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문화] 인천상륙작전 격전지를 가다... (1)인천 자유공원에서

기사입력 2016-06-07 10:30 기사수정 2016-06-22 11:08

▲인현동 호프집 화재사건 희생자 추모탑 (김종억 동년기자)
▲인현동 호프집 화재사건 희생자 추모탑 (김종억 동년기자)
▲자유공원 올라가는 중턱에 홍예문. (김종억 동년기자)
▲자유공원 올라가는 중턱에 홍예문. (김종억 동년기자)
▲인천 자유공원에 서 있는 더글러스 맥아더 동상. (김종억 동년기자)
▲인천 자유공원에 서 있는 더글러스 맥아더 동상. (김종억 동년기자)
5월의 마지막 주말에 친구와 월미공원을 가자고 약속을 했는데, 막상 동인천역에서 만난 후에 생각이 바뀌었다. 이왕지사 발걸음을 하였으니 동인천에서 시작하여 자유공원, 차이나타운, 그리고 월미공원으로 이어지는 추억의 오솔길을 함께 걸어보자고 의기투합하고 도보순례를 시작하였다.

동인천역전은 50여 년 전의 모습에서 크게 달라진 게 없어보인다. 50여년이라고 하면 강산이 다섯 번이나 바뀌고도 남을 세월인데 막상 그곳은 세월의 무게가 살짝 비켜간 것처럼 올드한 모습에 왠지 모를 정겨움과 친근감이 느껴졌다.

역에서 출발하여 자유공원쪽으로 발걸음을 옮기다 보니 이면도로에는 철물점, 전기 및 전자제품 상점 등이 다닥다닥 접해 있었고 그 옆으로 인현동 호프집 화재사건 희생자 추모탑이 나타났다. 참으로 끔찍했던 그 사건도 이미 우리들의 머릿속에서는 지워버린지 오래되었으니 인간의 뇌의 저장능력에 한계가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1999년 10월의 마지막 날에 인현동 5층 건물 2층에 있던 40여평 규모의 호프집에서 불이나 순식간에 3층 당구장까지 솟아오르면서 52여명의 희생자가 났는데, 그 중에서도 학교 가을축제후에 뒤풀이 하던 학생들이 많이 희생되었던 안타까운 사고였다. 잠시 희생자 추모탑에서 머물다가 발길을 옮겼다. 제물포 고등학교를 끼고 자유공원으로 올라가는 길가의 주택 담장에는 무르익어가는 장미가 탐스럽게 피어있었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인천에 머물렀던 필자는 옛 생각에 젖어 친구와 두런두런 담소를 나누면서 오르는데 추억의 홍예문이 불쑥 나타났다. 청소년 시절에 잠시 이 곳을 지나다니면서 신문배달을 하든 고단했던 추억이 떠올랐다.

인천 홍예문(虹霓門)은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문으로 높이 약 13m, 폭 약 7m의 화강암 석축을 쌓고 터널처럼 만든 석문(石門)이다. 일제강점 초기인 1908년도에 일본공병대가 만들어 혈문(穴門)이라고 불렸다.

당시 인천중앙동과 관동 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늘자 만석동 방면으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 홍예문을 뚫었다고 한다. 광복 70년이 지난 아직도 일제의 흔적들이 이렇듯 곳곳에 남아있다. 우리에겐 아픈 기억이지만 절대 잊지는 말아야겠다.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목에는 울창한 나무들이 그늘을 만들어 뜨거운 햇살을 피할 수 있어 쾌적했다. 특히 곳곳의 나무그늘 정자에는 노인들이 삼삼오오 모여앉아 장기나 바둑을 두기도 하였고 그들 옆에서는 할머니들이 그룹을 지어 음식을 드시면서 이야기장단에 빠졌다. 참으로 평화로워 보인다. 인천학도의용대 호국기념탑이 눈에 들어왔다. 1950년 9월 15일, 유엔군이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하자 인천지역의 학도들은 의용대를 조직, 강화하여 치안유지에 힘쓰던 중 승전을 눈앞에 두고 중공군의 개입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남녀대원 3,000여명은 각각 현역으로 자원입대하여 조국에 젊음을 바쳤다.

드디어 자유공원 정상에 오르니 거대한 동상 하나가 불쑥 눈에 들어온다. 한 손에는 쌍안경을 들고 인천상륙작전 지역이었던 월미도를 지그시 내려다보고 있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동상이었다. 자유공원의 상징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단체로 가끔 한번씩 와 보았던 추억의 그 장소에는 옅은 분홍색 장미와 노란색의 탐스러운 장미꽃이 활짝 피어 잘 가꾸어져 있었다. 훌쩍 지나가버린 50여년의 세월이 무상하다.

태평양전쟁 미군 최고사령관이었던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장군은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진주만을 기습한 일본을 공격하였으며 결국 1945년 8월 일본을 항복시키고 일본점령군 최고사령관이 되었다. 6·25전쟁 때는 UN군 최고사령관으로 부임하여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하였다. 우리나라와는 역사적으로 뗄레야 뗄 수 없는 인연으로 엮여 있다. 하지만 중공군과 전면전을 두고 트루먼 대통령과 갈등을 빚어 해임되었고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라는 말을 남기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갔다. 혹, 그 때 내친김에 만주를 폭격했다면? 지금의 우리 나라는 어떻게 되었을까? 통일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아쉬운 마음이 든다.

2005년 9월11일에는 인천상륙작전(1950년 9월 15일) 55주년을 나흘 앞둔 11일 인천 자유공원 일대에서 맥아더 장군 동상의 철거를 주장하는 단체와 동상 사수를 주장하는 단체의 대규모 동시 집회가 동시에 개최되었는데, 이때 동상 철거를 주장하는 단체 회원들이 폭력시위를 벌이며 경찰과 격렬하게 충돌했다. 이로 인해 시위대와 경찰 모두 부상자가 속출하고 공원 일대는 난장판이 됐다.

결국 동상은 존치되었고 지금은 평화롭게 월미도를 응시하고 있는 예의 그 모습으로 역사의 현장에 남아있으니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아직은 뿌연 황사가 시야를 가려 월미도가 흐릿한 안개 속에 떠있는 듯한 모습을 바라보며, 차이나 타운 으로 발길을 옳겼다.

▲인천지역 학도의용군 기념비. (김종억 동년기자)
▲인천지역 학도의용군 기념비. (김종억 동년기자)
▲인천 자유공원내 맥아더장군 동상앞에 서 있는 필자. (김종억 동년기자)
▲인천 자유공원내 맥아더장군 동상앞에 서 있는 필자. (김종억 동년기자)
▲공원내 잘 가꾸어진 장미앞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오른쪽이 필자. (김종억 동년기자)
▲공원내 잘 가꾸어진 장미앞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오른쪽이 필자. (김종억 동년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저 아래 호수엔 하얀 윤슬… 충북 옥천군 ‘천상의 정원’
    저 아래 호수엔 하얀 윤슬… 충북 옥천군 ‘천상의 정원’
  •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