푹푹 찌는 여름에는 바람이 그리워진다. 선풍기 바람, 에어컨 바람, 강바람, 바닷바람, 들바람 등등 바람 종류도 많다. ‘동의보감’이 물을 33가지로 구분했듯 바람도 위치,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다.
강바람, 바닷바람은 먼 곳에서 불어오며 몸속 깊은 곳까지 영향을 미친다. 사방이 뚫린 지리산 천왕봉이나 설악산 대청봉에서 바람을 맞으면 오장육부를 씻어주는 듯한 기분이 든다. 일상의 스트레스로 꽉 막힌 기운도 풀어주는 느낌이다. 그래서 마음이 괴로울 때면 “바람이나 쐬러 가자”는 말이 나오는 것인지도 모른다.
숲속 바람에는 음이온이 있다
숲속에서 맞는 바람은 나무를 통과하며 불어와 산림욕 효과를 낸다. 한여름 숲속에서 바람을 쐬면 시원하고 기분이 좋다. 숲속에 음이온이 많기 때문이다. 건조함은 적셔주고 습기는 제거해준다. 땀이 금세 마르고 시원해지면서 마음의 안정도 되찾는다. 호흡도 깊어진다. 도시의 아스팔트 위에서는 심호흡이 어렵지만 숲속에서는 자연스럽게 깊은 호흡을 하게 된다. 폐가 좋은 공기를 알고 많이 들이마시려 하기 때문이다. 깊은 호흡은 횡격막의 상하 운동을 잘되게 해주고 위장관의 연동운동을 도와 소화력과 식욕을 높여준다. 심호흡을 하려면 큰 나무가 많은 숲, 오래된 나무로 울창한 숲을 찾아가면 좋다. 옛날에는 한여름이 되면 어르신들이 느티나무 그늘에 아래 앉아 무더위를 피했다. 이런 효과를 알고 있었던 것이다.
바닷바람에는 염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염분 때문에 바닷가 근처 나무들이 말라죽기도 한다. 염분을 머금은 바닷바람, 즉 해풍을 맞으면 피부는 수분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탱탱해진다. 노폐물은 빠져나간다. 기관지의 가래가 제거되고 폐 기능이 살아난다. 폐 질환 환자들이 바닷가를 휴양지로 많이 찾는 이유다. 바닷가 근처에서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폐가 좋고 목청도 좋다. 피부는 붉은 편이다. 강한 자외선, 염분을 띤 해풍 때문이다. 너무 급작스럽게 오래 바닷바람을 쐬면 피부가 따끔거리고 심하면 손상된 피부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조심해야 한다.
에어컨 켠 채 잠들면 냉방병 위험
도시에서는 흙을 보기가 힘들다. 사방을 둘러봐도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건물밖에 안 보인다. 숨을 쉬어야 할 땅이 그러지 못해 습기를 머금게 되고 이 습기가 햇볕과 결합하면 온도가 더 높게 느껴진다. 아스팔트가 달궈지면 그 열기로 사물이 흔들리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흙에서는 이런 현상이 안 나타난다. 도시에서는 바람이 불어도 습열이 가득해 시원하지 않다. 게다가 한여름의 열기는 건물 곳곳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서 나오는 습열과 섞여 무더운 바람으로 변한다. 습열은 흙 속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때문에 빠져들어갈 공간을 찾지 못하고 갇혀버린다. 도시의 여름 바람이 습하고 무더울 수밖에 없는 이유다.
건물 내부는 온통 에어컨 바람이다. 이 바람은 자연의 바람이 아니고 인공적인 바람이라 몸이 긴장한다. 즉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눈과 입, 피부가 건조해지고 근육도 긴장해 소화가 잘 안 된다. 나이 많은 사람들은 땀을 줄줄 흘리면서도 에어컨 켜는 것을 싫어한다. 더위 속에 있는 것보다 에너지 소모가 많아 더 힘들기 때문이다. 에어컨 냉방병으로 한의원을 찾는 사람도 많다. 습이 빠져나가지 못하거나, 기운이 떨어지거나, 찬 기운에 몸이 상할 때 냉방병이 찾아온다. 이럴 때는 대부분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으로 치료한다.
냉방병은 에어컨을 켠 상태에서 깜빡 잠이 들었을 때 잘 걸린다. 또 몸이 땀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에어컨을 켤 때도 감기에 걸리기 쉽다. 여름에는 물을 충분히 마셔줘야 한다. 정수기 물이 아니라 상온의 생수가 좋다. 또 죽염 등 좋은 소금을 충분히 먹어야 냉방병을 예방할 수 있다.
최철한(崔哲漢) 본디올대치한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박사. 생태치유학교 ‘그루’ 교장. 본디올한의원네트워크 약무이사. 저서: ‘동의보감약선(東醫寶鑑藥膳)’, ‘사람을 살리는 음식 사람을 죽이는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