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애틀랜타올림픽, 우리나라 최초로 도마 종목에서 은메달의 주인공이 탄생했다. 바로 자신의 이름을 딴 신기술 여1, 여2를 개발해 한국 기계체조를 이끌어온 여홍철(呂洪哲·47). 그는 세상에 한국 기계체조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체조를 안 했으면 조폭이 됐을지도 몰라요.”
1994년 세계체조선수권대회 도마 3위, 1994년 히로시마아시안게임 도마 1위, 1996년 세계체조선수권대회 도마 2위,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 체조 도마 2위,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 도마 1위 등 세계 무대에서 메달을 휩쓴 여홍철은 말한다. 그의 인생에 가장 큰 행운을 가져다준 것은 ‘체조’였다고.
그의 체조 사랑은 우연한 만남으로부터 시작됐다. 야구가 좋아서 야구부에 지원했지만, 하필 그해에 야구부가 없어졌다. 마침 그때 눈에 띈 게 체조부였다.
“초등학교 때 무협 영화에 빠져 있었거든요. 그땐 날아다니고 재주 부리는 체조가 너무 멋있어 보였어요. ‘아 이건 내꺼다!’ 당장 체조부에 들어갔죠. 솔직하게 말하면 계속할 생각은 없었어요. 근데 감독님이 찾아오셔서 ‘체조 계속하자, 운동하면 대학도 장학생으로 갈 수 있고 맛있는 것도 많이 먹을 수 있다’면서 좋은 점만 얘기하시니깐… 거기에 완전히 혹해서 계속하게 된 거죠.(웃음)”
항상 따라다니던 부상
기계체조는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금지된 기술이 있을 만큼 위험 종목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머리로 떨어지거나 잘못 착지할 경우 큰 부상으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여홍철 또한 부상을 피해갈 순 없었다. 하필 국제대회를 앞두고 벌어지는 사고는 태극마크를 단 그의 발목을 수차례 잡았다. 그는 그동안의 부상이 생각나는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처음으로 선수촌에 들어갔는데 평행봉 연습을 하다가 손가락이 골절됐어요. 선수촌에 들어간 지 한 달 만에 짐 싸서 나왔죠. 아마 제가 단기간 퇴촌 기록 보유자일 거예요.(웃음)”
1990년 베이징아시안게임 땐 경기 두 달을 앞두고 다쳐서 또다시 퇴촌했다.
“철봉에 부딪쳐서 오른쪽 귀가 거의 떨어져나갔어요. 그때는 정말 아쉬웠죠. 어느 때보다 욕심이 났거든요. 가장 끔찍했던 사건은 목 부위가 찢어졌을 때예요. 당시 부분 마취가 불가능한 시절이라 마취도 안 하고 80바늘을 꿰맸는데 아직도 바늘이 살을 뚫고 지나가는 느낌이 생생해요.”
외상은 치료하면 되므로 그나마 다행이었다. 정말로 큰 위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상, 바로 골수염이었다. 운동을 계속하면 팔을 절단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진단을 받고 그는 2년 6개월간의 공백기를 가졌다. 하늘이 그의 간절함을 알았던 걸까. 다행히 녹아내리던 뼈가 단단히 굳기 시작했고 여홍철은 고민할 여지도 없이 다시 체조선수의 길을 선택했다. 그는 이런 시련들이 자신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줬다고 말한다.
“솔직히 연습하다가 다치면 몇 개월 동안은 그 기술은 쳐다도 안 봐요. 아예 빼버리고 연습하죠. 사실 좀 겁났거든요.(웃음)”
메달 색을 바꾼 통한의 ‘세 발자국’
운동선수라면 모두가 꿈꾸는 무대인 올림픽. 여홍철은 더 이상의 퇴촌은 없다고 다짐하며 선수촌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마침내 1992년, 그에게는 첫 올림픽인 바르셀로나올림픽에 출전하게 된다. 비록 결승엔 들지 못했지만 출전만으로도 큰 의미가 됐다.
“그동안 부상을 워낙 많이 겪어서 그런지 올림픽에 나갈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벅차고 행복했어요. 우선 관중 수부터 어마어마하게 차이가 났죠. 우리나라에서는 비인기 종목이다 보니 대회가 있어도 경기장이 텅 비어 있거든요. 많은 사람 앞에서 기술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게 너무 행복하고 즐거웠어요. 그땐 메달을 따야겠다는 생각보다는 내가 가지고 있는 기술을 실수하지 않고 보여주고 경기를 잘 마치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했죠.”
그로부터 4년 뒤인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에서 러시아의 알렉세이 네모프를 저지할 가장 유력한 금메달 후보 선수로 꼽혔다. 더불어 한국체조 첫 금메달 유력 후보로도 거론됐다. 아니나 다를까, 도마 1차 시기에서 완벽한 연기를 펼치며 9.837점을 받았다. 이제 큰 실수만 하지 않으면 금메달은 떼놓은 당상이었다. 2차 시기를 앞둔 그의 모습에선 자신감이 넘쳤다. 하얀 탄산마그네슘을 손에 묻히고 최고 속력으로 내달렸다. 힘차게 구름판을 밟고 그의 이름을 딴 신기술 ‘여2(두 손을 정면으로 짚고 공중에서 몸을 펴 두 바퀴 반을 비트는 동작)’를 선보였지만, 착지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하고 말았다.
“착지 불안으로 세 발을 뒷걸음질했죠. 내려오는데 순간 눈물이 쏟아지더라고요. 그동안 힘들게 연습하고 훈련했던 장면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가는데… ‘아 4년을 더 기다려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모든 게 한순간에 무너지는 듯한 느낌이었어요. 그때의 개인적인 아쉬움은 말로 설명 못하죠.”
그가 착지 불안으로 휘청거리는 순간 경기장에 있던 관중들도 아쉽다는 듯 탄식을 뱉었다. 경기 결과는 알렉세이 네모프와 0.031점 차이로 은메달. 그는 경기 직후 인터뷰에서 ‘‘죄송합니다”라는 말을 연신 되뇌며 눈물을 보였다. 관중들도 그의 모습을 보며 안타까워했다.
“아쉽기는 했지만, 그때의 실수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해요. 당시 1점은 1등에서 40등까지를 갈라놓을 수 있는 점수였어요. 만약 그때 세 발 뒷걸음이 아니라 뒹굴었다면 메달권에도 못 들어갔을 거예요. 저는 그나마 운 좋게 거기서 그쳤기 때문에 은메달을 딸 수 있었던 거죠. 그 부분에 대해선 아직도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그에게 가장 아쉬웠던 경기를 묻자 의외로 2000년 시드니올림픽을 꼽았다.
“그 당시 제가 도마 세계 랭킹 1위였어요. 이번에는 꼭 금메달을 따겠다 다짐하고 출전했는데 웬걸 규칙이 바뀌었더라고요. 원래 두 번씩 기술을 펼쳐야 하는데 한 번만 하면 되는 거로요. 그건 다시 말하면 잘 못하는 선수라도 운 좋게 착지를 잘하면 결승에 올라가고, 실력이 좋아도 실수를 하게 되면 떨어트리겠다는 것이었어요. 바뀐 규칙으로 시드니올림픽 때 세계 랭킹 상위권 선수들이 거의 결승에 올라가지 못했어요. 대신 쉬운 기술로 착지에 성공한 하위권 선수들이 결승에 올라가는 바람에 논란이 많았죠. 결국, 이후엔 다시 원래대로 두 번 연기하는 거로 바뀌었어요. 그때 생각했죠. ‘아, 금메달은 신이 주는 선물이구나’ 하고요.”
체조는 상대가 아닌 자신과의 싸움
스포츠 경기를 보다 보면 상대의 기선을 제압하기 위해 소리를 지른다거나 불필요한 행동으로 도발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혹시 체조도 안 보이는 공간에서 선수들끼리 기 싸움을 할까?
“신경전이요? 그런 건 전혀 없었어요. 어차피 개인마다 기술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자신의 기술만 완벽하게 펼치고 오면 되거든요. 오히려 낯익은 선수들이 있으면 선수대기실에서 인사도 하고 서로 몸 장난도 하면서 긴장을 풀곤 했죠.”
여홍철은 체조는 상대와 하는 싸움이 아닌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말한다. 특히 수백 번, 수천 번씩 반복되는 훈련이야말로 가장 혹독한 자기와의 싸움이라고 강조한다.
“똑같은 기술을 연습할 때 그 지루함을 이겨내는 게 가장 힘들었어요. 중간에 포기하면 완성도가 떨어지는 거고 이겨내면 내 기술이 되는 거고. 기술을 완벽하게 소화하려면 1~2년? 길게는 3~4년이 걸릴 수도 있어요. 이 기간에 완벽히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요. 한 가지 기술을 완벽하게 하기 위해선 무한 반복이 필수였죠. 유연성 훈련은 어릴 때만 고통스러웠지 대표팀 되고 나서는 아무것도 아니었어요. 아 물론 지금 하라고 하면 절대 못합니다.(웃음)”
우리나라 체조 역사상 전대미문의 영웅이었던 여홍철. 기술에서만큼은 최고의 기량을 선보인 그는 비록 올림픽에선 금메달과 인연이 없었지만 후회는 없다고 말한다. 아직까지도 그의 이름을 딴 여1, 여2 기술은 국제대회에서 회자되고 있다.
“나이로 따지면 거의 끝 무렵까지 국가대표를 했기 때문에 큰 미련은 없어요. 이젠 제 체조 DNA를 물려받아 체조선수의 길을 가고 있는 딸을 지지해주는 게 새로운 목표입니다. 얼마나 힘든 운동인지 알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큰 버팀목이 되어주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