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발대발 인터뷰]김경동 카이스트 교수가 말하는 세월호 사고 이후의 한국 사회
- -사고후 중도사퇴는 뺑소니와 같다… -아직도 세월호 보고서가 없다는 것은 한심하기 그지 없는 일 -‘잘 산다’개념을 제대로 이해못한 한국사회… -말로만 하지 말고 배려의 참뜻을 실천하라 세월호 사고는 한국 사회에 가해진 치명적 충격파였다. 무고한 피해자들의 억울함, 부실하기 그지 없었던 구조구난 시스템, 선박 회사의 비리와 해경의 무능함까지, 세월호 사고
- 2014-08-29 08:40
-
- [부고] 박용호씨 별세 - 박윤익씨 부친상
- ▲박용호씨 별세, 박윤익(사업)ㆍ윤곡(시벨코코리아 이사)ㆍ윤창(선문대 공과대 교수)ㆍ윤덕(지스캔 대표)ㆍ남규(서울대 경영대 교수)씨 부친상=27일 오후 서울대병원, 발인 30일 오전, 02-2072-2091
- 2014-08-29 08:34
-
- [부고] 석원영씨 별세 - 석현근씨 부친상
- ▲석원영씨 별세, 석현근(영훈고 교사)ㆍ미애ㆍ미진(한양대 강사)ㆍ미언(에이엠시스템 대표)ㆍ미리(미국 거주)씨 부친상, 오덕철(제주대 명예교수)ㆍ김영익(에이엠시스템 연구소장)ㆍ김덕수(미국 거주)씨 장인상, 황수자(성북구립온터어린이집 원장)씨 시부상=25일 오후 서울대병원, 발인 28일 오전, 02-2072-2016
- 2014-08-27 09:15
-
- [부고] 천문기씨 별세 - 이진원씨 모친상
- ▲천문기씨 별세, 이진원(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ㆍ명숙(프랑스 거주)ㆍ마리(법무법인 위너스 변호사)씨 모친상, 고영면(프랑스 거주)ㆍ채한식(법무법인 위너스 변호사)씨 장모상, 목수현(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씨 시모상=25일 오후 서울아산병원, 발인 28일 오전, 02-3010-2232
- 2014-08-27 09:15
-
- [부고] 김광회씨 별세 - 김태일씨 부친상
- ▲김광회(前 한양대병원 원장)씨 별세, 김태일(前 LG정보통신 부장)ㆍ태승(한양대병원 정형외과 교수)ㆍ태호(유화약품 대표)ㆍ태련씨 부친상, 정해구(정해구치과의원 원장)씨 장인상, 이인순ㆍ한상숙(前 한국강사협회 회장)씨 시부상=26일 오전 한양대병원, 발인 28일 오전, 02-2290-9457
- 2014-08-27 08:42
-
- [부고] 김세종씨 별세 - 최금려씨 남편상
- ▲김세종(한국해외기술공사 부회장)씨 별세, 최금려씨 남편상, 김원오(플루크네트워크 선임연구원)ㆍ경희ㆍ경숙ㆍ경선씨 부친상, 김덕경(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교수)ㆍ고윤대(대한통운 부장)씨 장인상, 이명숙씨 시부상=24일 오후 삼성서울병원, 발인 27일 오전, 02-3410-6920
- 2014-08-26 08:31
-
- [부고] 정열씨 별세 - 이준경씨 남편상
- ▲정열(前 한국기술금융 부사장)씨 별세, 이준경씨 남편상, 정교화(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ㆍ희경ㆍ윤주ㆍ지연씨 부친상, 송모헌(레드덕 부사장)ㆍ정병권(메가UT 대표교수)씨 장인상=25일 오후 서울성모병원, 발인 27일 오전, 02-258-5940
- 2014-08-26 08:30
-
- [부고] 배위홍씨 별세 - 양희재씨 모친상
- ▲배위홍(시조시인)씨 별세, 양희재ㆍ재연ㆍ덕재ㆍ윤재(고려대 교수)ㆍ순재(서울의료원 의무부원장)씨 모친상, 양은수(삼성SDS 수석보)ㆍ용수(SK건설 과장)ㆍ희철(원자력병원 흉부외과장)씨 조모상=23일 오전 서울의료원, 발인 26일 오전, 02-2276-7000
- 2014-08-25 08:48
-
- ['NO人' 늙은 게 죄인가⑨] 전문가에게 길을 묻다 - 경희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백지은 교수
- ‘국가나 지자체의 정책 입안자들이나 사회복지 연구자들은 노인을 인구통계학적 인식 대상으로 본다. 성별로 나누고 소득수준으로 가르며 돌보미 유무를 파악해, 어떤 대상을 어느 정도의 복지 수준으로 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래서 노인은 언제나 보이는 대상으로 물성화될 뿐, 주체성을 지닌 인간으로 대접을 받아 본 적이 없다.’ 오근재 전 홍익대 교수(현 연세대
- 2014-08-24 20:50
-
- ['NO人' 늙은 게 죄인가⑧] 전문가에게 길을 묻다 - 한국노인상담연구소 김은주 소장
- ‘국가나 지자체의 정책 입안자들이나 사회복지 연구자들은 노인을 인구통계학적 인식 대상으로 본다. 성별로 나누고 소득수준으로 가르며 돌보미 유무를 파악해, 어떤 대상을 어느 정도의 복지 수준으로 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래서 노인은 언제나 보이는 대상으로 물성화될 뿐, 주체성을 지닌 인간으로 대접을 받아 본 적이 없다.’ 오근재 전 홍익대 교수(현 연세대
- 2014-08-24 2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