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에도 ‘확장된 매뉴얼’이 필요할까?

기사입력 2019-01-30 10:30 기사수정 2019-01-30 10:30

서울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보물 같은 곳이 많다. 지하철 2개 노선이 지나고 시외버스정류장까지 몰려 있어 정신이 없는 사당역에서 가까운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이 바로 그런 곳 중 하나다. 이곳에서 ‘확장된 매뉴얼’ 전(2018년 12월 11일~2019년 2월 17일)이 열리고 있다.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진 적벽돌 건물의 미술관은 들어설 때부터 가슴을 설레게 한다. 이번 전시회의 흥미로운 제목을 설명하기 전 현대미술의 경향부터 살펴봐야겠다. 최근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놀랄 만한 일이 발생했다. 예상 낙찰가 한화 1000만 원 정도였던 작품 ‘에드먼드 드 벨라미(Edmond De Belamy)’가 5억 원에 육박하는 금액에 낙찰된 것이다.

▲'확장된 매뉴얼' 전시 전경(서울시립미술관 제공)
▲'확장된 매뉴얼' 전시 전경(서울시립미술관 제공)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은 이 작품을 인공지능(AI)이 그렸다는 사실이다. 프랑스 파리에 사는 3명의 청년이 개발한 인공지능 화가 ‘오비어스(Obvious)’가 14~20세기에 그려진 초상화 1만5000점의 데이터를 학습한 뒤 그린 초상화다. 이 작품을 보면 프랑스 미술평론가 니콜라 브리오가 그의 책 ‘포스트 프로덕션(Post Production)’에서 언급한 “현대 예술은 어떤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는가가 아니고 이미 우리가 갖고 있는 것으로 무엇을 만들 수 있는가이다”라는 말이 떠오른다.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확장된 매뉴얼’ 전은 이러한 현대 예술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이미 만들어져 있는 작품을 변화 발전시켜 확장한 새로운 창작물을 보여주고 있다. 전시회의 독특한 제목은 그 의미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대상 작품은 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으로 현재 화단에서 독보적인 길을 걷고 있는 젊은 여류작가 4명의 것이다.

먼저 감상할 작품은 정소영(1979) 작가의 ‘잉크 드롭(Ink Drop 2007)’, ‘물질’, ‘라이트 콜렉터(Light collector)다. 프랑스에서 태어나 미술 공부를 한 뒤 2007년 귀국한 작가는 우주 공간에 관심이 많다. 또한 그 사이에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현상의 유동성을 표현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아도 우주 공간의 수많은 존재는 생성·발전·소멸한다는 것을 상기하고 있다.

▲정소영 작가 '잉크드롭(2007)'(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정소영 작가 '잉크드롭(2007)'(서울시립미술관 제공)

2층 전시실에서는 강서경(1977) 작가의 ‘검은 유랑’과 ‘정(井)을 만날 수 있다. 이 작가의 특징은 ‘사각형’과 ‘쌓기’다. 동양화를 전공한 강 작가는 사각형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기도 하고 표현하기도 한다. 2018년 세계적인 아트페어인 스위스 아트바젤에서 ‘발루아즈 예술상’을 받았다.

맞은편 전시실에는 이은우(1982) 작가의 ‘3, 5, 8, 9mm/W R B Y G NO NR NP NG (2008)’, ‘붉은 줄무늬(2016)’, ‘오뚝이(2018)’가 있다. 이 작가는 물건과 작품의 차이에 대해 관람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물건이든 작품이든 그 안에 사회를 담고 공들이는 과정은 차이가 없다는 걸 주장하고 있는 듯 보인다. 또한 관람객이 작품을 일상의 물건처럼 편하게 대하길 바라는 마음도 엿보인다.

▲이은우 작가의 ‘3, 5, 8, 9mm/W R B Y G NO NR NP NG (2008)’(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이은우 작가의 ‘3, 5, 8, 9mm/W R B Y G NO NR NP NG (2008)’(서울시립미술관 제공)

마지막으로 김민애(1981) 작가의 ‘화이트 큐브를 위한 구조물(2012)’, ‘네 모서리(2018)’, ‘바퀴로 움직이는 조각(2018)’, ‘자립조각(2018)’을 감상할 수 있다. 이 작품들은 작가의 자화상이자 사회 현상에 대한 풀이다. 주어진 환경과 시스템의 영향으로 개인의 뜻을 제대로 펴지 못하는 현실을 보여준다.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벽에 못을 박지도 못하고 창문의 빛도 막지 않은 채 작품을 전시한다. 그래서 새로운 구조물을 세우거나 나무나 신주 등으로 작품 고정 방법을 바꾸다 보니 작품까지 저절로 변화 발전해 확장된 매뉴얼이 됐다. 이번 전시회는 우리에게 새로운 통찰을 하도록 해준다. 스마트폰이 두뇌의 확장이듯 개인이 갖고 있는 재능과 장점을 확장한다면 우리 인생의 의미도 더 폭넓어지지 않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유한양행 설립자는 어떻게 스파이가 되었나? ‘스윙데이즈: 암호명A’
    유한양행 설립자는 어떻게 스파이가 되었나? ‘스윙데이즈: 암호명A’
  • 화려하고 따뜻한 연말 보내기…12월 문화소식
    화려하고 따뜻한 연말 보내기…12월 문화소식
  • 월클플레이, 벤처기업 인증 획득 기념 축하콘서트 개최
    월클플레이, 벤처기업 인증 획득 기념 축하콘서트 개최
  •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K컬처 첫 번째 이야기 ‘소춘대유희’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K컬처 첫 번째 이야기 ‘소춘대유희’
  • “가을, 문화생활의 계절”…10월 문화소식
    “가을, 문화생활의 계절”…10월 문화소식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