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성 요양병원 방화 용의자는 80대 치매환자
- 28일 자정 넘어 발생한 전남 장성 요양병원 화재의 방화 용의자가 80대 치매환자로 알려지면서 처벌 수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날 발생한 화재로 간호조무사 1명과 입원 중인 노인성 질환자 20명 등 21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찰은 사고 직후 병원 내 CCTV로 발화 장소인 다용도실에 누군가 들어갔다가 나온 사실을 확인, 2층에
- 2014-05-29 15:18
-
- 요양병원 난립에 안전관리는 뒷전…정부 안전관리 큰 구멍
- 전남 장성 효실천나눔사랑(효사랑) 요양병원에서 화재로 30명이 넘는 인명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허술한 요양병원 관리 실태가 문제가 되고 있다. 지난 28일 새벽 전남 장성 효실천나눔사랑 요양병원에서 대형 인명 사고가 밣생한 가운데 정부의 허술한 요양병원 관리로 인해 피해자를 더욱 키웠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접어들고 있는 가운
- 2014-05-29 15:14
-
- [부고] 석종학씨 별세 - 석도형씨 부친상
- ▲석종학씨 별세, 석도형(삼우맥스 회장)ㆍ준형(前 삼성전자 부사장)ㆍ도정(前 코오롱캐피탈 대표)ㆍ도태(삼우맥스 대표)ㆍ정미씨 부친상, 곽성문(前 국회의원)씨 장인상, 석현우(신한은행 차장)ㆍ현수(전남대 로스쿨 교수)ㆍ현철(일본 화낙 근무)씨 조부상=26일 오전 삼성의료원, 발인 28일 오전, 02-ㆍ3410-6907
- 2014-05-27 08:11
-
- [부고] 설석철씨 별세
- ▲설석철(소목장 명예보유자)씨 별세=22일 전남 장성 효장례식장, 발인 24일 오전, 061-392-0044
- 2014-05-23 08:13
-
- [부고] 범대순씨 별세 - 김옥영씨 남편상
- ▲범대순(원로 시인)씨 별세, 김옥영씨 남편상, 범희승(전남대 의대 교수)ㆍ영숙(피아니스트)ㆍ경화(동화작가)ㆍ은경(광주중앙아동병원장)씨 부친상, 21일 오전 화순 전남대병원, 발인 23일 오전, 061-379-7444
- 2014-05-22 08:27
-
- 전남산림자원연구소, 휴양·체험·치유 공간으로 변신
- 전남도산림자원연구소가 휴양과 체험, 치유 등 산림복지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18일 연합뉴스와 전남도산림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사업비 50억원을 들여 나주시 산포면 연구소 주변 산림자원 55만여㎡에 치유센터와 숲길, 건강증진 체험장 등을 조성하기로 했다. 그동안 목재생산이나 관광 등 단편적 이용에 그쳤던 산림자원을 휴식과 체험, 치유 등 삶의 질을 높
- 2014-05-18 12:27
-
- 지방선거 후보자들, 어르신 위한 표심 작은 한걸음부터
- 6.4지방선거가 한달도 채 안 남았다. 여느 선거와 마찬가지로 지방선거에서도 단골 이슈는 역시 복지공약이다. 사회복지 분야는 선심성 공약이라는 꼬리표가 항상 따라 다닌다. 유권자들은 속고 또 속으면서도 복지에 대한 갈급한 마음으로 표를 던진다. 현장과의 괴리도 비현실적인 공약 남발을 부추긴다.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은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하지만 시민들
- 2014-05-12 13:19
-
- [부고] 고광호씨 별세 - 고재상씨 부친상
- ▲고광호(前 전남장성중 교장)씨 별세, 고재상(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장)ㆍ재형(코레일 근무)ㆍ재찬(삼성전자 팀장)ㆍ경랑(광주고 교사)ㆍ경하씨 부친상, 안용섭(금융감독원 부국장)ㆍ상섭(한국은행 차장)씨 장인상=11일 오전 광주 그린장례식장, 발인 13일 오전, 062-250-4409
- 2014-05-12 07:57
-
- [부고] 정영수씨 별세 - 정종원씨 부친상
- ▲정영수(정조 순천문인협회 고문)씨 별세, 정종원(여수산단부장)ㆍ경희(인천 옥련초 교감)ㆍ진원(STS 이사)ㆍ탁준(전남대 교수)씨 부친상, 이선용(인천 문학정보고 교장)씨 장인상, 양숙희(여수여중 교사)ㆍ영은(서울여중 교사)씨 시부상=30일 오전 전남 순천의료원, 발인 2일 오전, 061-759-9090
- 2014-05-01 08:22
-
- 땅값, 3월에도 소폭 상승…41개월 연속 오름세
- 3월 전국의 땅값이 전달(2월)보다 0.20% 상승했다고 국토교통부가 30일 밝혔다. 2010년 11월 이후 41개월째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3월의 지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인 2008년 10월보다 1.47% 높은 수준이다. 권역별 땅값 변동률을 보면 수도권은 0.22%, 지방은 0.17% 상승했다. 서울(0.29%)은 지난
- 2014-04-30 09:25