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영씨 별세, 한종기 (前 경상남도 자원관리원장)ㆍ순기 (진주시 정보관리과장)ㆍ중기 (前 경남일보 편집국장)ㆍ병기 (한창 이사)씨 모친상=12일16시 경상대병원, 발인 14일7시 (055)750-8448
이지혜 기자의 주요 뉴스
관련 뉴스
-
- 거짓말하는 AI, 고령자 AI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 AI의 발전이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시니어 세대 역시 AI와 자연스럽게 만나는 시대가 도래했다. 누구나 AI를 활용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안에 숨어 있는 위험한 판단과 무감각한 자신감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은 AI가 주는 답변을 ‘신뢰해도 되는 말’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AI는 인간처럼 맥락을 이해하거나 상황을 조율하지 못한다. 홍순만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최근 바둑 AI 연구와 사회과학적 통찰을 통해 ‘AI는 결과가 나쁘더라도 감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
-
- “복지분야 법정지출 연평균 6.8% 증가…4년 후에 237조 전망”
- 보건·복지·고용 분야(이하 복지 분야) 법정지출 4년 후에 237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8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복지 분야 법정지출은 올해 181조8000억 원(본예산 기준)에서 연평균 6.8%씩 늘어 2029년에는 237조 원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2024∼2028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는 2027년과 2028년 복지 분야 지출을 각각 204조9000억 원, 214조1000억 원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올해는 해당 연도 지출을 각각 211조2000억 원, 224조10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4개 자치구 특화 교육...중장년 자산관리 '서울리테크'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경제 역량 강화시켜주는 ‘서울 리(Re)테크’ 2025년 하반기 서울시는 40세 이상 시민을 위해 경제교육과 재무상담을 결합한 ‘서울 리(Re)테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구로·서대문·성북·송파구 평생학습관에서 지역 특색을 반영한 경제특강과 1:1 원포인트 재무상담(약 15분)이 이뤄진다. 또한 서울시민대학을 통한 수강 또는 정기 재무상담(비대면 1회 + 대면 1회)도 신청할 수 있어 중장년층의 자산관
-
- [챗GPT 브리핑] 대기업 정규직 고령화로 20대 직원 비중 줄어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대기업 정규직 고령화, 20대 중반 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 근속연수는 2004년 10.4년에서 2024년 12.14년으로 늘었다. 55~59세 고령 재직 인원은 2004년 4만 2000명에서 2024년 24만 7000명으로 492.6% 급증했다. 반면 23~27세 청년층 고용은 같은 기간 19만 6000명에서 19만 3000명으로 1.
-
- [Trend&Bravo] 챗GPT가 전부 아냐, 무료 AI 5선
- 시니어에게 AI는 아직 낯설게 다가오지만, 어느새 생활 속 필수 도구가 되었다. 날씨를 묻고, 건강 정보를 확인하고, 여행지를 추천받는 일상에서 AI는 이미 ‘나만의 비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반가운 점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하다는 것이다. 대화에 강한 서비스, 검색에 특화된 서비스, 한국어에 친숙한 서비스 등 저마다 장점이 달라 필요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복잡하게 배울 필요 없이 각 플랫폼의 특징만 이해해도 손쉽게 시작할 수 있다. 막막했던 AI, 카드뉴스로 하나씩 살펴보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