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에서 유행하던 신조어를 이제는 일상생활에서도 어렵지 않게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글 파괴, 문법 파괴라는 지적도 받지만, 시대상을 반영하고 문화를 나타내는 표현도 제법 있다. 신조어 이해는 젊은 세대와 자연스러운 대화를 위해 필요해 보인다. 2017년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신조어 5개를 꼽아봤다.
01. 넵병: 메신저로 오는 어떠한 제안이나 요청에 대해 ‘네’라고 답변해야만 하는 직장인들이 겪는 병. 이를 ‘넵병’으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유행했다. ‘넵병’은 넵, 네, 넵!, 네에, 네넵 등 다양한 형태의 대답을 포함하는데 이 중 몇 가지 유형을 살펴보자.
넵: 가장 무난한 대답으로 ‘우선 알겠습니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넵!: 충성충성충성! 느낌표를 더해 강력한 인상을 준다.
네?: ‘다시 말해봐라’ 즉 싸우자는 의미다.
네에: 모두가 ‘넵’이라 할 때 ‘네에’를 사용함으로써 단톡방의 분위기를 풀어준다.
넵ㅋ: ‘이 정돈 해줄 수 있다’ 하지만 요청 사항이 많아지면 ‘네?’로 바뀌는 건 한순간.
넵^^: 애써 친절함을 강조하는 듯한 대답. ‘나는 당신을 해치지 않습니다’라는 점을 어필한다.
넵~~~: ‘알았으니 그만하라’는 뜻이다.
넵;;;: ‘뭐라는 거야’의 의미로 말 같지도 않은 지시를 받았을 때의 리액션이다.
02. 급식체: 급식을 먹는 학생(초·중·고)들이 쓰는 문체로 허세, 자문자답, 논리성을 상실한 문장이 특징이다.
오지고요 지리고요: 오달지다, 생리현상을 참지 못할 정도로 놀랍고 대단하다는 의미의 감탄사다.
ㅇㅈ? 어 인정: ‘인정’의 초성으로 다른 사람의 동의를 구할 때 사용하며 주로 자문자답식으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의미로 ‘용비? 어 천가’, ‘동의? 어 보감’, ‘오징? 어 볶음’ 등이 있다.
ㄹㅇ: ‘레알’의 초성. ‘real’을 발음대로 부르다가 이것마저 줄여서 초성만 사용한다.
~각: 온라인 게임에서 나온 용어로 ~할 것 같다, ~할 상황이나 상태를 뜻한다.
03. 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우리나라 1인 가구가 520만 가구를 넘었다. 혼자 즐기면서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관련된 신조어도 생겨났다. 혼자 밥을 먹는 혼밥, 술을 먹는 혼술, 영화를 보는 혼영, 여행을 가는 혼행 등이 대표적인 예다.
04. 야민정음: 눈에 보이는 글자를 모양이 비슷한 다른 글자로 바꿔서 사용하는 게 특징이다. 예를 들면 대통령을 ‘머통령’으로 표현하는데 ‘ㄷ’과 ‘ㅐ’를 바짝 붙여서 보면 마치 ‘ㅁ’과 ‘ㅓ’처럼 보인다고 해서 ‘머’ 자로 바꿔 쓴다. 아래 단어들이 대표적 사례다.
댕댕이 = 멍멍이
팡주팡역시 = 광주광역시
띵곡 = 명곡
재석 = 유재석
머통령 = 대통령
05. 아무 말 대잔치: 말 그대로 아무 말이나 지껄이는 상황을 뜻한다. 앞뒤 말의 연결고리가 없고 예상했던 것과 전혀 다른 말들을 쏟아놓는다.
슬럼프가 왔을 땐 무조건 자괴감에 빠질 게 아니라 잠은 충분히 잤는지 스트레스 받는 일은 없었는지 밥은 먹었는지 치킨은 먹었는지 연어는 먹었는지 소고기는 먹었는지 삼겹살은 먹었는지 체크해봐야 한다. 그리고 저걸 다 먹었다면 부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