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ㆍ사진 함철훈 사진가
요즘 나는 나의 뿌리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
나이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급속히 변하는 주위 환경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다. 최근에 사랑하는 가족의 어른을 잃었고, 같이 일하던 동료 교수의 급작스런 부고도 있었다. 그런 중에도 새로 태어난 손녀와의 해후도 있었다. 또한 국가의 근원인 헌법에 대해 생각하도록 나라가 요동쳤다. 사람이 죽고 사는 일, 그리고 국가와 지도자를 되짚어보다가 내 생업인 사진의 근간과 핵심에 대해 따져보고 있다.
나에게 사진은 ‘예측할 수 없음’ 이다.
학교와 군 복무를 마치고 생활전선에서 10년여를 달리듯 일하다 처음으로 주위를 둘러볼 수 있는 위치에 올랐다. 지나온 길도 보이고 이곳에 닿기 위해 가파른 비탈을 오르는 주위 사람들도 보인다. 조금은 더 객관적으로 나와 내 가족의 앞날도 계산할 수 있는 자리였다. 그때 난 노후를 계산해보았다. 보통 아메리칸 드림이라고 이민자들이 동경하는 그런 상태까지는 아니더라도 나름 안정된 우리 가족의 앞날이 그려졌다. 쾌적하고 아름다운 해변이 먼저 떠올랐다. 잔잔한 파도와 미풍에 손자들과 함께 조개를 줍는, 겉보기에 평화스런 그림이 머리에 그려졌다. 그런데 난 정말 당황했다. 그건 미리 본 절망이었고, 순간 전율이 일었다. 끝이 보인다는 게 어떤 것이지 알았다. 내일이 예측된다는 것에 대해 알게 되었다. 비록 행복하고 아름다운 미래라 해도 난 거기서 빠져나오고 싶었다. 멋진 내일보다는 앞이 가려져 보이지 않는 가능성의 가치를 그때 알았다. 그렇게 난 보장된 길보다는 보이지 않는 길을 택했다.
노란색 숲 속으로 향하는 두 갈래의 길
아쉽게도 내가 갈 수 있는 길은 하나
(중략)
아, 저 길은 나중에 걸어보리라
인생이라는 길은 또 다른 길로 이어져
되돌아올 수 없음을 알면서도
먼 훗날 저 길 어딘가에서
아쉬워하며 말할지도 모른다.
그 숲에는 두 갈래의 길이 있었고
나는 사람들이 가지 않은 길을 선택했다고
그리고 나의 인생은 달라졌다고.
사진은 내게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의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이었다.
그렇게 난 가보지 못한 ‘사진’이라는 생소한 길목에 들어섰다.
지금도 사진은 나와 내 주위에 새로운 환경을 선사하고 있다. 여전히 나는 내년, 후년, 내후년뿐 아니라 내일도 예측 못하며 살고 있다. 사진으로 내 생업에 대입시켜도 사진기에 곧 담길 내 작품을 난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왜 그럴까? 기계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말도 많다. ‘사진이 예술인가?’로부터 시작해 끊임없이 말들은 만들어지고 있다. 누구나 마음만 있으면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예술 장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사진이 무엇이냐고 전문가에게 많이 물어본다. 나도 사진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아왔고 지금도 받고 있다. 그렇게 받은 질문 중에 의미 있는 한 질문의 예이다. 당시 동국대학교 사회학과를 맡았던 조은 교수가 한 책에 정리한 글이다.
“…나는 미국 캘리포니아 UC 어바인 캠퍼스에 교환교수로 가 있었다. 그때 어바인에서 활동 중인 사진작가 함철훈을 만나게 되었고 사진을 어떻게 정의하냐는 먹물 냄새나는 질문을 한 적이 있다.'사진이란 카메라가 찍은 것'이라는 간단한 답이 돌아왔다. 그런 단순 명쾌한 답이 아니었다면 사진을 배울 생각을 안 했을지 모른다. 그때부터 나는 ‘카메라의 눈’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 후 이 핑계 저 핑계로 그의 집에 머물면서 사진에 대해 얻어듣고 문하생들에게 사진을 가르치는 것을 훔쳐보았다…. ‘인간’이 보는 빛의 속도가 다가 아니라는 것. ‘인간의 눈’이 담을 수 있는 빛의 양이 다가 아니라는 아주 작은 진실에서 시작된 ‘카메라의 눈’에 대한 통찰은 세상을 보는 눈을 바꿔놓는다. 그의 사진 미학은 그래서 아주 단순하고 맑고 깊다.”
사진은 사진기로 담아내는 예술이다. 사진에 어떤 변수 X도 간섭할 수 없는 근본의 길이 사진기에 있다. 그런데 정작 사진에 대한 넘치는 지식이 쉽고 명료한 그 길을 가린다. 정작 사진의 힘은 무엇이 있어서가 아니라 아무것도 없는 어둠에서 발휘된다. 사진을 알려면 그곳으로 가봐야 한다. 아무것도 없는 거기서 사진을 경험해보길 권한다. 사실 사진기라고 불리는 카메라의 어원은 ‘비어 있는 방’이다. 사진은 빛마저 차단된 빈 곳에서 시작된다. 아무것도 없는 빈 방 중 한 면의 극히 일부를 깰 때–작은 핀으로 벽을 구멍 내는 순간, 그곳으로 빛이 시간과 함께 쏟아진다. 그리곤 이내 반대편 벽에 좌우상하가 서로 바뀐 상을 맺는다. 사진 영상이며 완벽한 이미지다. 감히 거기에 토를 달지 못한다. 빛 스스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그 놀랍고 섬세한 빛의 기적을 자세히 지켜보며, 때를 기다리는 것이 사진가의 몫이다. 그렇게 작가에게는 정작 아무 일도 주어지지 않는다.
그런 사진 작업이 내 삶을 풍성하게 해줬으며, 거기서 얻게 된 도전과 경험은 더 좋은 영상과 기획을 만들어내는 변증법적 선순환으로 발전해왔다.
그렇게 방금 내 카메라에 담긴 몽골의 풍광이다.
>>함철훈(咸喆勳) 사진가·몽골국제대학교 교수
1995년 민사협 초청 ‘손1’ 전시를 시작으로,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