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수 시켜주는 아버지가 돼라

기사입력 2014-01-29 11:48 기사수정 2014-02-04 19:32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家

“리더에 대한 유일한 정의는 추종자를 거느린 사람이다.” 경영의 구루, 피터 드러커의 말이다. 그는 ‘프로페셔널의 조건’에서 세계적 리더의 공통점은 바로 추종자들이 있다는 점이라고 했다. 추종자를 거느려야 진정한 리더라는 것이다.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를 만든 것은 과연 어떤 교육이었을까.

그의 아버지인 경제학자 아돌프 드러커는 법률가이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국무역성 장관을 지낸 인물로, 1916년 6월 19일 당시 프란츠 요제프 황제로부터 기사 작위까지 받을 정도로 대단한 인물이었다. 어머니 캐롤라인은 의학을 전공했는데 프로이트의 강의를 수강한 제자였고 음악도였다. 한마디로 대단한 부모인 셈이다. 그런데 더 대단한 것은 자녀교육에 있다. 드러커의 부모에게 한 가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 있는데, 그의 부모는 특이하게도 누가 오든지 어린 드러커에게 악수를 하게 했다. 실제로 드러커는 9살 때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악수한 기억을 잊을 수 없다고 고백한다.

“피터야, 오늘을 기억해야 한다. 그분은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분이란다. 그분과 악수를 하거라.”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황제보다 중요한 분이에요?”

“그래, 황제보다도 중요한 분이란다.”

당대의 정신분석학자를 황제보다도 중요하게 생각할 줄 아는 아버지의 통찰력은 오스트리아 경제학파가 뿌리내리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아돌프 드러커는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의 스승이자 후원자가 되어 오스트리아 경제학파의 산실 역할을 했다.

드러커의 부모는 바로 현대 인간관계에서 가장 요구되는 ‘관계지향적’ 성향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부모님 덕분에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사람들과 접할 수 있었다. 내게 그 경험은 실질적 교육이 되었다.” 관계지향성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목적을 추구하는 목표지향성을 지닌 사람(대부분 남자들이 여기에 해당)과 달리 다른 사람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끔 기꺼이 돕고 헌신하는 역할(여성이 여기에 해당)을 한다고 한다. 드러커는 어린 시절 부모의 관계지향성 덕분에 지그문트 프로이트, 토마스 만, 조지프 슘페터와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 등 당대의 유명인들과 악수를 나눌 수 있었다. 이처럼 부모의 관계지향적 면모는 훗날 드러커가 인적 네트워크를 중시하는 성향으로 이어져 그 역시 세계적 경영자들과의 폭넓게 교류하게 된다. 후일 그가 잭 웰치, 모리타 아키오(소니 창업자) 등 당대의 경영인뿐만 아니라 칼 폴라니(‘거대한 전환’의 저자), 마셜 맥루언(‘미디어의 이해’ 저자) 등 수많은 석학들과 교분을 나누는 데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사람은 오직 자신의 강점으로만 성과를 올릴 수 있다. 단점을 보완하려 하기보다 강점을 강화하라.” 피터 드러커의 이 말은 자기계발의 오래된 명문이다. 직장인이라면 이 말을 한두 번쯤 들어보았을 터다. 즉 아돌프 드러커의 관계지향성은 아들 피터가 ‘경영학의 아버지’가 되게 한 ‘보이지 않는 힘’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자생한방병원, ‘사랑의 김장김치 나누기’ 행사 열어
    자생한방병원, ‘사랑의 김장김치 나누기’ 행사 열어
  • [카드뉴스] 초간단 신체 나이 테스트
    [카드뉴스] 초간단 신체 나이 테스트
  • 日 2050년 ‘노인 1인 가구’ 1000만 명 돌파
    日 2050년 ‘노인 1인 가구’ 1000만 명 돌파
  • 일본의 색다른 지방소멸 해법,  골칫덩이 대나무를 효자로
    일본의 색다른 지방소멸 해법, 골칫덩이 대나무를 효자로
  • 서울시, '동행일자리' 내년 상반기 6490명 모집
    서울시, '동행일자리' 내년 상반기 6490명 모집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