된다.

대장암을 겪은 환자와 의사의 관계로 보기에는 너무 편안하다. 궁금한 부분은 모두 말하고, 다 들어주는 그들의 대화에 벽을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들에게 뭔가 특별한 것이 있는지 좀 더 들여다보기로 했다.

情이 그리운 나에게 힘을 준 그대

류씨는 황해도에서 피난 내려온 아버지 손에서 커 가족이 거의 없다. 그래서인지 남들보다 강한 정신력을 갖고 있지만, 외로움이 많다. 아플 때는 아픈 것보다 정이 그리운 경우도 많았다. 류씨는 진료를 받을 때마다 항상 따듯한 말로 걱정해주는 백 교수가 가족 같이 느껴졌다. 그래서 더 열심히 살아남아야겠다고 다짐했던 적도 있다.

“백 교수는 의사라서 멋있는 게 아니라, 인간적으로 참 좋은 분이에요. 이런 사람이 내 주변에 있다는 걸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모를걸요. 다들 알고 있듯이 백 교수는 대장암 명의라고 불리지만, 그런 딱딱한 자세를 한 번도 보인 적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난 무조건 백 교수를 믿고 따랐습니다. 그게 지금 제가 건강한 이유일지도 모릅니다.”

어느 날 찾아온 대장암 3기

류씨는 그날도 어김없이 회사에서 근무를 하고 있었다. 속이 좋지 않아 화장실을 갔는데, 시커먼 변이 나왔다. 춘장 덩어리가 변기에 박혀 있는 모습이었다. 불현듯 위출혈로 생사를 오갔던 기억이 되살아났다. 곧바로 병원으로 이동한다. 검사 결과, 대장암 3기라는 판정이 나왔다.

“3기라고 하는데, 말이 안 나오더군요. 놀라고 겁이 났죠. 그래서 종교의 힘을 빌려 생각하기로 했어요. ‘생명이 오는 것도 거둬가는 것도 하늘의 뜻이거늘 삶에 그렇게 애착을 갖지 말자. 대신 최선을 다해보는 거다’라고요.”

백 교수도 그날을 뚜렷이 기억하고 있다. 항문 출혈로 병원에서 대장암 판정을 받은 류씨의 모습이 지금도 생각난다. 체중이 많이 나가서 복강경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고민을 하던 그다.

“동양인의 체형은 말라서 서양인보다 수술이 수월하다는 보고서들이 있죠. 그런데 류씨는 달랐죠. 어떻게 수술을 해야 할지 생각을 많이 해야 했어요. 그러던 중 수술 일정이 잡혔죠. 2011년 5월 27일. 아직도 기억하는 날이죠. 복강경전방절제술을 시행했죠. 결과는 만족스러웠습니다. 수술 후 류씨는 일주일만 입원했어요. 살고자하는 의지가 무척이나 강렬했던 거죠.”

긍정의 열매를 키우는 방법

수술이 끝났고, 류씨는 깨어났다. 일어나자마자 몸을 일으켜 걷기 시작한다. 백 교수의 열심히 운동해야 한다는 말을 지키고 싶었기 때문이다. 12번의 항암치료 중에도 류씨의 끈기는 돋보였다. 보통 6~7차 때 항암치료를 포기하는 이들이 많은데, 류씨는 버텼다.

“사실 항암치료를 받는 분들을 보면 식사를 못하고 토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저는 잘 먹어야 된다기에 못 먹으면 갈아서 마셨어요. 2박 3일 동안 주사를 맞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죠. 그래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목표를 갖고, 그것을 지켜내기 위해 견뎌냈습니다. 백 교수가 말하는 것들은 다 지키려고 노력했어요. 그게 제가 항암치료를 극복해 낸 방법이었습니다.”

이제는 살아서 증명해 보이고 싶은 일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회사에 복귀했고, 성실히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고자 했다. 최근에는 노인대학에 강사로 서서 본인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한다.

백 교수는 이런 류씨를 ‘살고자 하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어려움을 이겨낸 사람’이라고 설명한다.

“과학적 증명이 우선시되는 의료 분야에서도 과학으로 설명하기 힘든 일들이 벌어지곤 해요. 그것은 긍정적인 사고가 낳은 기적 같은 일들이죠. 의사와 환자는 신뢰감을 기반으로 기적 같은 일들을 직접 증명시키는 거죠. 류씨처럼 믿음으로 긍정의 열매를 쑥쑥 빨아들이는 환자가 있는 반면 색안경을 끼고 견제하는 환자들도 있죠. 저는 환자분들에게 류씨의 긍정적인 사고를 배우라고 권하고 싶어요.”

현재 류씨는 대장암 수술 후 재발 고비 시점인 2~3년이 지났다. 이제 1년 반만 버티면 암 완치판정을 받을 수 있다. 그때까지 이들의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다. 평생 같이할 각오이기 때문에 두려움은 없다.

▲백정흠 교수가 류세창씨에게 스쿼트 자세를 알려주고 있다. 하체근력을 강화해 등산을 함께 가기 위한 준비방법 중 하나이다.
이 시대 명의의 조건, 소통

의사는 보통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를 구분해 진료한다. 대형병원의 경우는 환자가 많기 때문에 주치의가 상담을 하는 시간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외래를 볼 때면 5분 이상 이야기하는 게 어려운 현실이다. 그렇지만 백 교수는 환자들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힘이 되고 싶었다. 그래서 지난해부터 카카오그룹이라는 모바일 메신저에 모임을 만들었다. 환우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고, 중요한 정보가 있으면 공유하는 편안한 자리를 마련한 것.

“여러 가지 조건이 맞아 떨어진 게 지금하고 있는 카카오그룹이 아니었나 싶어요. 우선은 환우들에게 정보를 주거나, 이야기를 나눌 때는 일반인들과는 다른 폐쇄된 공간이 필요하죠. 좀 더 편안히 이야기할 수 있게 말입니다. 그리고 특정 사람만 초대할 수 있으니 우리들만의 소식들이 더 소중해지죠. 또 굳이 컴퓨터를 켜지 않아도 휴대폰을 통해 수시로 환우들의 소식을 접할 수 있으니 시간이 아껴지죠. 오늘은 환우들이 궁금해하는 음식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84명이 가입된 이 카카오그룹은 매일매일을 살아가는 대장암 극복 환우들의 이야기들로 북적이고 있다. 백 교수 역시 수시로 참여해 환우들과의 격식 없는 소통을 해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가장 주력하고 있는 부분은 오는 9월 길병원에서 진행되는 ‘대장암의 날’ 행사를 멋지게 해보고 싶어 환우들의 의견을 모으는 것이다.

카카오그룹을 설명하는 백 교수의 모습에서 어린아이 같은 미소가 번져갔다. ‘교수’, ‘센터장’이라는 타이틀이 아닌, 더 낮은 자세로 임하는 의사가 되려는 그, 이 시대 진정한 명의의 조건을 갖춘 것이 아닐까.

“특히 암을 겪은 환자들에게는 이겨낼 수 있다는 안정감을 심어주는 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소통을 자주 해야만 하죠. 주치의라고 해서 자주 만날 수 없고, 이야기하기 어려운 상대가 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다가올 수 있게 분위기를 만드는 것. 그런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노력하고 싶네요. 치료가 우선시되는 것을 전제로 병원 밖에서도 사소한 부분을 신경 써주는 것이 참 중요한 것 같아요. 사실 이런 것들이 쌓이고 쌓이면서 라뽀가 형성되는 거죠. 설명하기 힘들지만, 병을 극복하는 데 어떤 방향으로든 도움이 될 거라고 믿습니다.”

최근 메르스 사태로 인해 사회적으로 의료계 불신이 커지고 있다. 그것은 백 교수와 류씨의 이야기와는 달리 소통이 불가능한 상황이 급작스럽게 벌어졌기 때문이 아닐까. 이제는 변화가 필요한 시기가 됐다. 환자들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는 안전한 병원, 믿음직한 의사, 착한 환자의 모습으로 조속히 돌아가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허리 통증과 빈혈 넘겼다가, ‘노인 혈액암’ 다발골수종 놓친다
    허리 통증과 빈혈 넘겼다가, ‘노인 혈액암’ 다발골수종 놓친다
  • 노화와 식습관이 만드는 장 건강 경고신호 ‘게실 질환’
    노화와 식습관이 만드는 장 건강 경고신호 ‘게실 질환’
  • “헬스장은 노시니어존?” 80대까지 운동하고 싶다면 여기로!
    “헬스장은 노시니어존?” 80대까지 운동하고 싶다면 여기로!
  • 저소득층, 건강도 불평등… ‘부자 노인’, 9년 더 산다
    저소득층, 건강도 불평등… ‘부자 노인’, 9년 더 산다
  • 허리·턱·피부 뱀처럼 유연하게… 을사년, 시니어 건강 관리법은?
    허리·턱·피부 뱀처럼 유연하게… 을사년, 시니어 건강 관리법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