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TV는 ‘바보상자’라고 불리곤 했다. 한창 공부해야 할 학생들이 드라마나 시리즈 프로그램 등에 빠져 하염없이 TV 앞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또, TV를 보느라 독서 등을 통해 생각하고 상상할 기회를 빼앗겨버려 사고력 발달을 저해한다는 뜻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제는 어쩌면 ‘바보상자’라는 말도 구시대적인 용어가 아닐까 싶다.
요즘 초등학생은 TV 이외에도 더 매력적인 영상기기를 많이 접하기 때문에 이미 그들에게 TV는 흥미로운 존재는 아닐 것이다. 두 돌이 채 안 된 외손주도 휴대전화의 통화 버튼을 알아내는가 하면, 고사리 같은 손으로 화면을 가로 세로로 밀어 화면을 바꿔 보려고 시도하다가 가끔 성공할 때도 있다. 아이패드를 통해 다양한 아이들의 유튜브 영상을 보기도 한다.
이처럼 TV를 비롯한 다양한 영상 매체는 여러 세대에게 여러 얼굴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은퇴세대에게도 다양한 TV 프로그램은 많은 정보를 보여주는 유익한 기구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인터넷과 적극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세상을 만나며 현대적인 삶을 사는 시니어들도 있지만, 요즘 TV는 사회의 구석구석을 보여주는 일차적인 정보 전달 매개체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60세 가까이 살아왔다면 누구나 자신만의 관심사와 취미 또는 호불호 정서가 있게 마련이다. 만약 자신의 관심사나 취미에 대해 개념이 흐리다면, 시니어라고 일컫는 세대는 남은 미래의 시간에 생명력을 부여하기 위해 자신의 정서에 관한 개념을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TV 프로그램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V 편성표를 통해 검색도 가능하고 프로그램 시청을 하며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개념으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공부이기도 하고 현대 생활에 대한 적응이다. 자신의 정체성이 정리되면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도 있고 흘러가는 화면 속에서도 자기 관심사를 찾아내는 안목이 생긴다. 더 나아가 드러나는 영상 이면의 진실과 허상까지 바라보고 사고하는 능력이 생긴다.
가입한 인터넷 TV 통신사에 따라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다르겠지만 나는 다큐멘터리와 라이프, 세계 테마 기행을 주로 시청한다. 그 외에 미술 건축에 대한 공부, 유명 콘서트도 TV를 통해 즐긴다. 가까운 아시아부터 지구촌 곳곳의 문화기행을 통해 역사, 지리, 먹거리 정보를 전달받고 수준 높은 전문가의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는 시간은 또 다른 일상의 힐링이며 취미다. TV는 나에게 더는 ‘바보상자’가 아닌 ‘유익한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TV 시청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따라 오프라인 등으로 2차적인 활동반경이 확장될 수도 있지만, 이미 보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소득이다.
부모세대가 사셨던 세상을 돌이켜 생각하고, 비교할 때 환경오염과 기약 없는 수명 연장에 비례한 경제문제 등 부정적인 면도 더러 있지만, 100세 시대를 맞이하는 은퇴세대들이 누리는 편리한 사회구조와 시설, 상대적인 젊음 등을 느꼈을 때 만족감은 더욱 크다. 여생의 스마트한 삶을 위하여 정보력, 사고력, 소통력을 기르는 꾸준한 훈련은 은퇴세대의 필수과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