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은퇴] 은행(隱幸)주머니를 만들자

기사입력 2015-10-19 15:02 기사수정 2015-10-19 15:02

요즘 결혼하는 세대들은 맞벌이가 많지만 지금의 40~50대만 해도 외벌이가 대부분이었다. 직장을 다니던 신부들도 결혼 후에는 가사와 출산, 육아 등을 위해 직장을 그만두는 게 당시의 세태였다. 30여 년 전만 해도 외벌이 남편들은 월급봉투에 가득 현금을 담아 아내에게 갖다주는 뿌듯함과 가장으로서의 권위를 누릴 수 있었다. 봉투째로 넘기는 남편도 있었지만 일정 금액을 떼고 주거나 생활비만 주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월급이 송두리째 통장으로 들어가고 그 통장을 아내들이 관리하면서 비극이 시작되었다. 가계의 경제권을 아내들이 쥐고 크고 작은 지출은 물론 아이들과 남편에게 용돈을 하사하게 된 것이다. 급기야 남편들은 회사에 다닐 때도, 은퇴한 후에도 아내로부터 얼마간의 용돈을 타서 쓰는 신세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얼마 전, 한 TV드라마에서 한 달 용돈 30만 원을 타서 쓰는 은퇴한 아버지(남편)의 초라한 인생을 본 적이 있다. 20~30년 이상 평생을 열심히 일한 당신이 기껏 하루에 만 원을 타서 쓰는 ‘만 원 인생’이 되어서야 되겠는가?

그래서 필자는 오래전부터 주변의 친구와 선후배들에게 부부가 서로 눈감아주는 딴 주머니를 차고 있는 게 좋다고 조언하고 있다. 우리 중 상당수는 가족, 특히 배우자 몰래 가지고 있는 돈이 있다. 통상 ‘비상금’ 또는 ‘비밀자금’이라고 부르는 돈으로 나만이 알고 있는, 나만의 씀씀이를 위한 부분이다. 이 돈이 나 자신은 물론 배우자와 자녀를 포함한 친인척과 주변 사람들에게 주는 효용은 상상 이상으로 크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물론 사용하기 나름이기는 하다. 배우자에게 철저하게 비밀로 하면서 순수하게 자신만의 즐거움을 추구한다거나 과도한 술자리 또는 외도(?) 등 비정상적 용도로 사용한다면 그건 없느니만 못한 돈이다. 그러나 이 비상금을 가족 여행 시의 소소한 현금지출이나 배우자와 자녀, 부모 등 가까운 가족을 상대로 사용해보라. 내가 쓰는 돈의 ‘한계효용(限界效用, marginal utility)’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굳이 한계효용과 같은 어려운 용어를 쓰는 이유는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보자. 대부분의 가정에서 자녀의 용돈은 어머니가 주고 있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라면 매주 오천 원 또는 매월 2만 원을 주는 식이다. 아내로부터 매월 일정 금액의 용돈을 받아서 써야 하는 입장인 아버지로서 아이들에게 따로 용돈을 줄 형편이 못되기 십상이다. “뭐, 얘들도 제 용돈을 받아서 쓰니까 내가 따로 줄 필요는 없지” 하면서 넘어갈 수도 있다. 그런데 만약 아이들의 성적이 크게 올랐거나 태권도 승단심사를 통과한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래, 우리 아들(딸), 정말 잘했구나!”하면서 한 번 안아 주고 마는 것이 좋을까? 아니면 지갑에서 오천 원 또는 만 원짜리 한 장을 꺼내서 주는 게 좋을까? 이때 또한 아이가 아빠로부터 받은 오천 원의 효용과 어머니로부터 매주 받는 오천 원의 효용이 같을까?

어머니로부터 받는 용돈은 이미 당연한 권리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는 부분이다. 그런데 갑자기 예상치 못한 가욋돈이 아버지로부터 날아온 것이다. 말장난 같지만 같은 오천 원이 같은 오천 원이 아니다. 예상하지 못했던 오천 원이 주는 추가적 효용, 즉 한계효용이 엄청나게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욋돈 오천 원의 효용과 감사의 정도가 어쩌면 한 달 용돈 2만 원보다 더 클 수도 있다. 한 달 용돈 50만 원 안팎의 대학생 자녀가 가외로 받은 5만 원짜리 한 장이 가지는 효과 역시 같은 한계효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아버지로부터 특별상을 타기 위해 자녀들이 뭔가 스스로 잘해야겠다는 의욕과 동력을 불러일으키는 일석이조를 기대할 수도 있다.

같은 연장선상에서 할아버지가 손자손녀를 다루는 방법 또한 따로 주머니를 차고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대학을 다니는 손자손녀에게 요즘 연애 잘하고 있냐면서 5만 원짜리 한두 장을 손에 쥐어줘 보라. 온 가족이 할아버지 댁에 간다고 하면 손자손녀들이 선선히 따라 나설 뿐 아니라 설사 주말 MT가 있더라도 잠시 빠져나와서라도 올 것이다. 하루에 만 원을 용돈으로 타서 쓰는 할아버지로서는 꿈도 꾸지 못할 상황이다. 반대로 할아버지가 주머니는 열지도 않으면서 공부 잘하고 있냐고 스트레스만 준다면 할아버지 댁에 가기가 영 싫을 것이다. 대놓고 가기 싫다고 하기는 그러니까 없던 MT가 생기는 등 빠져나갈 구멍을 찾는 게 인지상정이다.

필자는 이처럼 유용한 비상금 주머니를 ‘은행주머니’라고 부르고 있다. ‘은행주머니’ 하니까 우리가 예금을 하는 은행(銀行)을 떠올리겠지만 그게 아니라 ‘은퇴(隱退) 후 행복(幸福)을 만들어주는 주머니’라는 뜻이다. 은행(隱幸)주머니를 부부가 서로 적당하게 차고 있으면 평소의 삶은 물론 특히 은퇴 후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쓰는 돈의 한계효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숨을 은(隱), 행복할 행(幸)’이라는 말 그대로 숨어 있는 소소한 행복 또한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유리알 지갑’이라는 월급쟁이가 무슨 수로 딴 주머니를 찰 수 있으며 또 어느 정도가 적당하냐고 물을 것이다. 그건 하기 나름이다. 교수나 전문직이 아닌 일반 직장인의 경우 어렵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특별상여금, 명절 차례비와 같은 눈먼 돈이 나올 수도 있고 한 달 용돈을 조금씩 줄여서 모을 수도 있다. 일주일에 커피 한 잔, 담배 한 갑, 술자리 한 번만 줄여도 10년, 20년 쌓이면 적잖은 돈이다. 아내가 일정액을 남편에게 따로 챙겨주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은퇴할 때 ‘나만의 은행주머니가 있는 게 좋을까’, ‘얼마나 있는 게 좋을까’, ‘어떻게 모을 수 있을까’를 생각해보면 나름 답이 나올 것이다.

한 가지 필요악은 은행주머니를 차기 위해서는 부부가 서로 모른 척 눈감아주는 센스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남편이 딴 주머니를 차고 있으면 애먼 짓을 하지 않을까? 하지만 요즘 같이 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오래 살아야 하는 시대에 남편들도 나름 제 살길을 찾고 있다는 점을 아내들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은행주머니가 가져올 미래의 엄청난 효용을 위해 현재를 인내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지금 당장 은행주머니 만들기를 시작하자. 하루 만 원 인생이 아니라 은행(隱幸)주머니를 차고 있는 우리의 즐거운 미래를 위하여.


글 최성환 한화생명 은퇴연구소장·고려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2025 노후 트렌드⑤] 노후 소득이 달렸다, ‘연금빌리티’
    [2025 노후 트렌드⑤] 노후 소득이 달렸다, ‘연금빌리티’
  • [카드뉴스] 노후 대비 투자 이렇게 하세요
    [카드뉴스] 노후 대비 투자 이렇게 하세요
  • 해외 금융계좌 신고 어기면 ‘과태료 폭탄’
    해외 금융계좌 신고 어기면 ‘과태료 폭탄’
  • [카드뉴스] 잠자는 퇴직연금 찾는 법
    [카드뉴스] 잠자는 퇴직연금 찾는 법
  • [카드뉴스] 4050 직장인을 위한 노후준비 전략
    [카드뉴스] 4050 직장인을 위한 노후준비 전략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