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경제력, 여자는 외모’ 는 젊은세대와 마찬가지
결혼 후 부부생활을 하면서 배우자에 실망감을 느끼기 마련이다. 5060세대가 배우자에 너무나 실망해 배우자를 아예 바꿔버리고 싶을 때는 어떤 경우일까.
시니어 전문 미디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www.bravo-mylife.co.kr)는 사이트 오픈을 기념해 한길리서치와 지난해 12월 14일부터 20일까지 전국의 50~60대 성인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의 50·60대 생활 의식’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서 ±4.35%P) 결과를 발표했다.
5060세대 중 현재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응답자는 ‘배우자를 가장 바꿔버리고 싶었던 때’로 ‘나에게 인격적으로 대하지 않을 때’(57.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에 비해 ‘경제력이 없을 때’(15.7%), ‘성적 매력이나 성적 능력이 없을 때’(12.9%), ‘외도를 할때’(9.3%) 등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었다.
5060세대는 부부사이에서 다른 조건보다도 인격적 가치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별로는 남자(68.0%)가 여자(46.0%)보다 ‘나에게 인격적으로 대하지 않을 때’ 배우자를 바꿔버리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에 비해 ‘경제력이 없을 때’라는 응답은 여자(29.2%)가 남자(3.9%)보다 압도적이었다. ‘성적 매력이나 성적 능력이 없을 때’라고 답한 쪽은 남자(19.5%)가 여자(5.4%)보다 4배 가까이 높았다. ‘남자는 경제력, 여자는 외모’라는 공식은 5060세대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관련 기사
-
- [창간특별기획-5060세대 성의식 보고서]위기의 50·60대 부부, 가장 큰 원인은?
- “50~60대의 열 가구 중 한 가구는 해체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네요.” 이번 조사를 맡은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응답자의 부부관계를 묻는 설문조사 결과를 이렇게 평가했다. 설문조사의 전체 응답자 중 85.4%가 현재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중 90.1%의 응답자는 부부관계에 대해 ‘이제까지 잘 살아왔고 , 앞으로도 현재 배우자와 잘 살 것 같다’라고 긍정적으로 답변했지만 나머지 10% 가량의 응답자는 현재 배우자와의 이혼을 고려하거나 실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이제까
-
- [5060세대 성의식 보고서]결혼에 얽매이지 않는 5060세대 67.7% “사랑하지 않는다면 헤어져야”
- 5060세대들은 결혼제도에 크게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중장년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시니어 전문 미디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www.bravo-mylife.co.kr)는 사이트 오픈을 기념해 한길리서치와 지난해 12월 14일부터 20일까지 전국의 50~60대 성인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의 50·60대 생활 의식’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서 ±4.35%P)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응한 5060세대는 ‘5060대 부부라도 사랑하지 않는다면 헤어져야 하나’는 설문에 67.7%가 긍정적인 의
-
- [창간 특별기획-5060세대 성의식 보고서]14.5% “배우자가 외도한 적이 있다”
- 배우자의 외도에 대해서는 단호했다. 배우자와 살고 있는 응답자 중 14.5%가 배우자의 외도를 경험했다고 털어왔다. 현재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고 배우자의 외도를 경험한 적이 있는 50·60대는 ‘배우자의 과거 외도에 대해 이해나 용서를 하는가’라는 질문에 ‘이해도 용서도 못하고 살고 있다’는 의견이 41.3%로 가장 많았다. ‘이해는 하지만 용서는 못 한다’(30.1%)가 뒤를 이었고 ‘이해하고 용서하고 산다’는 답변은 28.6%에 불과했다. 시니어 전문 미디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www.bravo-mylife.co.
-
- 근친혼과 유류분, 친족상도례… 가족제도 변화는 진행 중
- 과거 드라마 ‘전원일기’가 전형적으로 보여주던 대가족 시대. 그 후 핵가족 시대를 지나, ‘나 혼자 산다’라는 예능 프로그램조차 방영된 지 어느덧 10년이 훌쩍 넘었다. 이처럼 가족 관념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나 인구구조 같은 여러 사회·환경적 변화 등에 따라 가족의 모습은 달라져왔다. ‘아들 못 낳으면 죄인’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남아선호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남아선호사상이 확연히 쇠퇴했다. 이는 헌법재판소 결정문에도 명시된 내용이다. 헌법재판소는 2024년 2월 임신 32주 이전에 태아의 성별을
-
- 을사년 정월에 챙겨볼 만한 자산관리 정보는?
- 새로운 것에 관심이 많은 방 씨는 자산관리와 관련해 2025년 새해부터 적용되는 것 중 본인이 챙겨야 할 것이 무엇인지 궁금해 상담을 신청해왔다. 자동차세 연납할인 자동차 소유주라면 누구나 매년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세는 1년에 두 번, 6월과 12월에 납부한다. 하지만 자동차세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일 년에 한 번, 1년치 자동차세를 미리 연납하고 자동차세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자동차세 연납할인은 1월, 3월, 6월, 9월에 16일부터 말일까지 신청할 수 있는데, 신청일 기준으로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